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이해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소 차 진 열
생물 다양성이란 ? 지구가 형성되고 지구상에 생물체가 출현한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생물은 다양한 환경의 변화에 적응 하면서 생존해 오는 동안 다양한 종(species)으로 분화되어 왔다. 즉, 생물은 끊임없이 변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처하여 도태, 적응, 생존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진화를 계속하여 왔는데, 오늘날 생물의 다양성(diversity)은 바로 진화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생물은 종에 따라 형태적으로 다양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같은 종에 있어서도 서식지나 생식 시기, 나이, 성(sex) 등에 따라 서로 각기 다른여러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지구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종이 있을까? 1758년 린네(Linne)가 동물계(動物界)에서 4,162종을 기재 1898년 모비우스(Mobius)는 415,000여종을 기록 1969년 마이어는 동물이 약 100만 종, 식물이 50만 종이 될 것이며 지구가 형성되고 생물이 출현한 후 지금까지 생존했다가 멸종한 생물은 약 5억 종에 이를 것이라 추산 현 지구상에 서식하고 있으면서 기록되지 않은 종을 포함: 300∼1,000만 종이 서식할것으로 추정. 매년 1만여종의 신종이 보고되어짐고 있다. 곤충에 있어서 1953년 사브로스키(Sabrosky)가 685,000종을 기록 1969년 마이어는 75만종 1999년 현재 약 97만종 종기재의 정도 포유류(哺乳類), 조류(鳥類), 파충류(爬蟲類) 등은 90% 이상 기재 절지동물(arthropoda), 해양무척추동물(marine invertebrata), 원생동물 (protozoa) 등은 현생종의 약 10%만 이 기재
가장 오래된 곤충의 화석은 곤충의 시초는 약 3억 6천만년전의 고생대 데본기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중에 톡토기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화석(리니엘라 프라이큐샤, Rhyniella praecursar)
곤충의 분류학적 위치는 Subphylum Trilobita- trilobites (화석종): 삼엽충아문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Subphylum Trilobita- trilobites (화석종): 삼엽충아문 Subphylum Chelicerata 협각아문 Subphylum Crustacea - crustaceans 갑각아문 Subphylum Atelocerata 유각아문 Class Diplopoda - millipedes 노래기(배각)강 Class Chilopoda - centipedes 지네(순각)강 Class Pauropoda - pauropods 소각강 Class Symphyla - symphilans 결합강 Class Hexapoda insecta 곤충강
절지동물문 (節肢動物門, Phylum Arthropoda; arthro, 관절 + podos, 다리)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은 동물계 전체의 3/4를 차지하는 큰 군(群)으로 인간과 비교적 관계가 깊은 거미, 곤충, 지네, 게, 새우 등을 포함한다. 현재까지 약 90만 종 이상이 알려졌다.
A. 배각류 (Diplopoda) B. 순각류 (Chilopoda) 삼엽충아문 절지동물문, 다지강 A. 배각류 (Diplopoda) B. 순각류 (Chilopoda) 삼엽충아문 A B
절지동물문, 협각아문 A. 등각류 (Isopoda) B, C. 주형강 (Arachnida) 절지동물문, 갑각아문 A. 민조개삿갓류 (Lepas) B. C. 연갑강
절지동물문, 곤충강(昆蟲綱, Class Insecta; insectum, 곤충)
진정한 곤충의 몸 구조 머리에는 쌍의 더듬이,1쌍의 겹눈, 3개의 홑눈과 구기(mouth part)로 구분 가슴은 앞쪽으로부터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인 3개의 마디 각 가슴에는 1쌍씩의 다리, 가운데가슴과 뒷가슴에는 1쌍씩의 날개 배는 원칙적으로 12마디이나 뒤쪽 부분의 마디가 퇴화 또는 다른 기관으로 변형된 것이 많아 일반적으로 9-11마디
소 형 날 개 키틴질(chitin)의 외골격 몸 구조의 적응성 생활사 전략 높은 생식능력과 짧은 세대간격 다양한 생리, 생태 곤충이 번성하고 있은 이유 소 형 날 개 키틴질(chitin)의 외골격 몸 구조의 적응성 생활사 전략 높은 생식능력과 짧은 세대간격 다양한 생리, 생태
우리나라 곤충류 분포 특징 지리적 구분은 구북구계 만주아구에 해당된다. 곤충의 분포는 북방계와 남방계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우리나라 곤충은 고유종이 많다 환경특성에 적응과 진화하여 고유종(endemic species)의 구성 비율이 높은 편이다. 환경부(2003년 7월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기록된 생물은 약 29,851종으로써 이중에 25,530종에 대해 문헌검토 결과 한국 고유종 114목, 449과 1,240속, 2,356종( 9.2%) 고유종의 구성 비율은 고등식물 17.8%(707종/3,971종), 곤충 9.2%(1,039종/11,299종), 양서·파충류 24.3%(10종/41종), 어류 6.5%(59종/905종)
곤충과 인간생활과의 관계 곤충은 인간의 생활과 연관되어 피해 유무와 이용 정도에 따라 개념이 적용되었다 해충으로서의 곤충 해충으로서의 곤충 인축의 피해 질병의 매개자(모기 등) 유용생물자원으로서의 곤충 천적으로 활용 화분매개충으로 이용 곤충의 부산물과 산업적 이용 약용 및 식용 문화적 가치로서의 곤충 법의 곤충으로 이용 유전자보고(gene pool)로서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곤충 기록 현황
법으로 보호되는 곤충들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곤충 경남 울주군 언양면의 반구대 암각화, 대곡천(국보 제285호): 230종- 300종도 삼국유사에는 호남지방에서 풀무치(Locusta migratoria)로 추정되는 메뚜기 종류인 황충의 대발생에 대한 여러 번 기록 1704(숙종 30년) : 송충이 대발생 - 4월 관민합동구제 1443(세종) 동물, 곤충, 어류의 의약적 이용에 관한 내용 기술 화가 1504-1551 : 신사임당, 초충도 1769-1845 : 신위, 봉엽실화 1811-1888 : 남계우, 화엽쌍부도
우리나라 곤충 연구 현황 우리나라 곤충의 연구는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제1기 (1840-1904) : 서구인에 의한 연구 ( 탐험대, 선상생활) 제2기 (1905-1929) : 일본인에 의한 연구 제3기 (1930-1945) : 일본인, 한국인에 의한 연구 제4-5기 (1945-현재) : 해방 이후 한국인 곤충에 관한 학문적 접근 영국, 독일인들의 서양인들에 의해 시작 초기 채집자들은 선원, 군인, 외교관, 식물학, 동물학 등 다양 최초로 학계에 보고된 곤충은 1847년 타툼(T. Tatum)이 발표한 제주홍단딱정벌레 : Damaster smaradigus monilifer Tatum 한국곤충명집(1994) 곤충 11,028종의 목록이 수록, 딱정벌레류가 26%, 나비목류가 25%로 그 다음이 벌목, 노린재목 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