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중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2008. 5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지원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품질개선대책서 대책 수립부서 : 품질보증 결 재 담 당 팀 장 부서장 본부장 사 장 전결 국가명 / 고객명 한국
Advertisements

선불형 T-money카드(교통카드)를 사용한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이스라엘 만든이 : 권정안.
하절기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Alert 최근 하절기 질식재해 사례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천장크레인-본체 재해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우유 및 유제품 5조 이 유 경,박 지 희,하 소 희, 장 영 아,박 은 지.
위해요소.
선행요건 프로그램.
RT AUX LATCH CABLE CAP 이종품 사출 개선 대책 청도대동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HKMC 부품품질통신 사례 협력사 전파 혁신과 도전 2012 Innovation & Challenges 2012
엔드밀 포장설비 제안서 자동화 사업부 ( ).
위해요소.
YDM KNUCKLE (멕시코 서한) 품질문제 발생현황 및 품질확보방안
협력업체 품질관리와 개선지도 품질보증부.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Operation & Maintenance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High Speed Grinding Mills
원가 관리 규칙 개정이력 개정일자 개정번호 ㈜합동전자 페 이 지 HDC /3 개정번호 개정일자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8D REPORT (Corrective Action)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10 식품과 이물.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작 품 명 설계목적 설계과정 제작과정 메커니즘 완성품 지도교수: 000 고00, 김00, 김00, 이00, 최00, 최00
현장관리 모범 사례.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Project Leader [DMAIC] : O O O.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SSOP.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CODEX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수율관리를 위한 POP시스템 목적과 용도 시스템과 구성 POP의 효과
건물형 이동식 샤워장 시방서 모델명 : BT80-S 제조사 : ㈜코리아 카라반.
PHILIPS LED 공식지정 판매점 우리 가정/매장을 필립스 LED 고품격 조명기구로 바꾸어 봅시다!!!
PS EXTN W/HSE INR FR LH H/W NUT 누락 발생 대책
자원 개발 계획 광체 조사 광체 경제성(feasibility) 평가 광업권 및 채굴권 등록 광산 디자인 및 개발
우기대비 SUB KD 업체점검 실시계획 년도 경영방침 [안정성장, 경쟁력 확보] 사장님 결재
M300 Tie Bar H/VAC MTG BRKT hole 누락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 품질 문제 대책서 작성시 주요점검 사항 (Check Sheet)
국내 중대재해.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1.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 평가 방법 - 실린더 온도 조건 변경 (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반도체 공정간의 반송을 원활히 하기 위한 AMHS 장비는 높은 시공/조정 능력이 제품의 품질로 이어져 매우 중요 합니다.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입식품 위생점검 서비스
HACCP HACCP 시스템의 7원칙.
협력사 품질문제 개선대책서 동신공업㈜ 2016년 08월 29일 LFA 품 번 품 명
우리학교에서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학과 : 환경공학과 학번 : 이름 : 강 문 환
모유착유기 구성품 허가ㆍ관리 방안
멜라민 이란? 서울특별시 식품안전추진단 ( Q) 멜라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Work SMART, Smart CammSys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식품중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2008. 5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지원과

목차 1.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2.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3. 요약 및 강조사항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이물 혼입 클레임 실태조사 조사기간 : ’08. 3. 21~3. 28 조사대상 : 식품제조.가공업소 52개소 조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본청 및 6개 지방청) 조사내용 : 이물종류, 발생원인 등 이물 발생 사례 조사결과 : 총 1,727건의 이물 클레임 사례 파악 => 혼입 이물 종류 및 발생원인 등 실태 파악을 통한 이물관리 방안 도출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실태조사 결과 분석 인체. 동물류(396건/23%) : 머리카락, 동물의 털, 뼈 등 ▶ 혼입 이물의 종류(1,727건/100%) 인체. 동물류(396건/23%) : 머리카락, 동물의 털, 뼈 등 합성수지류(295건/17%) : 비닐, 플라스틱, 고무, 나일론끈 등 섬유류(260건/15%) : 실, 옷조각 등 곤충류(225건/13%) : 개미, 날파리, 파리 등 자연물(171건/10%) : 나무조각, 나뭇잎, 씨앗, 돌, 모래 등 탄화물(107건/6%) : 검은이물 등 탄화물 금속류(60건/4%) : 쇳조각, 구리선, 수세미, 철사, 은박지 등 변질 미생물(37건/2%) : 곰팡이, 애벌레 등 기타(176건/10%)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 인체․동물류(머리카락 등) 396건(23%), 합성수지류(플라스틱등) 295건(17%)으로 높게 나타남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실태조사 결과 분석 ▶ 이물 혼입 주요원인(1,727건/100%) 원료 유래 이물 클레임 1,727건에 대한 발생원인 분석 결과 원료 유래, 공정관리 미흡, 종사자 부주의, 운송.유통과정 중 혼입 등 크게 4가지 형태로 파악 공정관리 미흡 (848건/48%) 원료 유래 (425건/25%) 종사자 부주의 (389건/23%) 운송.유통 (65건/3%) => 공정관리 불량으로 인한 이물 혼입이 848건(48%)으로 발생원인 중 거의 절반에 이름

식품중 이물 혼입 실태 실태조사 결과 분석 ▶ 주요 발생원인별 혼입 이물 실태 원료 유래 원료 1차 가공시 혼입(원료 선별 미흡 등) => 나무조각, 나뭇잎, 씨앗, 뼈조각, 동물의 털, 돌 등 자연물 제조.가공과정 관리 미흡, 방충.방서관리 불량, 작업도구 파손에 따른 혼입 => 쇳조각, 종이, 실, 수세미 조각, 날파리, 개미 등 공정 관리 불량 종사자 부주의 종사자 개인위생관리 미흡, 작업도구 사용 부주의 => 칼날, 머리카락, 플라스틱 조각, 고무조각(고무장갑) 등 운송 유통 운송.유통 중 포장 훼손 => 곰팡이, 애벌레 등 증식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크기가 작거나 연질 이물 등은 X-ray 투시기 등 첨단 이물검출장비로도 제거 불가능 이물 관리는 사전 예방관리가 중요, 이와 함께 검출 장비도 최대한 활용 => 원료 관리 부터 제조.가공, 유통, 진열, 판매까지 철저한 예방조치와 관리 필요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원료 유래 혼입 이물 관리 주요혼입 이물 : 돌, 털, 모래, 씨앗, 뼈조각 등 자연물 발생원인 : 원료 1차 가공 등 영역에서 혼입, 사전 관리가 어려움 원료 관리 농산물, 축산물 등 1차 가공시 원료 선별 철저, 작업도구 사용 주의 입고검사를 통한 이물 제거 원료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적절한 입고검사 수행(여과망 활용 등) 금속이물 혼입 우려가 높은 원료의 경우 금속검출장비 적극 활용 자연 상태의 농산물 등은 원료 입고시 선별대를 이용한 전수 검사 실시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공정중 이물 혼입 예방 관리 주요혼입 이물 : 쇳조각, 볼트, 넛트, 고무조각, 날파리, 개미 등 발생원인 : 원료 포장 해체, 제조설비 및 기구, 방충.방서관리 불량 이물 발생원인의 가장 큰 범위 차지, 공정관리 및 작업장 밀폐관리를 적절히 수행할 경우 상당수 사전 예방 가능 입고, 보관 공정 관리 원료 포장 해체시 칼, 실, 끈, 스테플러 침 등 혼입 가능 작업자 교육 및 육안 검사 실시 제조공정 및 설비 관리 제조 설비 및 기구에 대한 관리계획 수립 이물 혼입 가능 설비 및 기구 목록화(관리대상 및 관리번호 설정) 주기적 점검(매일 작업 전, 후)을 통한 이상 유무 확인.점검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방충.방서 관리 작업장 출입문, 창문 등 밀폐관리, 작업장내 방역관리 미흡시 곤충류 혼입 작업장 외부 환경 점검(서식 환경) 및 원인 제거 포획장비 설치,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개선 조치 실행 “작업장 외부의 쓰레기, 덤불, 물, 웅덩이 등 곤충류 서식지 제거” “방충망은 곤충류의 유입을 일정부분 차단할 수 있으나 크기가 작은 미세 곤충류 등은 차단불가” => 출입문, 창문 등은 밀폐하고 작업장 환기시 내부 공조시설(환풍기 등) 활용 “정기적으로 출입구별 포획 곤충의 종류 파악, 밀폐관리 확인 점검 및 개선조치 실행”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종사자 부주의로 인한 이물 혼입 예방 및 관리 주요혼입 이물 : 머리카락, 작업도구 파손으로 인한 플라스틱, 칼날 등 발생원인 : 개인위생관리 불량, 청소 및 작업도구 사용 부주의 등 작업도구의 사용 제한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작업도구에 대한 관리번호 및 담당자 지정 운영 플라스틱 재질, 파손 가능성이 있는 도구(커터칼 등)의 작업장내 사용 금지 ( 부득이 사용시 식품으로의 혼입 가능성이 없는 공정, 작업장에서만 사용) 작업장 출입자에 대한 개인위생수칙 등 교육 실시 위생복, 위생모 착용 후 머리카락 등 이물 제거 반지, 목걸이, 귀고리, 머리핀 등 개인 장신구 착용 금지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운송.유통 과정의 제품 취급 관리 주요혼입 이물 : 애벌레 등 발생원인 : 운반 및 적재, 진열시 취급자 부주의 - 진열 작업자의 제품 취급 부주의(포장 개포시 칼사용 등) - 모서리가 날카로운 제품의 경우 운송 중 포장 훼손 주요사례 할인점 등에서 판매중인 즉석밥류에서 곰팡이 발생 라면 등 곡류를 원료로하여 가공한 제품에서의 애벌레 발생 등 운반 및 적재.진열 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 실시 제품 특성에 따른 운반 및 적재, 진열시 취급 요령 등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이물 검출 장비의 효율적 활용 금속검출기, X-ray 투시기 등 장비 활용시 장비의 특성 및 검출 능력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사용 금속검출기 검출대상 및 능력 : 철, SUS, 알루미늄, 구리 등 금속이물(최대 1.5mm이상) 검출능력의 결정요소 : 제품의 온도, 염도, 수분함량, 통과속도, 이물 혼입위치 등 기기 활용 및 관리기준 설정 - 제품의 온도가 높을수록(가열제품),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통과속도가 빠를수록 검출 능력 저하 - 제품의 특성 및 통과속도에 따라 테스트 칩을 활용한 검출능력의 한계를 충분히 시험한 후 최대 검출 가능 조건 확인 및 적정한 이물검출 기준 설정

이물 혼입 예방 및 저감화 방안 X-ray 투시기 검출대상 및 능력 : 금속이물, 플라스틱 등 경질이물(최대 0.5mm이상) 검출능력의 결정요소 : 제품의 통과 속도, 포장 재질(금속제, 플라스틱제), 제품내 이물의 혼입 위치에 따라 검출 한계 결정 기기활용 및 관리기준 설정 - 제품의 통과속도가 빠를수록 검출능력 저하, 혼입 이물의 위치에 따라 검출한계 결정 - 제품의 특성(온도, 수분함량) 및 통과속도에 따라 테스트 칩을 활용한 검출능력의 한계를 충분히 시험한 후, 최대 검출이 가능한 조건을 확인하고 적정한 검출기준 설정 “검출장비는 기기의 사양에 따라 검출능력 상이, 주기적인 유지보수 필요” “테스트칩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바꾸어 수회 검사 실시” => 이물의 크기가 검출한계 이내라도 이물의 혼입위치, 이물의 상태(테스트칩의 조건과 다른 상태)에 따라 검출이 안될수 있음

요약 및 강조사항 감도관리와 검출능력을 충분히 파악하고 활용 이물 관리는 사후 검출 제거보다 사전에 혼입을 예방 하는 것이 중요 원료 입고 검사, 공정중 혼입 예방, 종사자 교육 등 가능한 모든 예방조치 실행 검출장비 등을 활용한 이물의 검출, 제거는 사용장비의 철저한 감도관리와 검출능력을 충분히 파악하고 활용 검출한계의 인지 및 주기적 보수.유지(정상작동 여부 수시 확인) 이물 혼입 사고 발생시 신속한 원인파악과 개선 조치 실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