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정 러시아와 근대화 INDEX 1 제정 러시아? 2 제정 러시아의 시작 3 제정 러시아의 황제들 4 제정 러시아 관련 문화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정 러시아와 근대화 INDEX 1 제정 러시아? 2 제정 러시아의 시작 3 제정 러시아의 황제들 4 제정 러시아 관련 문화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정 러시아와 근대화 INDEX 1 제정 러시아? 2 제정 러시아의 시작 3 제정 러시아의 황제들 4 제정 러시아 관련 문화재
5 제정 러시아의 멸망

2 1 제정 러시아? 제정 러시아 정의

3 제정 러시아? 정의 시대 황제칭호 제정(帝政) 즉, 황제가 다스린다는 뜻 1917년의 혁명이 일어나기 이전의 러시아
1721에서 1917년까지 존속 황제칭호 차르 = 제정 러시아 때 황제의 칭호

4 2 제정 러시아의 시작

5 제정 러시아의 시작 제정 러시아는 계몽주의 시대인 1721년에서 1917년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표트르 대제가 왕위에 올라 스웨덴과의 싸움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차지한 직후 본격적으로 제정 러시아의 시대가 열린다.  

6 3 제정 러시아의 황제들 1. 표트르 대제 2. 예카테리나 2세 3. 니콜라이 2세

7 표트르 대제(재위기간:1682~1725) - 표트르 대제는 사절단과 함께 네덜란드, 영국, 독일 등지를 순회하면서, 조선술, 총포술을 배우는 한편, 각국의 풍속, 제도를 연구하고 귀국한 뒤 귀족에게 서유럽식의 풍속 관습을 강요함 - 잦은 전쟁으로 농민에게 군사, 운수 등 계속적으로 무거운 부담을 지워 초기에는 농민의 반란을 야기. 그는 내외의 곤란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력한 행정 조직의 확립을 목표로 절대주의 국가를 확립. 교육 문화에도 힘을 기울여 러시아의 근대화에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8 표트르 대제의 역할 서구화 정책 -1699년 징병제 도입, 무기의 근대화 중앙과 지방의 행정 기구 대폭 정비
1721년 종무원 설치, 교회를 국가에 완전히 종속시킴-러시아 사회의 세속화에 기여 200여 개의 국영공장과 민영 공장 설립 수염을 깎고, 간편한 복장 입고, 율리우스력의 새 역법에 맞춘 일상생활 영위

9 예카테리나 2세(재위기간:1726~1796) -러시아의 여황제. 스스로 남편 표트르 3세를 폐위시키고 제위에 올라 대제라 불렀다. 법치주의의 원칙을 도입함과 동시에 귀족들과 협력체제를 강화, 영토를 크게 확대하고 농노제를 확장하였다. - 법전에 유명한 훈시를 함으로써 계몽군주로서의 평판을 얻었다. 그러나 법전의 편찬은 성과를 얻지 못하였고, 1773년에 일어난 푸가초프의 반란 이후 현실주의자가 되었다. 음탕하고 사치스런 생활을 보냈다.

10 데카브리스트의 난 1825년 알렉산드르 1세 사망 직후 발생, 12월당
1812~1815년 나폴레옹 전쟁과 외국 원정에 참가한 귀족 출신의 젊은 장교들이 구성원 러시아로 귀환한 이후 극심한 반동정치를 행하는 알렉산드르 1세 체제를 끝내기 위해 동조자들을 1816년부터 규합 근대화의 장애 요인인 농노제와 전제정 폐지를 주장 1836년 차다예프-’철학서한’: “러시아에는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다.” -1850년대까지 격렬한 논쟁을 벌임: 서구주의자들-러시아를 서구화하자 – 표트르 대제를 높이 평가 슬라브주의자들-러시아 당면 문제의 모든 근원은 표트르 대제, 정교회의 핵심인 “소보르노스치(초개인적인 정신적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러시아 문명이 서구 문명보다 우수하다고 주장 이견에도 불구하고 1860년대 초 농노제 폐지에 동의.

11 알렉산드르 2세의 대개혁과 비테 체제 1853년 크림전쟁 -근동과 발칸 지역으로 영향력 확대를 모색, 실패
러시아의 후진성 논란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농노제 폐지: 농노로 예전에 경작하던 토지보다 1/5적게 받고, 수령 토지 대가로 49년 동안 정부에 상환금 지불, 마을 촌락공동체의 승인 없이는 거주 이전 불가 1864년 ‘젬스트보’-지방자치 기관 설립 국민개병제 도입, 그러나 전제 권력 자체의 개혁이 없는 대개혁은 한계를 지닌다. ‘비테 체제’- 알렉산드르 3세 때 공업화 정책을 펼침. 철도 부설과 공업 발전을 과감히 지원, 수출 장려, 외자 도입을 위해 세제 개혁 단행, 금본위제 도입 등 공업화 노력은 크게 성공, 그러나 부작용이 속출- 농업 무시, 농민들에게 무거운 간접세 부과, 러시아 공업의 상당 부분을 해외자본이 차지, 대기업 중심으로 노동자들의 비참한 생활- 노동자들의 조직화와 혁명 사상 수용이 용이

12 니콜라이 2세(재위기간: 1894~1917) -로마노프 왕조 최후의 황제로 1905년의 혁명(참고-피의 일요일)과 패전에 임하여 국회 개설을 약속함으로써 겨우 혁명을 억제하였다. - 제1차 세계 대전 때 총사령관으로서 전선의 대본영에 있었으나 전황의 불리, 식량의 결핍에 따른 민중의 불만 및 라스푸틴이 조종하는 독일 강화파의 암약 등으로 주전파인 자본가의 신뢰를 잃고,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 퇴위하였다. 10월 혁명 뒤 소련 정부에 체포되어 가족과 함께 총살되었다.

13 스톨리핀의 농업 개혁 1905년 10월 선언- 두마(의회) 제도 도입 1906년 스톨리핀 임명
농업 문제 개혁-농민들은 공동체 내의 분산된 자신의 땅을 사유화ㅡ 토지 상환금 폐지 농민들 사이의 계층 분화 촉진

14 참고- 피의 일요일/ 러시아 2월 혁명 피의 일요일 사건 1905년 1월 22일 제정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발생한 유혈사태를 말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하여 1917년 2월 혁명과 10월 혁명으로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는 몰락한다. 2월(구력) 혁명은 1917년 3월 8일에 러시아에서 일어난 러시아 혁명이다. 이 혁명으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되었고 러시아 제국이 멸망했다.

15 4 제정 러시아 관련 문화재

16 표트르 대제의 기마상 - 이 기마상은 두 발을 높이 쳐든 말에 올라 네바 강변에 건설된 자신의 도시를 바라보는 표트르 대제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이 기마상을 통해 표트르 대제의 위엄과 근엄함을 느낄 수 있고 러시아를 근대화 시키려는 강한 열망을 느낄 수 있다.

17 예카테리나 궁전(호박의 방) - 예카테리나의 여름 별장이자 호사스러운 '호박의 방'이 있는 곳
겉으로는 화려하고 아름답지만 저 이면에 있는 러시아 농민들의 고통과 예카테리나의 사치스러움을 알 수 있다.

18 < 여름궁전 대궁전 전경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외곽에 들어선 여름궁전은 윗 공원과 아래 공원으로 나뉘어진 광활한 녹지에 수많은 144개의 분수로 채워져 있다. 어두웠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사와 반대로 평화롭고 아름다워 보임.

19 5 제정 러시아의 멸망

20 제정 러시아는 왜 멸망하게 되었을까 ? -1914년에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극심한 빈곤과 국내의 억압적 조치들, 정부의 무능과 부패에 대한 국민적 불만의 기폭제가 되며, 이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폭발했다. - 이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는 퇴위할 수밖에 없었고, 300년 이상 계속된 로마노프 왕조는 마침내 무너진다.


Download ppt "제정 러시아와 근대화 INDEX 1 제정 러시아? 2 제정 러시아의 시작 3 제정 러시아의 황제들 4 제정 러시아 관련 문화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