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우리나라의 식생활문화. 식문화의 특징 주식인 밥과 부식인 반찬으로 구분곡류 가공식품 및 저장발효음식 발달 다양한 조리법 발달약식동원과 음양오행 사상 바탕 일상식과 구분하여 의례에 따른 세분화된 잔칫상 차림, 계절에 따라 시식과 절식의 풍습.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우리나라의 식생활문화. 식문화의 특징 주식인 밥과 부식인 반찬으로 구분곡류 가공식품 및 저장발효음식 발달 다양한 조리법 발달약식동원과 음양오행 사상 바탕 일상식과 구분하여 의례에 따른 세분화된 잔칫상 차림, 계절에 따라 시식과 절식의 풍습."— Presentation transcript:

1 우리나라의 식생활문화

2 식문화의 특징 주식인 밥과 부식인 반찬으로 구분곡류 가공식품 및 저장발효음식 발달 다양한 조리법 발달약식동원과 음양오행 사상 바탕 일상식과 구분하여 의례에 따른 세분화된 잔칫상 차림, 계절에 따라 시식과 절식의 풍습

3 식생활 문화의 발달 배경 발달 특징 지리적 특징 농경지 + 산多 삼면의 바다 수산물이 풍부, 벼농사 발달, 발효 식품 기술의 발달 삼면이 바다 ▶ 어패류 주요 식량 서해안 염전 ▶ 소금생산, 건어물, 젓갈 등 발달 * 식품저장 방법 ( 장류, 김치류, 젓갈 류 등 발효식품 ) 발달 다양한 식생활과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자연적 형성요인을 갖춤 ▶ 다양한 잡곡 및 채소류 등 다양한 밭 작물 생산, 조리법 개발 기후적 특징 온대기후 뚜렷한 사계절구분 ▶ 시식 · 절식 발달 기후적 환경이 농사와 축산에 적합 ↓ 다양한 음식문화 발달 지역별 특 징 관북 지방 : 메밀 재배 황해도, 평안도 지방 : 소맥, 기장 영남 지역 : 대맥 호남 지역 : 쌀.

4 주요 특징 곡물을 이용한 음식 발달 ( 주식 : 밥 ) 뚜렷한 주식과 부식의 구별 발효식품과 조리법이 매우 다양 ( 김치 등 ) 여러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복합적인 맛을 즐김 음식의 외양보다는 맛 위주 제도상의 특징 어른을 중심으로 모두 독상을 원칙 ( 유교사상 기초의 상차림 * 대가족제 ) 의례를 매우 중시 ( 돌, 혼례, 회갑, 상례, 제례 등 ) 통과의례 행사 시, 차리는 찬품의 종류가 정해짐 아침과 저녁 식사를 특히 중 ( 후식 : 숭늉 ) 식생활 문화의 일반적 특징

5 풍속상의 특징 공동식 풍습 발달, 예절 중시, 주체성이 뛰어남 음식의 겉모양보다는 조화된 맛을 중요시 ( 조미료와 향신료를 적당히 사용, 정성을 많이 들임 ) 공동체 생활의 풍속이 발달 저장발효식품, 건조저장식품이 발달 명절식, 시식과 매월의 절식 풍습.

6 구분특징 ① 반상 ( 飯床 ) 차림밥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 ② 죽상 ( 粥床 ) 차림 응이, 미음, 죽 등의 유동식을 중심으로 하고 맵지 않은 국물, 김치와 젓국찌개, 마른반찬 등을 갖추어 차림 ③ 장국상 ( 면상麵床 ) 차림 국수를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을 면상이라 하며 점심 에 많이 이용 ④ 주안상 ( 酒案床 ) 차림 술을 대접하기 위해서 차리는 상으로 안주는 술의 종류 와 손님의 기호를 고려하여 차림 ⑤ 교자상차림교자상은 손님 초대상으로 반상, 면상, 주안상 모두가 함께 어울린 상차림 한국 음식의 상차림

7 1 일 세끼, 공간나열형 식사형태, 반상 : 밥과 반찬으로 차리는 기본이 되는 상  외상 or 겸상 첩수 ( 밥, 국, 김치, 조치를 제외한 반찬의 개수 ) 에 따라  3 첩, 5 첩, 7 첩, 9 첩, 12 첩 반상 빛깔 & 영양을 고려 : 재료나 조리법이 겹치지 않게 함 7 일 상 식일 상 식일 상 식일 상 식

8 3 첩 반상 12 첩 반상 7 첩 반상 5 첩 반상 * 밥, 국, 김치가 기본이 되며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둔다. * 수저는 국그릇 뒤에 두고 젓가락은 숟가락 뒤에 붙여 놓는다. * 수저 끝이 3 ㎝ 정도 밖으로 나오도 록한다 * 장류는 상의 중심에 두고 김치는 중심의 뒤쪽에 둔다.

9 9 연 회 식 : 특별행사의 의례 상차림 관혼상제, 명절, 잔칫날 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경우 잔치 음식 : 국수, 만두, 떡, 술, 한과류, 음료 등 교자 상 아기가 태어난지 1 년, 첫 생일을 축하는 상 장수, 부귀, 다복을 기원 쌀, 국수, 흰 실타래, 붓, 먹, 책, 활, 돈, 미역국, 백설기, 수수팥경단, 송편 등 돌상 회갑, 혼례 등 경사로운 일을 축하하는 의미로 주인공을 위한 상 큰상 제사의 종류,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름 메, 탕, 적, 나물, 편, 포, 과일, 학과류, 제주 ( 祭酒 ) 등 제상

10 구분 ① 출생出生 아기가 태어난 날삼신상 : 흰쌀밥, 미역국 ( 각각 3 그릇씩 ) 소미역국 : 산모가 출산 후 처음 먹는 흰밥과 미역국 ( 고기를 넣지 않고 끓임 ) ② 삼칠일三七日 아기가 태어난 지 21 일째 되는 날흰 쌀 밥, 미역국 ( 고기를 넣고 끓임 ) 백설기 ③ 백일百日 출생 후 백일이 되는 날흰 쌀밥, 미역국 ( 소고기 넣고 끓임 ), 백설기, 붉은 팥고물 찰수수경단, 오색송편 ④ 첫돌 아기가 태어나서 만으로 한 해가 되는 날밥, 미역국, 푸른 나물 ( 미 나리 ), 백설기, 오색송편, 인절미, 찰수수경단, 생실과 쌀, 삶은 국수, 대 추, 통과의례 음식과 상차림

11 ⑤ 책례冊禮 아이가 책을 한 권씩 뗄 때마다 행하던 의 례 백일, 돌상에 올리던 것과 같은 작은 모양의 오색송편 ⑥ 관례冠禮 아이가 자라 15 세 이상이 되면 어른이 되 었음을 상징하는 의식 주酒, 과果, 포脯등의 음식 ⑦ 혼례婚禮 사람이 성장하여 부부의 인연을 맺게 되는 의식 봉채떡, 달떡과 색떡, 밤, 대추, 곶감, 사과, 배, 쌀, 콩, 팥 ⑧ 육순六旬 회갑, 진갑 부모가 만 59 세 : 육순 만 60 세 : 회갑 만 62 세 : 진갑 국수장국 수장국상 ( 임매상 ) ⑨ 상례喪禮 상례는 사람이 운명한 후 그에 대한 마지 막 이별 절차를 행하는 의례 전奠 : 주酒, 과果, 포脯 조석상식朝夕上食 : 밥, 국, 김치, 나물, 구이 조림

12 구분날짜 ① 설① 설새로운 해의 첫번 째 날주로 떡국, 잡누르미, 편육, 전유어, 잡채, 과정류, 식혜, 수정과, 햇김 치 ② 대보름上元삼원 중 으뜸이 되는 날, 음력 정월 보름 정월 대보름의 음식으로는 오곡밥, 약밥, 복쌈, 부럼, 귀밝이술,9 가 지 묵은 나물, 김구이 ③ 중화절中和節농사철 시작을 기념하는 음력 2 월 초 하루 노비송편 ④ 삼짇날 3 의 양수가 겹치는 날 ( 음력 3 월 3 일 ) 화전, 화채, ⑤ 한식寒食동지 후 105 일이 되는 날 음력 2 월 하순이나 3 월 초 밥, 그리고 김, 술, 과일, 포, 식혜, 떡 ⑥ 등석燈夕음력 4 월 초파일 ( 석가모니 탄일 ) 느티나무의 어린잎으로 만든 느티떡 ⑦ 단오端午음력 5 월 초닷새수리취 절편, 제호탕, 앵두 편, 앵두화채, 준치만두 ⑧ 유두流頭음력 6 월 15 일수단, 건단, 유두면, 밀쌈, 편수, 임자수탕 ⑨ 삼복三伏하지 후 셋째 경일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 육개장, 개장국, 삼계탕, 잉어구이, 증편, 복죽 ⑩ 칠석七夕음력 7 월 7 일밀전병과 밀국수, 주악, 규아상, 어채 ⑪ 추석秋夕음력 8 월 15 오려송편 ( 햅쌀로 만든 송편 ), 토란탕, 밤단자, 닭찜, 화양적, 송이 산 적, 햇과일 ⑫ 동지冬至음력으로 11 월 중기팥죽, 전약, 골동반, 냉면, 수정과, 식혜 세시음식

13 조미료, 향신료 조미료와 향신료 간장, 소금, 된장, 고추장, 식초 등의 조미료 고춧가루, 마늘, 생강, 겨자, 후추 등의 향신료 양념 음식의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음식 위에 뿌리 거나 얹어서 내는 것 달걀지단, 알쌈, 미나리초대, 고기고명, 잣, 버섯, 호두, 은행, 대추, 밤, 실고추, 붉은 고추, 참깨 등 고명

14 대표음식 쌀과 잡곡을 이용한 음식 죽 병인식, 보양식 시절식 (ex: 팥죽 ) 떡 일상식, 시절식, 의례음식 제조방식 : 진떡, 찐떡, 친떡, 삶아 건진 떡 술 밥에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곡주 청주, 소주, 막걸리 등 다양한 전 통주 문화 국수 & 만두 귀한 손님대접, 잔치 때만 쓰는 음 식 메밀국수, 녹말국수, 칼국수 등 콩을 이용한 음식 장류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콩 발효 시 아미노산 등 단 백질 분해물 생성, 한국음 식의 조미료 콩국수 콩을 갈아 국물을 내어 국 수를 만들어 먹음 두부 콩을 갈아 국물을 응고 시 켜 가공 콩나물 콩의 싹을 길러 채소를 구 하기 어려운 겨울 반찬 이 용

15 대표음식 육류를 이용한 음식 삼국시대 고구려 : 맥적 등 육류 음식 발달 불교전래 후 이용감소 원나라 침입 후 육류음식 ↑ : 구이, 찜, 볶음, 전, 회 등 발달 육류 요리 너비아니 : 양념구이 일종, 안심이나 등심살을 얇게 저며 잔 칼질을 하고 갖은 양념을 하여 숯 불에 굽는 음식 불고기, 갈비구이 등 음식으로 발전 탕의 문화 부위와 조리법에 따라 곰탕, 설렁탕, 갈비탕 등 설렁탕 : 고기의 국물을 이용하는 음식으로 사 태, 양지를 내장, 소머리와 함께 고아서 기름을 거둔 후 고깃살을 저며 함께 먹는 음식 해산물을 이용한 음식 제철에 따라 풍부하게 잡히는 생선 : 찜, 구이, 조림, 찌개 저장 : 생선을 말리거나 염장발효 ( 젓갈 ), 김치 등의 제조에 천연조미료로 이용

16 대표음식 채소를 이용한 음식 생체 or 데쳐서 조미 : 들나물, 산나물, 재 배 채소 채소 저장 : 말리거나, 염장발효 ( 김치, 장 아찌 ) 김치의 어원 침채 ( 소금물 에 담근 채소 ) → 팀채, 딤채 → 침채 →‘ 김치 ’ 김치의 발달 3000 년 전 중국에서 ’ 저 ( 菹 )’ 라는 나타남 삼국시대에 전래 고려시대 : 동치미, 물김치, 장아찌로 다양화 조선시대 : 고추 보급 ▶ 지금의 김치 한국의 전통 후식, 한과류 불교영향 : 고려시대 차문화 발달 ▶약 과, 매작과, 강정류, 다식 등 함께 발달 조선시대 : 의례음식 발달로 다양화 한과류 약과 : 기름이 지진 것 유밀과 : 예 ) 매작과 정과류, 숙실과 : 꿀에 조린 것

17 17 대표음식 음청류 한국의 차문화 : 불교와 더불어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기호음료 : 여러 약재를 넣고 끊인 것을 차라 하였다 ’ ▶ 녹차 < 한방차 ( 구기자차, 결명자차, 인삼차, 모과차 ) 조선시대 : 음청류 ▶음료의 종류 다양 ▶ 한방차, 숭늉, 식혜, 수정과, 화채류 ( 진달래화채, 앵두화채, 수박화채, 유자화채 )


Download ppt "우리나라의 식생활문화. 식문화의 특징 주식인 밥과 부식인 반찬으로 구분곡류 가공식품 및 저장발효음식 발달 다양한 조리법 발달약식동원과 음양오행 사상 바탕 일상식과 구분하여 의례에 따른 세분화된 잔칫상 차림, 계절에 따라 시식과 절식의 풍습."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