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분류의 기준과 실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 장. 고기후. 지질연대표 :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표 은생대 - 46 억년 전 시작  지구나이 시생대 - 38 억년 전 시작 선캄브리아기 원생대 - 25 억년 전 시작 고생대 - 5 억 7 천만년 전시작 중생대 - 2 억 5 천만년 전 시작 신생대 - 6 천 6 백만년.
Advertisements

N Plus(C Nplus) 사용 매뉴얼. Page 2 [ 프로그램 설치는 어떻게 하나요 ? ]
코마 봉교체식 안마기 제품 제안서 1.CONCEPT 2.FEATURE 3.DESIGN 4.FUNCTION 5.COMPANY 6.ETCETERA.
보고구분 의사결정 지시사항● 정보전달● 영업팀 배포처 사업장 팀 지시 사항 ● 기안 : ( ☎, 247) ● 팀장 : ( ☎, 240)
건축디자인과 3 학년 박 영 걸. I. 사업의 개요 II. 비즈니스 모델 III. 시장 조사 IV. 마케팅 V. 펜션 1 목 차목 차.
- 을까요 ? ① Sogang Korean 1B UNIT 5 “– 을까요① ?” 같이 춤 출까요 ? 네, 좋아요.
( 동사 ) - 는 Sogang Korean 2B UNIT 1 “( 동사 ) - 는 ” 누가 히로미 씨예요 ? 책을 읽는 사람이 히로미 씨예요. 책을 읽는 사람이 히로미 씨예요.
1 웹필터 소개 및 타 제품비교, 작동방법 및 구축사례 보고 필터링 솔루션 구성방식 비교 ……3 2. 웹필터 소개 및 작동방법 ……… 9 3. 구축 사례 …………………………15 4. 웹필터의 장점 ……………………22.
제품설계분석(II) 제2장.
“Grammar to Explain” 1. Every form of art is good for everyone. It is felt, enjoyed, and experienced. ※Every form of art를 앞 문장의 주어로 썼기 때문에 뒤 문장에서도 주어를.
PRELIMINARY INFORMATION
응용 전산 및 실습 MATLAB – Chapter 4 그래픽
①신생아기의 신체발달 ②신생아기의 운동발달 ③신생아기의 감각기관의 발달 ☞차례. ①신생아기의 신체발달 ②신생아기의 운동발달 ③신생아기의 감각기관의 발달 ☞차례.
수학이 이끄는 미래 ICT 산업의 메가트랜드 STEAM.
서울특별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운영 계획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유헬스케어사업단 식생활교육연구센터.
제2장 부울대수와 논리 게이트 내용 2.1 논리신호 2.2 기본 논리함수 : NOT 게이트(INV 게이트)/ AND 게이트/ OR 게이트 2.3 부울대수 : 부울대수의 정의와 사용 / 부울대수의 기본법칙/ 쌍대성/ 드모르강 정리 2.4 만능 게이트 : NAND.
경영학개론 동국대학교 전산원 Fall 2007 Ji Chan Jung.
사업타당성 분석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
6장 자료사전(DD).
-을 거예요 앤디 씨, 지난 방학 때 뭐 했어요? 그럼 다음 방학 때도 여행할 거예요? 여행했어요. 네, 여행할 거예요.
프로시저 와 인수전달 컴퓨터응용 및 실습 I.
응용프로그램 예제 컴퓨터응용 및 실습 I.
-으세요 ② 아버지가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네,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Sogang Korean 1B UNIT 3 “–으세요②”
14장 평기어 -기어의 종류 - 치형 곡선.
데이터 베이스 정규화 정규화의 필요성.
문화회관 및 국민체육센터 건립공사 시 행 청 : 인천광역시 중구 감 리 단 :
문항 제작, 유형 및 분석 윤장민 권애란 민선경 정혜민.
Right Now 담당 교수 : 문양세 교수님 팀 원 : 김원모(팀장) 우덕령, 김승선, 김종원, 문경민
-더라고요 MP3를 사려면 어디로 가는 게 좋을까요? 제가 전자 상가에 가 봤는데 값도 싸고 물건도 다양하더라고요.
-을 것 같다 날씨가 안 좋지요? 네, 비가 올 것 같아요. Sogang Korean 2B UNIT 3 “-을 것 같다”
Genetic Programmed Soccer Softbot
정규화-정규화 과정.
-아/어지다 잘못 세탁해서 옷이 작아졌어요. Sogang Korean 2B UNIT 5 “-아/어지다”
Chapter 4 교류 회로망 해석 김소담 김수진 김영은 김현희 이지혜.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uture of korean libraries
비즈니스 매너의 이해 01 Chapter 비즈니스 매너와 글로벌 에티켓 성공적인 취업과 직장예절의 길잡이 비즈니스 매너와
Relation(관계) 스토리보드 최윤남 연출.
발표자 : 이건준 박사 인도 국립 델리대 박사, 델리대 로스쿨(재), 인도사회전문가, 수준회계법률사무소 소장
MIDP-MOBILE INFORMANTION DEVICE PROFILE
현대미술에 관한 중심어 예술을 보는 다양한 관점 현대미술과 동양사상
Ⅰ. 서비스 개관 2. 기업생산성혁신서비스 (ePRINS) 구조 국내 DB 해외 DB 생산성 진단 생산성경영 시뮬레이션
비주얼 프로그래밍 1분반 화/목.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s
-느라고 어제 왜 학교에 안 왔어요? 아파서 병원에 가느라고 못 왔어요 Sogang Korean 3B UNIT 6 “-느라고”
(형용사) –은 것 같다 좋은 것 같아요. 오늘 앤디 씨 기분이 어때요?
문양세 (1st version: 문성우) (revised by 손시운)
베 토 벤(1770~1827) 독일 출생의 작곡가 고전적인 음악 형식에 풍부한 감정을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13강. Form 데이터 HttpServletRequest 어노테이션 데이터(커맨드) 객체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Wertheimer의 행태주의이론 사람의 행동에 대해 관찰해보신 적 있나요?
LOGIN할 때 아이디, 비번 입력 여부 체크하기
-았/었을 때 한국어를 처음 배웠을 때 뭐가 제일 어려웠어요? 발음이 어려웠어요.
과제 #5 MySQL 연동 php문서에서 SQL문의 삽입, 삭제, 수정, 검색을 수행한다. 주어진 form을 최대한 활용한다.
시공 계획 및 계약 관리.
2015 출석수업 제8장 커뮤니케이션.
건축학개론 건축학의 개념.
제3장 시간 영역에서의 모델링.
정의역, 공역, 치역 수학 7-가 함수 > 함수의 뜻 > 5-6/14 수업계획 수업활동 [제작의도]
경영이란---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수행되는 일체의 활동 또는 과정을
RF Spectrum Analyzer 의 기본이해
-아/어 드릴까요? 문 열어 드릴까요? 네, 감사합니다. Sogang Korean 2A UNIT 7 “-아/어 드릴까요?”
-을 때 공부해요. 그때 음악을 들어요? 네, 공부할 때 음악을 들어요.
8장 의사소통장애 Ⅰ.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1. 용어정의
국제물류.
Total Physical Response
본인은 회칙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대한치과턱관절기능교합학회의
검사도구의 조건 및 유형 2010/11/17.
서술형 평가 확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 소 영.
형태론 개관 한국어와 정보화.
창의적 신소재 공학설계 Mouse of Design 최 충 후.
Presentation transcript:

품사 분류의 기준과 실제

01_ 품사분류의 기준 02_ 품사분류의 실제 의미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기능 조사> 관계언 목 차 01_ 품사분류의 기준 02_ 품사분류의 실제 의미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기능 조사> 관계언 형식 동사, 형용사> 용언 관형사, 부사> 수식언 감탄사> 독립언

01_ 품사분류의 기준

01_ 품사분류의 기준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

01_ 품사분류의 기준 국어에는 몇 개의 품사가 있을까? 5품사에서 13품사에 이르는 품사분류론이 존재

품사분류의 기준에서의 의미란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인 의미 01_ 품사분류의 기준 의미 (뜻, meaning) ① 의미 (뜻, meaning) 품사분류의 기준에서의 의미란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인 의미

(가) 깊이, 깊다 (나) 높이, 높다 어휘적 의미: 深(깊을 심) 어휘적 의미: 高(높을 고) 형식적 의미: 사물의 성질, 01_ 품사분류의 기준 의미 (뜻, meaning) (가) 깊이, 깊다 (나) 높이, 높다 어휘적 의미: 深(깊을 심) 어휘적 의미: 高(높을 고) 형식적 의미: 사물의 성질, 상태를 나타냄 (형용사) 형식적 의미: 사물의 이름을 나타냄 (명사)

② 기능(구실, function) 한 단어가 문장 가운데서 다른 단어와 맺는 관계 01_ 품사분류의 기준

① 이 샘의 깊이가 얼마냐? ② 저 산의 높이가 얼마냐? 01_ 품사분류의 기준 기능 (구실, function) ① 이 샘의 깊이가 얼마냐? ② 저 산의 높이가 얼마냐? 문장의 주어로 쓰임 두 단어가 문장에서 차지하는 기능이 같음

주어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 01_ 품사분류의 기준 기능 (구실, function) ① 이 샘의 깊이가 얼마냐? ② 저 산의 높이가 얼마냐? 기 능 주어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

③ 이 샘이 깊다. ④ 저 산이 높다. 문장의 서술어로 쓰임 두 단어가 문장에서 차지하는 기능이 같음 01_ 품사분류의 기준 기능 (구실, function) ③ 이 샘이 깊다. ④ 저 산이 높다. 문장의 서술어로 쓰임 두 단어가 문장에서 차지하는 기능이 같음

서술어 한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 상태, 성질 등을 서술하는 말 01_ 품사분류의 기준 기능 (구실, function) ③ 이 샘이 깊다. ④ 저 산이 높다. 기 능 서술어 한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 상태, 성질 등을 서술하는 말

① 이 샘의 깊이가 얼마냐? ② 저 산의 높이가 얼마냐? ③ 이 샘이 깊다. ④ 저 산이 높다. 01_ 품사분류의 기준 기능 (구실, function) ① 이 샘의 깊이가 얼마냐? ② 저 산의 높이가 얼마냐? ③ 이 샘이 깊다. ④ 저 산이 높다. 형식적 의미의 공통성 기능의 공통성 따라서 각각 같은 품사로 묶일 수 있다.

01_ 품사분류의 기준 형식 (꼴, form) ③ 형식 (꼴, form) 단어의 형태적 특징

01_ 품사분류의 기준 형식 (꼴, form) 그래, 철수가 저 동화를 빨리 읽었다. → 변화하지 않는 단어

01_ 품사분류의 기준 형식 (꼴, form) 그래, 철수가 저 동화를 빨리 읽었다. → 변화하는 단어

그래, 철수가 저 동화를 빨리 읽었다. 읽 었다 는다 는구나 어라 ‘읽-’: 어간 뒤에 어미가 붙어 여러 모습으로 변화함 01_ 품사분류의 기준 형식 (꼴, form) 그래, 철수가 저 동화를 빨리 읽었다. 읽 었다 는다 는구나 어라 ‘읽-’: 어간 뒤에 어미가 붙어 여러 모습으로 변화함

희 었다 다 구나 *어라 (책)이 었다 다 로구나 *어라 읽 었다 는다 는구나 어라 같은 변화하는 말이지만 01_ 품사분류의 기준 형식 (꼴, form) 희 었다 다 구나 *어라 (책)이 었다 다 로구나 *어라 읽 었다 는다 는구나 어라 같은 변화하는 말이지만 세 단어의 변화양상이 조금씩 다름

02_ 품사분류의 실제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의미: 사물의 명칭을 표시하는 말 → 명사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의미: 사물의 명칭을 표시하는 말 → 명사

의미: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나) 나도 그것이 더 좋다. 의미: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 → 대명사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의미: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 → 수사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의미: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 → 수사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나) 나도 그것이 더 좋다.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나) 나도 그것이 더 좋다.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기능: 문장에서 주어의 기능을 함 → 문장의 몸, 주체되는 자리에 나타남: 체언 형식: 변하지 않음

명사>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참고 명사>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 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대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_ ‘저’, ‘우리’, ‘너희’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참고 대명사> 인칭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_ ‘저’, ‘우리’, ‘너희’ 지시대명사 :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 _ ‘거기’, ‘무엇’, ‘그것’

수사> 양수사 서수사 : 사물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사 _ ‘하나’ : 대상의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_ ‘첫째, 둘째’ 02_ 품사분류의 실제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 참고 수사> 양수사 : 사물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사 _ ‘하나’ 서수사 : 대상의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_ ‘첫째, 둘째’

02_ 품사분류의 실제 조사> 관계언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나) 나도 그것이 더 좋다.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02_ 품사분류의 실제 조사> 관계언 (가) 민호가 신문을 읽었다. (나) 나도 그것이 더 좋다. (다) 사과 하나가 떨어졌다. 의미: 체언이나 부사, 어미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 → 조사 기능: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냄 → 관계언 형식: 변하지 않음 (예외: 서술격 조사 _ ‘이다’)

조사>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 체언에 붙어 그 말의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표시하는 것 _ ‘이/가’, ‘이다’ 02_ 품사분류의 실제 조사> 관계언 참고 조사> 격조사 : 체언에 붙어 그 말의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표시하는 것 _ ‘이/가’, ‘이다’ 접속조사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_ ‘와’, ‘하고’ 보조사 : 체언, 부사, 활용 어미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것 _ ‘만’, ‘도’

서술격 조사 _ ‘이다’ 학생 이다 이면 이니 이라서 02_ 품사분류의 실제 조사> 관계언 서술격 조사 _ ‘이다’ 학생 이다 이면 이니 이라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일반 조사들과 달리 ‘이다’는 형태가 변하는 가변어에 속한다. 예) 그것이 책이다. ‘이다’는 문장의 주어 ‘그것이’의 ‘이’와 비교하여볼 때 체언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사의 성격이 분명히 있지만, 용언처럼 활용한다는 또 하나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가) 민호가 웃는다. (나) 개나리가 핀다. 의미: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냄 → 동사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가) 민호가 웃는다. (나) 개나리가 핀다. 의미: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냄 (가)는 사람의 움직임, 동작 _ (나)는 자연의 움직임, 작용 → 동사 기능: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함 → 용언 형식: 변화함

(가) 철수는 착하다. (나) 하늘이 흐리다. 의미: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냄 → 형용사 [그림씨]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가) 철수는 착하다. (나) 하늘이 흐리다. 의미: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냄 (가)는 사람의 성품 _ (나)는 날씨의 상태 → 형용사 [그림씨] 기능: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함 → 용언 형식: 변화함

동사, 형용사의 형식상의 차이 민호가 웃는다. 개나리가 핀다. 철수는 착하다. 하늘이 흐리다. 동사 형용사 종결어미 종결어미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동사, 형용사의 형식상의 차이 민호가 웃는다. 개나리가 핀다. 철수는 착하다. 하늘이 흐리다. 동사 형용사 종결어미 종결어미 ‘-는/ㄴ다’ ‘-다’

동사, 형용사 구분법 1) 현재형 '-는/ㄴ다'(선어말 어미-ㄴ/는, 어말어미-다)를 붙여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동사, 형용사 구분법 1) 현재형 '-는/ㄴ다'(선어말 어미-ㄴ/는, 어말어미-다)를 붙여 활용이 되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대체로 형용사 예) 뛴다 _ 동사 / 희다: *흰다, 곱다: *곱는다 _ 활용이 안되므로 형용사 2) 명령형 '-어라'로 활용하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대체로 형용사 예) 먹다: 먹어 _ 동사 / 예쁘다: *예뻐라 _ 명령형이 아님, 형용사 3) 진행의 '-고 있다'가 붙으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대체로 형용사 예) 뛰고 있다 _ 동사 / *좋고 있다_ 형용사 4) '-고 싶다, -러 가다'를 붙일 수 있으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대체로 형용사 예) 뛰고 싶다. 공부하러 갔다 _ 동사 / *길고 싶다, *예쁘러 갔다 _ 형용사 5) 청유형 '-자'를 붙여 말이 되면 동사, 그렇지 않으면 대체로 형용사 예) 먹자 _ 동사 / *예쁘자 _ 형용사

동사> 자동사, 타동사, 능격동사 : 그 움직임이 주어에만 미치느냐 주어 이외 목적어에도 미치느냐에 따라 참고 02_ 품사분류의 실제 동사, 형용사> 용언 참고 동사> 자동사, 타동사, 능격동사 : 그 움직임이 주어에만 미치느냐 주어 이외 목적어에도 미치느냐에 따라

02_ 품사분류의 실제 관형사, 부사> 수식언

(가) 새 책이 많다. (나) 헌 옷부터 빨아라. 의미: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줌 02_ 품사분류의 실제 관형사, 부사> 수식언 (가) 새 책이 많다. (나) 헌 옷부터 빨아라. 의미: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줌 → 관형사 기능: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거나 한정함 → 수식언 형식: 변화하지 않음

(가) 어서 다녀 오너라. (나) 꽃이 매우 예쁘다. 02_ 품사분류의 실제 관형사, 부사> 수식언 (가) 어서 다녀 오너라. (나) 꽃이 매우 예쁘다. 의미: 용언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히 함 → 부사 [어찌씨] 기능: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거나 한정함 → 수식언 형식: 변화하지 않음

관형사> 성상관형사 수관형사 지시관형사 :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관형사_ ‘새’, ‘헌’ 02_ 품사분류의 실제 관형사, 부사> 수식언 참고 관형사> 성상관형사 :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관형사_ ‘새’, ‘헌’ 수관형사 : 사물의 수나 양을 나타내는 관형사_ ‘한’, ‘두’, ‘스무’ 지시관형사 : 특정한 대상을 지시하여 가리키는 관형사_ ‘이’, ‘그’, ‘저’

부사> 성분부사 문장부사 :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주는 부사 : 문장 전체를 꾸미는 부사_ ‘과연’, ‘정말’, ‘아마’ 02_ 품사분류의 실제 관형사, 부사> 수식언 참고 부사> 성분부사 :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주는 부사 문장부사 : 문장 전체를 꾸미는 부사_ ‘과연’, ‘정말’, ‘아마’

02_ 품사분류의 실제 감탄사> 독립언

(가) 아! 벌써 해가 뜨는구나! (나) 그래, 빨리 가 보자. 02_ 품사분류의 실제 감탄사> 독립언 (가) 아! 벌써 해가 뜨는구나! (나) 그래, 빨리 가 보자. 의미: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을 나타냄 → 감탄사 [느낌씨] 기능: 따라오는 문장과 관련을 짓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임 → 독립언 형식: 변화하지 않음

02_ 품사분류의 실제 감탄사> 독립언 참고 감탄사> 감정감탄사 의지감탄사 입버릇 및 더듬거림

품사분류표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언 조사 (서술격 조사) 용언 동사, 형용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단어 02_ 품사분류의 실제 품사분류표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언 조사 (서술격 조사) 용언 동사, 형용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단어 → 기능을 중심으로 한 단어의 갈래

02_ 품사분류의 실제 품사분류표 불변어 체언 명사, 대명사,수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 (서술격 조사) 가변어 용언 동사, 형용사 단어 형식 기능 의미

자립어: 감탄사>체언>용언>부사>관형사 의존어: 조사 02_ 품사분류의 실제 품사의 자립성 여부 자립어: 감탄사>체언>용언>부사>관형사 의존어: 조사

품사 구분해보기 뭐하니 지후, 얼른 내 방으로 데려가지 않고. 명사 동사 조사 명사 동사 나의 동사 부사 조사 대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