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공 계 획 서 (강관압입추진공) 2018. 10..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정선병원 간호팀 1 의사 order 시행지침 정선병원 2 병동 수간호사 송 만 자. 정선병원 간호팀 2 차례 1. 목적 2. 정의 3. 구두지시 적용 기준 4. 구두지시 수행 기준.
Advertisements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불특정 공격에 무너진 H 사 업무 시스템 서서히 저하 내부에서 원인 불명으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서서히 저하 되는 현상이 발생 공격의 발생 핵심 장 비 서비스가 되다 되지 않는 현상이 심해지고 결국 핵심 장 비는 장애가 발생하게 됨 장비 장애 발생 핵심 장비 장애 전체.
1 Spin Dryer_High Spin(2대) 구매사양서 문의처변상섭 책임연구원 (NCNT) 연락처 ,
타워크레인 사고사례 및 안전대책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3 경 2 명이 사망하고, 1 명이 경상.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건설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중대재해사례[건설] 천공작업 중 항타기해머 낙하.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안전펜스 제품설명 제품설명 제품설명 안전펜스는 위험지역, 구동설비시설 주위의 접근금지 및 출입통제를 목적으로
초과근로시간 및 수당 베트남 정부는 1주 48시간의 근로시간 제도를 기본으로 하면서
하절기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Alert 최근 하절기 질식재해 사례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천장크레인-본체 재해예방대책 한국산업안전공단.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착 공 계 공 사 명 : 계 약 금 액 : ₩ (VAT포함) 계 약 일 자 : 2002년 월 일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 Bulk Head 및 Ballast Water Tank)
TARGET 운반 CASE 제품 소개서 OSUNG METAL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Awning 구조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무대장치 SD-301 system(특허 ) 1. 유일성 : 기존의 목재및 철재 구조틀로 무대를 설치하는것을 조림 시스템(이동가능)으로 조립하는 공법으로 체육관, 대강당 시공시 무대에서 체육관 마루까지 조립 시스템으로 완벽한 마루틀을 형성할 수 있다.
(Wire & Wireless Anemometer)
RENO Detector Design meeting
SK건설 기성실적 증명발급 Manual (협력업체용)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피임이란?.
2011년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Tel: (02) , HP:
원가 관리 규칙 개정이력 개정일자 개정번호 ㈜합동전자 페 이 지 HDC /3 개정번호 개정일자
덤프트럭 작업시 장비 안전기준 작업시 유의사항
세미실드 공법설명자료.
부 품 승 인 원 조직 및 role 변경에 따른 수정 제조자 품명 : 제조자 규격 :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장비별 공통 안전수칙10계명 굴삭기 •버켓 탈락방지용 안전핀 설치 •비탈면 전도방지 위한 작업경로 확보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또 한 번의 인재(人災)! 지하철 공사장 사고 직업안전.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덕신산업 (제7,000호 인정) 『CLEAN 사업』추진현황 한국산업안전공단 광주지역본부.
1. TR&T 공 법 개요 TR&T 공법은 가. 지하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대구경 강관을 압입하고 나.강관내부를 굴착한 다음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PS EXTN W/HSE INR FR LH H/W NUT 누락 발생 대책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Ⅰ 줄걸이작업 안전기준 아차사고 사례 전파 빔클램프(안전학카)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와이어로프 단말가공법
품 질 문 제 개 선 대 책 서 수 신 : 참 조 : 발 신 : 작성일 : 구 분 작 성 검 토 승 인 중 간 통 보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평면도에서 점선으로 강조한 직육면체 형상의 피처를 생성한다. 여기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준비를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TrustNet 전자 협조전 사용설명서 목 차 작성,수정,삭제 결재함 처리현황 발송대장,접수대장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고해상도 IP 무선 송수신기 제품 MANUAL Model Name : D2400.
협력사 품질문제 개선대책서 동신공업㈜ 2016년 08월 29일 LFA 품 번 품 명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당사는 “대전건축박람회" 전시회 참가규정을 준수할 것을 서약하며 사업자등록증사본을 동봉,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시 공 계 획 서 (강관압입추진공) 2018. 10.

목 차 1 공사개요 2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3 4 5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6 품질관리 계획 안전관리 계획 환경관리 계획

공사 개요 공사명 : 지북배수지 신설공사중 추진공사 2. 시공자 : 3. 공사개요 공 종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공사 개요 공사명 : 지북배수지 신설공사중 추진공사 2. 시공자 : 3. 공사개요 공 종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흙막이공(가시설공) SHEET PILE 식 1 발진, 도달구 관추진공(강관압입) D800mm m 85.0 1구간

  공사 개요 4. 계획평면도

  공사 개요 4. 추진구간 설치상세도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 강관 압입 공법 1-1 .공법개요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 강관 압입 공법 1-1 .공법개요 Open cut공법이 지장물이나 교통상황 등의 여건으로 인해 적용이 곤란할 경우, 후방의 반력벽에 지지된 유압JACK을 이용하여 추진관을 압입 후, 추진관 내부에서 인력 및 장비로 수평굴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시킨 뒤 본관을 삽입하여 소기의 목적물(통신, 상하수도, 전력, 도시가스 등)을 지중매입하는 공법을 말한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1-2 강관 압입 공법의 장점 구 분 유 압 식 공 법 장 점 - 소음, 진동이 적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1-2 강관 압입 공법의 장점 구 분 유 압 식 공 법 장 점 - 소음, 진동이 적다. - 암반의 지반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 여건에 따라 지장물의 확인이 가능하다. 토 질 조 건 - 토사 및 암반까지 범용성이 있다. 시 공 성 - 주변영향을 비교적 줄이고 시공가능 정 밀 도 선형과 레벨을 확인할 수 있어 우수. (추진 중 조정가능) 주 변 영 향 - 주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적 용 성 - 토질상태나 현장여건에 간섭이 적어 범용성이 있다. 공 기 - 인력 굴착으로 인해 비교적 길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1-3 시공 흐름도

추진작업구내 바닥 및 반력벽 콘크리트 양생후 본 관로 계획구배로 기계레일설치와 유압장비를 조립거치시킨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1-4 시공방법 1 추진작업구내 바닥 및 반력벽 콘크리트 양생후 본 관로 계획구배로 기계레일설치와 유압장비를 조립거치시킨다 2 첫 번째 pipe에 선단슈 보강작업을 한다. 3 기계 레일위에 선단슈 보강을 한 pipe를 거치시키고 레벨을 다시 확인한다. 4 거치된 첫 번째 pipe를 유압잭으로 추진한다. 5 유압잭과 강관사이에 밀대를 반복해서 끼워넣어 추진을 계속한다.. 6 선추진하고 후굴착으로 관내 토사를 밖으로 배출후 사토시킨다. 7 첫번째 pipe추진이 완료되면 레벨측량 확인후 두번째 pipe를 거치 시키고 강관 용접 접합을 한다. 8 강관용접 접합 완료후 ④,⑤,⑥,⑦ 항을 반복 작업한다. 9 도달구로 강관을 관통 완료시킨다. 10 추진관로가 완료되면 속관을 추진관내에 부설한다. 11 속관이 부설되면 몰탈그라우팅 작업을 한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 가시설공 1-1. SHEET PILE공법 가)작업준비 (1) 작업로 개설 및 강재 작업장 설치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 가시설공 1-1. SHEET PILE공법 가)작업준비 (1) 작업로 개설 및 강재 작업장 설치 1) 작업로 개설 ① 본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장비 운반 및 기타 운반이 원할 하도록 작업로를 개설한다. 2) 강재 작업장 설치 ① 항타 작업장 까지 소운반 거리 및 진입로에서 부터 운송 조건을 고려하여 본 공사에 지장이 없는 위치를 선정하여 지반의 정지 작업을 실시 한다. 3) 지장물 조사 및 제거 또는 보호 조치 ① SHEET PILE 항타선 정리를 위하여 줄파기(현장여건 따라)를 시행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나) GUIDE BEAM의 설치 (1) 1회 이동설치시 SHEET PILE 22본 항타를 기본으로 한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나) GUIDE BEAM의 설치 (1) 1회 이동설치시 SHEET PILE 22본 항타를 기본으로 한다. (2) 필요시 쇄기를 사용하여 설치 한다. 다) SHEET PILE 천공 및SHEET PILE 항타 1) Sheet PILE 천공 ①장비는 오거와 케이싱 작업이 가능한 오거로 한다 ② 현장 여건에 따라 스크류 및 함마(암반 천공용) 병용 사용한다 2) 항타 장비 1) SHEET PILE장 비 ① 해머는 유압햄머를 사용 한다. ② 지질조건과 현장여건에 따라 디이젤 햄머, 유압 햄머, 압입장치 등으로 선정할수 있다. 2) 항타 1) GUIDE Wall을 수직 수평을 맞추어 설치 한다 2) 각 PILE에 NO. 부여 (깊이 및 거동시 표기 위함)

SHEET PILE을 유압 HAMMER로 CHUKING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라)항타순서 및 장비배치는 아래 그림과 같다. 1)항타순서 줄 파 기 현장 여건 따라 시행 선 천 공 선천공 진행 GUIDE PILE 및 BEAM 설치 SHEET PILE을 세운다 (반복작업) SHEET PILE을 유압 HAMMER로 CHUKING VIBRO HAMMER 작동 SHEET PILE 항타 항 타 정 지 VIBRO HAMMER 정지 GUIDE BEAM 철거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마) SHEET PILE시공시 유의사항 1) SHEET PILE 선 천공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마) SHEET PILE시공시 유의사항 1) SHEET PILE 선 천공 ①천공순서와 방법에 대하여는 현장여건에 따라 시행한다. ② 천공은 1번 천공 3번 천공 2번 천공을 반복하여 시행한다 ③ 천공중 수직 수평을 확인하며 천공하여야 한다 ④ 3번 천공중 비트에 쏠림 현상을 체크한다 ④SHEET PILE박기중 쏠림 현상으로 인한 암반 미 천공시 다시 천공을 실시 한다 2) SHEET PILE ①SHEET PILE의 세우기, 박기의 순서와 방법에 대하여는 현장여건에 따라 시행한다. ② SHEET PILE은 수직으로 세워야 하며, 특히 비틀림에 대하여 주의하여야 한다. ③ 항타중 또는 항타 후에도 이음부의 손상 또는 이탈 등이 발견되었을때는 원칙적으로 인발후 다시 항타하여야 한다. ④SHEET PILE은 특히 회전과 경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바) SHEET PILE 공법 1) SHEET PILE 선 천공 ① 케이싱및 함마 비트 공법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바) SHEET PILE 공법 1) SHEET PILE 선 천공 ① 케이싱및 함마 비트 공법 -케이싱은 연약 지반에 천공횰이 무너지지 않고 공기 압을 이용하여 함마 비트를 암반에 천공을 위한 공법이다. ②공법의 특징 -천공시 진동 및 함마 비트에 의한 소음이 발생. - 케이싱및 함마 비트로 시공하므로 정밀을 요함. 1) SHEET PILE 항타 ① 바이브로 햄머에 의한 항타공법 -진동 햄머에 의한 항타공법이란 햄머의 S/P 자중의 해머의 항타력으로 S/P를 지중에 근입하는 방법이다. -항타시 진동 및 소음이 발생. -크레인 또는 백호를 이용하여 진동 햄머로 시공하므로 시공이 단순 간편함.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사) SHEET PILE 문제점 및 대책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사) SHEET PILE 문제점 및 대책 Sheet pile타입 중에 경사, 맞물림 관입, 두부 파괴, 이음부 이탈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타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1) 경사 대책 가) 세운 Sheet-pile의 두부를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경사 반대방향으로 당겨준다. 나) Sheet pile을 끼워 맞출 때 이미 연결된 측이 짧아지게 하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하단부 경사 방향의 지반 관입 저항을 이용하여 조금씩 경사를 수정한다. 다) 단독 타입의 경우를 병풍식 타입으로 바꾸어 시공한다. 라) 연결부에서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결부에 윤활유를 바르고 틈새에 흙이 끼이지 않도록 선단부 내에 슈(Shoe)를 장착한다. 마) 해머의 타격위치를 안쪽으로 조절하여 경사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3. 굴착 1) 시공계획 (1) 시공자는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상 구측물의 시공방법 및 현장의 각종 상황(흙막이 말뚝, 지반, 노면교통, 매설물, 연도 건조물 등)을 충분히 조사후 착공한다. (2) 시공에 있어 지반 매설물, 연도 건조물, 기타의 사유로 흙막이공, 비계, 동바리공등에 대하여 변경이 필요한 때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는다. (3) 시공자는 매설물 및 가공물을 확인하여 그의 방호, 이설 등의 계획을 세워 감독자의 지시를 받는다.

  시공방법 및 시공순서 2) 굴착공사 (1) 굴착중에는 항시 토류벽 내외를 관측하여, 흙막이공, 비계 및 동바리공, 노면등에 이상이 발견 되었을 때에는 조속히 이에 대한 보강을 하여야 하며, 감독자에게 보고한다. (2) 특히 흙막이공의 배면으로부터의 용수등의 침투현상이 발견되거나, 노면에서 침투현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조속히 그의 방호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매설물 부근은 그 매설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굴착해야하며, 매설물의 보호가 완료될때까지 굴착해서는 안된다. (4) 매설물 위치도는 시공중 참고로 하며, 굴착이 시작되기 전에 사전에 확인하고, 굴착도중에도 특별히 유의하며, 위치를 재 확인하여야 한다. (5) 굴착은 띠장(Wale)에서 0.5m의 작업공간을 주어 단수별로 굴착하고, 전면적을 일시에 하지말고, 각 단계별로 굴착한 후, 각 부분별로 굴착 즉시 띠장을 설치하도록 하고, 굴착도중 토류벽의 변형이 주위 지반의 침하등, 사고가 우려될 경우에는 즉시 굴착 및 양수등의 작업을 중지하후 적절한 조치 를 받는다.

  예 정 공 정 표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직 종 직 위 작 업 인 원 작 업 시 간 비 고 1). 인원 투입 계획 관리자 현장소장 1 O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1). 인원 투입 계획 직 종 직 위 작 업 인 원 작 업 시 간 비 고 관리자 현장소장 1 O 강관압입 팀 장 팀 원 3 가시설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2) 장비 투입 계획 장 비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구 분 장 비 명 강관압입 유압잭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2) 장비 투입 계획 장 비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구 분 장 비 명 강관압입 유압잭 400 TON 이상 대 2~6 유압 유니트 200 TON 1 발전기 75~300 KW 용접기 20 KW 2 송풍기 양수기 3”(3 HP) B/H 0.1 ㎥ 가시설 공사 크레인 22~55 TON 0.2 ~ 1.0 ㎥ T4 + V/H 90KW D/T 2.5~15 TON 150 ~ 350 Kw 20 Kw 3 HP

품질 관리 계획   1). 품질관리 일반 ① 해당규정에 부합한 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방서 및 해당기준 규정 등에따라서 품질관리를 실시한다. ② 규격 및 시험방법은 계약서의 시방내용과 감독원의 지시를 따르도록 한다.   2). 공사용 재료의 품질 공사에 사용할 모든 재료는 시방서의 규정에 부함되는 품질과 종류이어야 하며, 그 품질은 한국 산업규격에도 부합되어야 하고, 감독원의 승인을 받는다. 3). 시공확인 및 검사 ① 감독원이 행하는 재료검사 외에 시공의 확인, 검사에 필요한 노력 및 자재는 시공자의 부담으로 제공한다. ② 특별히 지시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시공의 확인, 검사의 결과에 따라 승인을 받은 후 다음 작업을 시작한다. ③ 공사 시공 후 검사가 불가능 한 부분은 반드시 감독원의 입회 및 검사를 받고 시공상태를 증빙 할 수 있는 사진과 기록서류를 감독원에게 제출한다. 4) 기성 및 준공검사 ① 공사의 기성부분 검사 및 준공검사는 원도급자의 현장대리인이 받는다. ② 검사를 위하여 필요한 자료의 제출, 기타의 조치에 대하여는 감독원의 지시에 따른다.

품질 관리 계획   5). 작업구분에 따른 품질관리 POINT

품질 관리 계획   5). 작업구분에 따른 품질관리 POINT

품질 관리 계획 1. 용 접 항 목 적 용 기 준 비 고 강관압입 사용자재 강재 D800mm 용접부 단 면   1. 용 접 관용접에 사용되는 재료는 KS공업규격품으로 시방서에 제시된 용접봉을 사용하며, 사전 공사감독관의 공급원 승인후 사용한다. 2) 용접에 투입되는 작업원은 용접면허 소지자를 원칙으로 하며 무 자격자의 현장투입시는 사전 감독관 입회 하에 현장 용접 시험을 거쳐 승인후 투입한다. 3) 우천, 풍설시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므로 작업을 중단한다. 4) 현장여건에 따라 관부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관부설이 끊길 경우 물 및 이물질 이 들어가지 않도록 철판을 1회 용접으로 막아둔다. 항 목 적 용 기 준 비 고 강관압입 사용자재 강재 D800mm 용접부 단 면 전면 베벨 엔드 후면 플레인 엔드 용접각 일면 30+5도 (양면 60+10도) 두께 2.4 mm 이하 루트간격 3 ± 1 mm 강관말뚝기준 준용 맞대기이음단차 e ≤ 1 mm 모재의두께가 15 mm이하인경우 용접방법 맞대기 홈용접 용접재료 LC300 7016 용접봉 모재가 SS 800 이며 예열을 하지 않는 경우

안전관리 계획 근 로 자 1). 안전관리 조직 안전보건 관리 총책임자 현장소장 안전 보건 위원회 안 전 보 건 협 의 체   1). 안전관리 조직 안전보건 관리 총책임자 현장소장 안전 보건 위원회 안 전 보 건 협 의 체 재해예방전문기관 기술지도 위원장 : 위원 : 관리감독자 전원 위원 : 협력업체 소장 관리감독자 공무 과장 관리감독자 추진 팀장 근 로 자

안전관리 계획   2). 안전교육 계획 1. 안전사고요인 산업안전보건법 제 31조 시행규칙 제 33조 규정에 의한 기본적인 법정교육 항목은 물론 본 공사의 특성상 별도 추가 관리하여야 할 공종에 대하여도 법정시간 이상을 할애하여 교육 관리할 계획임.

안전관리 계획   2). 안전교육 계획 2. 안전보건교육 일정표

안전관리 계획   2). 안전교육 계획 2. 안전보건교육 일정표

안전관리 계획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1. 도로 횡단 공사 가) 조사 및 시공계획(작업구,추진구간 사전조사)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1. 도로 횡단 공사 가) 조사 및 시공계획(작업구,추진구간 사전조사) - 도로,철도 주변의 지장물을 검토하고 또한 추진시기의 기상, 홍수, 교통, 환경등의 현지상황을 조사하여 시공시기을 결정하여야 한다. 조사결과에 따라 시공계획과 작업구의 배치, 시공방법 및 공정 등에 대한 도면 및 계획서를 작성한다. 추진작업의 발진구 및 도달구의 위치는 지장물을 피하여 최대한 안전 한 곳에 설치하고 추진기의 구배 및 방향은 정확히 위치 시킨다. -작업현장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조사한다. *추락 및 낙화물 위험이 있는 장소는 방호시설을 설치하거나 안전망을 사용 하는등 조치의 강구 *추진 작업구내 관계자외 출입금지의 조치 *추진관등을 인양중 특히 와이어 로프 내측과 화물 하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금지 *강풍, 폭우, 폭설등의 악천후시 작업중지

안전관리 계획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1. 도로 횡단 공사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1. 도로 횡단 공사 나) 가설 설비(작업구 차수공사) 기계, 기구, 부재는 정상적인 것을 사용하며 하중에 대하여 충 분한 안전율을 가져야 한다. 재사용 자재의 경우 시험을 실시한 후 사용한다, - 자재운반시 양중기계의 부재는 다음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하중에 따른 재질과 구조를 갖추고 , 충분한 안전율을 갖도록 한다. * 견고한 지반에 세우고 활동이나 침하되지 않도록 한다. 제반 로우프는 최대하중에 적합한 규격을 사용하고 또한 이어 서 사용하지않는다. 작업자의 안전수칙 준수를 위하여 하중,속도,위험 등의 표지를 설치하여 이에 따라 작업을 진행시킨다. 중량물 취급 기계, 크레인, 테릭, 하물걸이용구, 와이어로프, 체 인등은 항상 점검 및 보수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계획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① 횡단 공사 - 부재의 반입 및 출입, 가조립을 위한 가조립시는 지휘자를 정하   3). 주요공정 안전관리 계획 ① 횡단 공사 다) 철재 가설작업 - 부재의 반입 및 출입, 가조립을 위한 가조립시는 지휘자를 정하 여 작업을 직접 지휘하여야 하다. 부재는 지정한 장소에 두고 조립작업 순서에 따라서 견고한 고 임목 위에 바르게 두어야 한다. 반입 및 출입, 가조립, 가설 등의 작업시 주요 부재에 손상을 주 지 않도록 신중하게 취급하여야 한다. ② 토공사 및 기초공사(작업구 터파기) 가) 일반사항 - 경험이 있는 기술자를 배치한다. - 굴착에 있어 토석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고 하부에서의 작업을 금지하며, 또한 하부에 통로가 있을 경우 방호시설을 설치하고 감시원을 배치하며 “낙하주의” 등의 표지를 부착한다. 기존 선로에 근접하여 작업하는 경우 열차 감시원을 배치하고 안전표지 를 부착 위험이 많은 작업장에 굴착장비, 트럭 등을 운전하는 경우 신호수를 배치

안전관리 계획 대피 및 신호방법을 정하여 사용하며 특히 소음이 있는 작업장   대피 및 신호방법을 정하여 사용하며 특히 소음이 있는 작업장 에는 신호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매설물에 근접한 작업에는 원칙적으로 매설물 관리자와 입회하 여 작업을 실시 한다. 매설물은 달아매기, 받침 등으로 견고하게 하며 상황에 따라 명 확한 표시, 방호물을 설치하여 작업중에는 감시자를 배치한다. 작업 완료시는 복구를 신속히 실시한다. 나) 인력 굴착 작업 - 붕괴시키거나 붕괴 위험을 초래할 작업은 절대하지 않는다. * 지하굴착 작업은 굴착 1.5m 초과시는 라이너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작업한다. *굴착토사 및 기자재 등은 굴착측 벽 위에 두지 않도록 한다. *작업 지휘자 (작업반장급)의 작업지휘아래 작업을 실시한다. 다) 기계 굴착 작업 - 건설기계, 트럭 등의 운전은 자격 있는 지명된 자가 운전하도록 한다. - 굴착작업에 종사하는 기계운전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안전모 착용 * 운전수칙을 확실히 준수, 무리하고 난폭한 운전을 하지 않는다.

안전관리 계획 * 작업범위내 타작업원이 있을 때는 철저히 주의하며, 상호 긴밀   * 작업범위내 타작업원이 있을 때는 철저히 주의하며, 상호 긴밀 히 협조하여 작업 하고, 작업범위내는 작업원의 출입을 금지시킨다. * 후진시는 유도원의 지시에 따른다. · 무리한 사용은 금지하고, 노면의 끝단의 작업시는 유도자를 배치한다. * 사면 붕괴가 쉬운 지반상에 기계를 두지 않는다. * 기계의 운전을 정지시는 반드시 시동을 끄고 시건장치를 한다. 선로상의 작업은 철도공사 안전시설기준에 따라 각종표지, 바 리케이트, 야간조명 유도원을 배치하여 실시한다. 고압선 부근에서 작업시는 접촉위험 고압선은 반드시 방호조치 를 하고, 방호조치가 되지 않은 고압선 아래서의 작업 또는 이동 은 유도자를 배치하고, 붐은 최소 한 고압선에서 3m이상 떨어지게 한다. - 굴착 작업시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 경험 많은 작업지휘자의 직접지휘 아래 작업실시 * 기계의 능력이상 초과되게 사용하지 않는다. - 착암기 작업시는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 비탈면의 작업시는 기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필요시 로우 프로 묶어 둔다. * 공기호스 길이는 여유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안전관리 계획 * 낙석 위험이 있는 경우 응급조치 (간호원 및 구급용구)를 강구한다.   * 낙석 위험이 있는 경우 응급조치 (간호원 및 구급용구)를 강구한다. - 백호 등의 작업시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 작업반경내 작업원이 출입 않도록 한다. * 굴착토사를 트럭 또는 화차에서 적재할 때는 적재함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한다. 라) 흙막이 공 - 흙막이공의 재료는 변형, 부식 및 손상된 것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조립도를 작성 조립을 실시하며 조립도에는 판, 막뚝, 버팀대 및 띠 장의 비치,치수, 재질 및 작업방법과 순서가 명시되어야 한다. - 버팀대 및 띠장은 흙막이 및 말뚝공과 확실히 부착되어야 하고 탈락 되지 않도록 한다. 버팀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철판을 부착하여 볼트로 고정하거나 용접으로 접합 하는등 견고하게 부착시켜야 한다. 중간 막뚝의 경우 버팀대와 브라켓, 용접 또는 볼트로 확실히 고정시 켜야 한다. 안전담당자를 지정 작업방법의 결정, 재료·공구의 점검 및 불량품 제 거, 안전모,안전대 등의 보호구 사용의 지도·감독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고 동시에 작업을 직접 지휘하도록 하여야 한다. 재료, 기구 및 공구의 운반시는 달줄, 달포대를 사용하여 운반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계획 ③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관리 계획 흙막이공은 7일이내마다 점검을 실시하며 특히 흙막이판, 띠장, 버   흙막이공은 7일이내마다 점검을 실시하며 특히 흙막이판, 띠장, 버 팀대등 부재의 손상, 변형, 부식, 변위 탈락유무와 상태 침하의 유무 등에 점검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 폭우후, 지진후 반드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흙막이 벽 및 버팀대 상부에 중량물, 토사 또는 기계 등을 과하중이 되지록 한다. - 버팀대 위에 재료, 기계 및 기구 등의 적치시에는 낙하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 보강자재는 항시 사용가능하도록 준비한다. ③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관리 계획 가) 운행선 안전공사 작업시 안전대책 - 작업전 안전대책 · 작업전 인접역과 관련사무소와 사전 연락 · 열차안전운행을 위한 불안전요인 사전제거 · 관리감독자, 현장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실시 · 작업장에 감시원, 신호수 지정 · 열차감시원, 안전장구 지급 및 휴대용품 확인철저 (깃발, 호루라기, 헬멧, 반사조끼, 무전기, 휴대폰, 경보기 등) · 작업개소 전후방 200m, 400m 지점에 선로작업 표지판 설치 - 선로변 안전 대책 · 작업중 열차 진입시 작업일시 중단 · 선로변 기자재의 정리정돈 및 건축한계 외방지역에 적치

안전관리 계획 · 중장비 작업시 선로 중심에서 2.1m이상 이격거리 유지   · 중장비 작업시 선로 중심에서 2.1m이상 이격거리 유지 · 열차 감시원 열차 진입시 작업원에게 열차 접근 사전경고 · 지하매설물(신호케이블, 광케이블, 통신주, 한전주, 도시카스, 상수도) 보호대책 강구 · 열차운행시간표를 항상 휴대 - 작업후 안전대책 · 작업 후 주변정리, 정리정돈 철저 · 사고보고 체제 확립 · 사고발생시 6하원칙에 의거 한국철도시설공사 영남지역본부에 신속 보고 · 현장 비상소집망 정비 · 재난 대비 비상대기조 운영 나). 운용중인 철도 시설물의 보호 - 공사 현장 인접 시설물 · 현장구간내 인접시설물 사전조사 철저 · 공사 종류별로 인접시설물에 대한 위험 요인, 피해 범위 현황 파악 · 위험 요인별 시설물 보호 대책 · 현장의 위험 요인별 시설물을 표식 관리 - 지하매설물의 보호 · 시공시 지하매설물 보호 조치 · -매설물에 대한 위치, 깊이 등을 확인하여 표시 · 매설물이 훼손하지 않도록 보링, 말뚝박기등은 확인된 위치와 여유를 두고 작업 · 주요 매설물 인접 작업시 관계자 입회후 작업

환경관리 계획 1). 소음·진동 저감방안   ① 소음 저감방안 ② 진동 저감방안

환경관리 계획   2). 폐기물 저감방안

환경관리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