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Advertisements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인증의 시험안내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2008 년 2 월 24 일 ( 일 )  노인정신건강 인증의 시험 시행  2008 년 2 월 28 일 ( 목 )  합격자 발표.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3장 정신보건정책과 전달체계의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심리학 개론 언어재활과.
사회복지학과 이신혜 사회복지학과 이혜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 (발제자 : 정 태 비).
가정의의 진로.
유학생 해피투게더 유학생 해피투게더란? 유학생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정서적 교류와 상호지지를 통해 유대감 강화와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퇴행성 신경질환.
◆ 응시자격별 상담심리사 자격취득 절차 자격심사 청구를 위한 최소수련내용(상담심리사 2급) 영역 내용 영역 내용 접수면접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제 8 장 정신질환.
근관치료학 개요.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제8장. 지역사회복지와 생활시설.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제3절 강점관점 1. 강점관점의 개념
제 8 장 정신질환.
-생화학자란? -생화학자가 하는 일은? -유명한 생화학자는? -생화학자가 되려면?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CHAPTER 2 정신보건서비스의 필요성과 전문직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의료급여 정신과 수가체계 개선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제 1장 인간행동발달과 사회복지 정의:.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정신보건센터.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급변하는 사회에서의 노년기 생애지침 한 경 혜 이 정 화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가족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Presentation transcript: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 지난 수업 복습 - 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의료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실천의 2차 세팅이자 의료서비스를 일차적으로 제공하는 병원 안에서 활동하는 전문직이다. 2.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케이스워크뿐만 아니라 그룹워크, 컨설턴트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전문직에 대한 교육이나 병원 내부의 계획과 정책 개발에도 기여한다. 3. 정신질환(mental illness) : - 정신장애(mental disorders)를 총칭하는 말이다. - 정신 장애는 생각, 기분, 행동상의 기능장애나 기능이상을 말한다. > 유전학적 요인 > 환경적 요인 > 생물학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 지난 수업 복습 - * 정신질환에는 기준이 있다. 이런 기준은 두 가지 모델, 즉 메디컬 모델과 상호 작용 모델에 따라 따른다. 정신질환에 대한 전통적 견해는 정신질환을 하나의 질병으로 간주하는 것인데, 이를 메디컬 모델(medical model) 메디컬 모델에서 꼽는 몇 가지 중요한 정신질환으로는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성격장애, 기분장애, 약물 관련 장애, 신체형 장애 등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2) 상호 작용 모델 상호 작용 모델은 메디컬 모델이 진단이나 치료 효과가 별로 없는 반면에 정신 질환자를 낙인찍어 역효과만 가져온다는 비판하에서 출발 - 1950년대 토마스 사스(Thomas Szasz)는 정신질환은 존재 하지 않는 하나의 신화(a myth)에 불과하다고 최초로 확신 - 일상적 상호 작용(everyday social interaction)과 인간에 대한 낙인(labeling)에 초점 - 정신질환은 ‘마음의 병’이며, 다음과 같은 세 범주로 나뉜다고 하였다.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① 개인장애(personal disabilities) : 과도한 불안, 억압, 공포, 상실감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사스(Szasz)는 이러한 개인장애가 이른바 정신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정신질환이 아니라 정확히 말해서 정신 작용 (생각이나 느낌과 같은)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확신. ② 반사회적 행동(antisocial acts) : 엽기적 살인과 기타 사회적 일탈이 여기에 속함. 동성애도 여기에 속할 수 있는데, 1974년 미국정신의학협회는 동성애를 정신질환목록에서 제외, 사스(Szasz)는 반사회적 행동이 사회적 일탈에 속하는 것은 틀림없다고 하면서 그것은 ‘정신 작용’도 아니고 ‘정신질환’도 아니라고 함.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③ 성격 변화를 야기하는 두뇌 기능 저하(deterioration of the brain with associated personality changes) : 동맥경화, 알코올중독, 알츠하이머병, 에이즈, 전신마비, 사고로 인한 심각한 두뇌 손상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두뇌 기능 저하가 개인의 성격을 변화시켜 생기는 정신질환 * 공통된 증후 : 기억상실, 무감각, 무감정, 몸치장 의식상실 * 사스(Szasz) : 두뇌의 병이 아니라 마음의 병 : 사람들이 정신질환이 정서적 문제라고 생각하는 관념은 정서적으로 혼돈된 사람은 악마의 소유물이 되어서 그렇다는 신념에 녹아 있다고 확신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개인이 정신질환자로 낙인 찍히는 과정 ① 1단계 : 다소 이상한 일탈행동을 하기 시작하는 단계 ② 2단계 : 그의 그런 행동에 대해 가족이나 지역사회가 이상하게 생각 하며, 그 결과 그는 정신과 전문가에게 보내지는 단계 ③ 3단계 : 정신과 전문가, 보통 정신과 의사는 메디컬 모델을 믿고 있으며, 메디컬 모델에 따라 그를 정신질환자라고 낙인 찍는 단계 - 상호 작용 모델을 믿는 사람들은 인간이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이해할 수 없는 정신질환 (a mystical mental ill­ness)은 아니라고 주장 - 억압, 불안, 환청, 강박관념 등의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증후들이 정신병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지는 못한다는 것 - 정신질환에는 문화적 차이도 존재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상호 작용 모델에서는 정신질환은 신화에 불과하고, 사람이 정신질환자로 규정 되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기능적 행동을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 디컬 모델은 어떠한 정서와 행동이 정상인지, 그리고 그러한 정서와 행동상의 질병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알려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3.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정신보건 분야에서 최초로 사회복지사를 채용, 배치한 것은 1906년 미국 뉴욕 시의 맨해튼 주립병원 - 1918년 보스턴 정신병원과 동 병원의 사회복지실천과가 주도, 개인적ㆍ심리적 토대 위에서 정신질환자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해 스미스 대학교 에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대학원을 설립 - 스미스 대학교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대학원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psychiatric social workers)를 양성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학교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미국의 경우 정신보건 분야 - 사회복지사협회(NASW) 회원의 절반가량이 고용 - 석사학위를 가진 사회복지사의 39%가 일하고 있을 정도 (2001년)로 사회 복지사의 대표적인 일터 * 정신보건 분야의 사회복지사 - 과거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오늘날 임상사회복지사(clinical social worker) * 정신보건 분야의 핵심 전문가 임상사회복지사, 정신과 의사, 임상심리학자 이들 세 전문직은 정신보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 그 외에도 정신보건 간호사, 직업치료사, 레크리에이션 치료사 등도 참여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미국의 임상사회복지사 정신병원뿐만 아니라 정신보건센터, 학교, 가족상담 센터, 정부의 공공복지 부서, 입양기관, 보호 관찰부서 등지에서도 활동 * 사회복지사협회(NASW)가 요구하는 임상사회복지사 자격 ① 사회복지실천교육협의회(CSWE)가 인정하는 사회복지실천교육기관에서 석사(MSW)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② 학위 취득 후 2년 이상 임상 경험을 가진 임상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 아래 2년 이상 또는 3,000시간 이상의 임상사회복지사 경험을 한 자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4.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고용 세팅과 역할 ① 정신병원 : 국공립 정신병원, 민간 정신병원 등 정신질환자를 일정 기간 입원 시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곳 ② 생활치료센터 : 정서적 문제 또는 행동상의 문제를 가진 청소년이나 성인을 입소시켜 생활하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는 시설 ③ 종합병원의 정신과 : 종합병원의 정신과는 입원 환자 중 정신과 치료 가 필요한 사람을 치료하는 곳 ④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는 심리치료와 함께 정신질환 예방교육도 제공하는 곳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① 케이스매니지먼트 : 사회복지사는 케이스매니저로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하고, 필요한 서비스에 연계시키며, 치료전략을 수립하고, 서비스의 적합성과 효과성을 모니터하며, 클라이언트를 대변 ② 심리치료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형성하여 증상을 제거하거나 조절하며 문제가 있는 행동의 패턴을 완화시키고 긍정적 성격 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심리치료 ③ 치료 집단의 운영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변화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치료 집단을 운영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치료 집단의 예 ㆍ치 료 : 지역사회에 살고 있고 지역사회 헬스센터에서 ㆍ치 료 : 지역사회에 살고 있고 지역사회 헬스센터에서 만나 정신분열 증에 대해 진단하는 집단 ㆍ지 지 :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부모를 케어해야 하는 성인의 집단 ㆍ교 육 : 효과적인 아동양육법에 관해 배우는 부모의 집단 ㆍ성 장 : 게이의 프라이드에 관한 쟁점에 초점을 두는 게이의 집단 ㆍ사회화 :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노인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집단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④ 가족치료 : 가족의 성장 욕구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켜 가족의 기능을 향상하도록 돕는 것.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가족 역량을 강화하고,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일상적 가족생활의 유지에 필요한 가족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게 됨. 가족 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가족 역동의 향상을 돕는 가족상담도 중요. ⑤ 정신보건정책실천 : ㉠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클라이언트의 권익을 대변 ㉡ 정신보건 분야의 행정가의 일원으로 정신보건정책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정신보건 분야의 미해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힘쓰게 됨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5.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① 정신의료기관 : 의료법에 의한 정신병원, 정신과 의원 및 병원급 이상의 의료 기관에 설치된 정신과 ② 정신요양시설 : 정신의료기관에서 의뢰된 정신질환자와 만성 정신질환자를 입소시켜 요양과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 ③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 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 촉진 훈련을 행하는 시설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① 만 15세 이상으로 정신의료기관의 정기적 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분열증, 조울증 등 만성 정신질환자를 주요 대상 ② 자해 및 타해의 우려가 적은 자 ③ 알코올 및 치매, 만 15세 미만의 소아정신질환자 ④ 지적장애는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만성 정신병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가능 ⑤ 기타 정신질환자의 주치의가 기능상의 장애로 인해 사회적응훈련을 포함한 사회복귀시설의 이용 및 입소가 특별히 필요로 하여 의뢰하는 경우를 대상

제11장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우리나라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1977년 건강보험의 도입과 함께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서비스가 보험수가로 인정받게 됨으로써 발전의 기틀을 마련 -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함께 사회복지사는 임상심리사, 간호사와 함께 정신보건 전문요원의 자격을 갖게 된 것 1급 :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학위 이상소지자로서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또는 보건 소에서 5년 이상 임상 실무 경험이 있는 자) 2급 :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로서 150시간의 이론교육과 830시간의 실습교육 후 제출 과제와 이론 시험에 합격한 자)

학 습 정 리 1. 상호 작용 모델 : 정신질환은 ‘마음의 병’이라고 보았다. 2.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정신보건 분야의 사회복지사를 과거에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라 하였 으나 오늘날에는 임상사회복지사라 부른다. 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고용 세팅과 역할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고용세팅은 정신병원, 생활치료센터, 종합병원의 정신과, 지역사회정신 보건센터 등이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일차적 치료는 정서적 문제 또는 행동상의 문제를 가진 사람에 대한 심리치료와 상담이다. 4.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시설에서 일한다. ⋅정신보건시설은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보건소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