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만성 질환 관리 및 건강조사 전문가 FMTP Ⅱ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정선병원 간호팀 1 의사 order 시행지침 정선병원 2 병동 수간호사 송 만 자. 정선병원 간호팀 2 차례 1. 목적 2. 정의 3. 구두지시 적용 기준 4. 구두지시 수행 기준.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사회복지학과 7 조 장호 성 윤미영 김연경 전은현 짱쭝민.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식기에 관한 소비자 조사 Ⅰ. 조사 개요 Ⅲ. 조사 결과 분석 Part1. 식기브랜드 관련 소비자 인식 국내 식기브랜드 최초 / 비보조 인지 수입 식기브랜드 최초 / 비보조 인지 식기브랜드 보조인지 보유 식기브랜드 현재.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국민여행실태조사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실태 추가분석 보고서.
III.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 실태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고성군민 기대수명 연장을 위한 중점추진 사업계획 고성군 보건소.
경남 헬스3.3 프로젝트 핵심사업 보고 밀양시 보건소.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경희의료원 ADHD 환자 현황 및 처방분석 김인경0, 이은경, 홍혜정,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배 경 목 적 방 법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수술 환자의 안전사고 예방활동 수술전 점검표 개선과 수술부위의 확인체계 수립 수술환자 안전사고 예방팀: 예경아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노후 대비에 관한 조사 -
지도교수 : 이상훈교수님 학과 : 컴퓨터시뮬레이션 학번 : 이름 : 진선미
피임이란?.
2011년도 건강검진 안내.
서울시 중구 충무로 4가 일흥빌딩 5층 ☎ 02) 지하철 만족도 조사 서울시 중구 충무로 4가 일흥빌딩 5층 ☎ 02)
경희의료원 외래 환자의 항고혈압제 처방현황 및 처방분석
유-헬스케어 U-Health Care.
Credit Guarantee.
HP: 사업 제안서 거울이 부착된 안약용기 HP: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 경영학부 최은지 경영학부 이창현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외과병동에서 시행되는 Wound dressing시 처치/재료 입력 누락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알레르기비염 치료를 위한 면역요법의 효과 김영기 이비인후과 김영기, 윤건식.
데이터 베이스 DB2 관계형 데이터 모델 권준영.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ITQ 정보기술자격 국가공인 Excel 2007 Ⅱ 함수- 15회차 강사 : 박영민.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주요 프로그램 고객 요청에 의거 품질/개발 분야 각 3개 과정으로 구분하여 교육 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의약품 유통구조의 난맥상과 의약품 가격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의료급여 정신과 수가체계 개선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여주대학교 사용자 메뉴얼 개발사 PM 현업 PM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척도의 속성 - 목 차- 자료수집과정 척도의 속성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리커트척도 3.Data(자료)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Anyang Volunteer Center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상관계수.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11장 2차적 자료 수집과 내용 분석 경북대학교 황성동 C.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남편과 꼭! 같이 들어아야 하는 맞춤 태내기부모교육!
함께 하는 상정보건진료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특성과 보호자의 부담감에 따른 방문작업치료 요구도
4분기 업무보고 및 2011계획 방 문 건 강 관 리.
Ch 07. 조사 도구 개발 조사 도구 개발 과정 조사주제 •가설 정의 개념화•조작화 척도 질문지 구성-원칙과 양식
보건복지부 13기 대학생 금연서포터즈 활동 계획서 OOOO대학교, OOOO팀 팀장 이름 : 홍길동.
사례관리 대상자 발표 (관절염 사례) 화성의 정다운 건강돌보미 선임간호사 조미희 화성시 보건소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피쉬본을 이용한 문제분석 참여자 프로그램 운영내용 낮은 완성률 프로그램운영자 진행자 1인이 주4회 운영 동기부족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졸업프로젝트.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2015년 만성 질환 관리 및 건강조사 전문가 FMTP Ⅱ 만성 질환자의 의약품 오남용 행태조사 Drug Misuse and Abuse Behavior Survey of Chronic Disease 백금 보건진료소 한 종 숙 조사 배경 1 1. 청양군 인구변화 추이 2. 청양군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30) 3. 청양군 당뇨병 평생 의사진단 경험률(≥30) 4. 백금보건진료소 인구현황 및 만성 질환자 관리 현황 노인실태조사(보건복지부, 2014) ▪ 89.2%가 한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 보유(평균 2.6개의 질환 보유) ▪ 만성질환 유병률: 고혈압(56.7%), 관절염(33.4%), 당뇨병(22.6%) 2.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 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박영임, 2014) ▪ 다수의 노인들은 증상완화와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처방 및 비 처방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도 많아 5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다 약제 복용 노인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됨 관할 지역 관할인구수(세) 만성질환 관리자 계 (명) 0~5 6 ~ 19 20 64 65세 이상 고혈압 당뇨 합계 5개리 565 12 243 291 (52%) 72 21 83 4. 약물 사용 실태에 따른 약물 오남용 행위 점수 조사 대상 및 방법 2 특성 구분 빈도 (수) 백분율 (%) 약물 오남용 t or F p M±SD 사용 약물 수 1가지 2가지 이상 5 46 9.8 90.2 3.8±1.79 4.17±1.23 -.616 .541 복용 횟수 6~7일/주 3~4일/주 1~2일/주 48 1 2 94.1 3.9 4.05±1.25 6.0 5.5±0.71 2.458 .096 약물 사용 유형 처방약만 복용 처방, 비 처방 약물 함께 복용 38 13 74.5 25.5 4.0±1.23 4.54±1.39 1.74 .194 약물 사용법 및 사용량 결정 전문가 설명 설명서 읽고 3 5.9 4.1±1.29 5.0±1.0 .432 .233 부작용 경험 유 무 49 96.1 4.0±.0 4.14±1.31 3.365 .879 잘못 복용한 경험 투약을 잊어 버린 경험 31 19 60.8 37.3 4.22±1.31 4.0±1.29 .051 .555 교육 유무 예 아니오 4.15±1.72 4.13±1.12 .054 .958 조사 대상 및 기간 ▪ 2015년 7월 22일 ~ 8월 21일 ▪ 백금보건진료소에 등록되어 있는 만 65세 이상 만성 질환자 중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인지에 문제가 없는 51명 2.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 2015년 7월 22일 ~ 8월 21일 ▪ 1:1 대면 설문 조사법(약물 오남용행위 도구) ▪ 수집된 자료는 SPSS(버전 18.0)프로그램 이용 ▪ 일반적인 특성(범주형)은 빈도분석 ▪ 대상자의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약물 복용실태에 따른 약물 오남용점수(연속형)와의 관계는 t-test 와 ANOVA 분석 조사 결과 3 1. 약물 오남용 행위 점수 특성 구분 (점수) 빈도 (수) 백분율 (%) M±SD 오남용 행위 점수 ≤ 3 4 5 ≥ 6 17 15 13 6 33 29 25 4.14±1.28 결과 요약 4 특성 구분 빈도(수) 백분율(%) 약 사용을 잊고 약 복용을 빠뜨린 적이 있다. 예 아니오 31 20 60.8 39.2 처방약, 비처방약, 다른 사람이 준 약을 함께 사용한 적이 있다. 51 100 사용 약물과 부작용에 대해 의사, 약사에게 질문한 적이 없다. 44 7 86.3 13.7 ❍ 약물 오남용 행위 점수 4.14점 ► 3.6점(이강이, 2014), 4.65점(이종경, 2013) ► ‘처방약, 비 처방약, 다른 사람이 준 약을 함께 사용한적이 있다.’ 응답 51명으로 100% 로 약물 오남용 행위의 심각성을 보여줌. ❍ 복합 상병을 가진 대상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함 ❍ 약물 교육 유무는 기대와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노인을 대상으로 직접 약물 교육을 시행한 저소득 노인(김수정,2008), 문해력이 낮은 노인 (Han, 2011), 농촌지역 노인(이준화, 2007), 지역사회노인(박영임, 2014), 지역사회 고혈 압 노인(이종경, 2013)등 교육 후 통계적으로 유의함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약물 오남용 행위 점수 특성 구분 빈도 (수) 백분율 (%) 약물 오남용 t or F P M±SD 성별 남 여 21 30 41.2 58.8 3.76±1.22 4.4±1.27 -1.79 0.80 연령 (세) ≤ 69 70~74 75~79 ≥80 13 11 14 25.5 21.5 27.5 4.15±1.21 4.46±1.75 4.0±1.04 4.0±1.28 .316 .814 교육수준 무학 초졸 중졸 이상 39 6 76.5 11.8 4.13±1.30 4.67±1.33 3.67±1.37 .915 .407 배우자 유 무 27 24 52.9 47.1 4.29±1.41 3.96±1.12 .939 .352 가족형태 독거 함께 거주 22 29 43.1 56.9 4.0±0.98 4.24±1.48 -.663 .511 향후 사업 계획 5 1. 사업 목적 1)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올바로 인지하고 스스로 관리 할 수 있다. 2) 복약 이행의 준수로 만성 질환 관리에 도움이 된다. 3)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고 폐 의약품이 감소한다. 2. 사업 내용 1) 대상: 보건진료소에 등록되어 있는 만성질환 대상자 중 2가지 이상 질환을 가진 50명(시범 운영) 2) 세부추진내용 - 일정: 2016년 1월~2월 - 집단 교육 및 소규모 그룹별 교육 시행 - 1달의 자가 관리 기간을 주어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중간 점검및 미비점 보완, 반복교육 실시 3. 기대효과 1) 반복 교육으로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 및 자가 관리 능력 함양 2) 약물 사용의 이해를 돕고 약물 오남용 예방, 올바른 약 사용에 대한 행동 기대 3) 불필요한 의료비 절감과 폐 의약품 감소로 환경오염 예방 3.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 오남용 행위 점수 특성 구분 빈도 (수) 백분율 (%) 약물 오남용 t or F P M±SD 건강상태 건강한 편 보통 건강하지 못함 14 13 24 27.5 25.5 47.1 4.14±1.83 4.31±1.11 4.04±0.99 .176 .839 의료기관 방문 횟수 1회/2~3월 1회 이상/1월 아플 때마다 방문 3 10 38 5.9 19.6 74.5 3.0±.0 4.3±1.34 4.21±1.26 1.605 .201 가지고 있는 질환 수 1가지 복합 질환 41 80.4 3.4±1.35 4.32±1.21 -2.1 .041 결론 및 제언 6 ❍ 표본 선정의 한계 및 일반화의 어려움 ❍ 프로그램 시행 전 문헌 고찰을 통한 추가적인 설문 작성 및 수정 보완 ❍ 약물 교육 경험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약물 교육 경험의 효과성에 문제 => 약물 오남용 행위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개발과 현장 적용의 필요성 및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