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정서법의 문제들 글라골릭 알파벳은 차가비안 북쪽 지역에 한정되어 쓰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정서법의 문제들 글라골릭 알파벳은 차가비안 북쪽 지역에 한정되어 쓰임"—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서법의 문제들 글라골릭 알파벳은 차가비안 북쪽 지역에 한정되어 쓰임
글라골릭 알파벳은 차가비안 북쪽 지역에 한정되어 쓰임 그것은 대부분 교회용 책이나 종교에 관련한 것으로 쓰였으며 서서히 arehaic 크로아티아 지역의 자료들과 서서히 연합. 글라골릭 알파벳이 그 지역에서 초기에 누렸던 우위는 최초 크로아티아어 책의 인쇄 와 프로테스탄티즘이라는 2개의 문화적 사건에도 불구,전혀 회복 되지 않음

2 이 두 가지 사건 때문에 글라골 문자로 된 책을 읽을 줄 알게 된 사람의 수가 증가, 북서부 지역에서 글라골 문자 약간의 성장
초서체 글라골 문자로 된 인쇄물은 몇몇의 귀족들에 의해 채택 이 모든 것들은 글라골 알파벳이 이전에 누렸던 영광을 회복시켜 주지 못함 그 글라골 문자가 19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사용 되곤 했지만 그것의 사용은 특정지역과 특정집단에 제한 사람들이 쓴 개인적인 편지들은 수정, 어떠한 혁신을 경험 (그들의 운명과 유사)

3 음소 l, n은 그 앞에 derv라는 문자를 둠으로써 초기 크로아티아 문서에서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관례는 다른 끼릴 문자 정서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i,e→Λi Λn) 라틴 문자들은 초기에 끼릴 문자가 채택되었던 지역에서도 그 기반을 얻었음 크로아티아에서 라틴 알파벳은 라틴어와 해변 가의 이탈리아어 그리고 라틴어와 북쪽 내륙의 헝가리어 라는 두 개의 주요 근원지의 영향 하에서 채택되어짐. 라틴어 철자법이 크로아티아 문학 언어와 그 시작부터 일치하지 않는 주요 원인

4 deuica=devica=virgin, czirkua=cirkva=church,
<북쪽> ztar=star=old, szueti=sveti=holy, deuica=devica=virgin, czirkua=cirkva=church, <남쪽> sueti=sveti=holy, zarqua=carkva=church,  caco=kako=how

5 대부분의 음소들이 양 지역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쓰여 졌기 때문에 어느 문자 체계도 우위를 점하지 않았음
몇몇 북쪽 형태가 남쪽에서 발견되거나 그 반대로 발견 될 수도 있음 이것은 c,c,d, lj, nj 와 같은 구개음에 대한 동일한 해결책이 되지 않았음 이 소리들의 철자법은 남과 북 양 쪽의 어려움을 대표 그 해결책은 마침내 초기라틴어 문자 체계에 존재했던 첫 번째 형태인 발음구별부호에서 발견되었음 (s 가 세디유가 붙은 형태인 Ϛ로 수정)

6 라띠니짜 정서법 정서법이란? → 그리스어 Orthos(right)+ graphein(write)의 뜻
말을 바르게 표기한다는 뜻이며 일정한 시대에 있어서 개별언어의 음성을 문자로 표기하는 표준적 철자법을 일컫는다

7 정서법의 등장배경 16세기 방언의 혼합으로 문어의 양대 중심지 형성되었음.
  ※ 북서: 이스트리아(차방언), 북부 내륙(까이방언)   ※ 남동: Zadar, Hvar, Split, Dubrovnik 중심, 차-쉬또방언, 페트라르카풍 문학

8 까이 방언 차 방언 슈토방언

9 Šime Budinić의 정서법 크로아티아 라틴자모를 발음구별부호의 사용으로 단순화, 조직화
1583년 그의 저서 “summa nauka krstjanskoga”에서 음소 /c/, /č/ 와 /ž/를 구별하기 위해 발음구별부호 /ç/, /ĉ/와 /ǯ/ 사용

10 Budinić에 대한 두가지 견해 Ian Hus가 제정한 보헤미아 정서법에 기초했다는 주장. 트리엔트 공회의에 머무름.
→그러나 최근 한 연구에서 이 이론의 오류를 증명함.

11 Budinić에 대한 두가지 견해 오류의 증거 3가지 1.트리엔트 공회의에 머물렀다는 증거없음.
2.종교개혁에 대항해 싸웠던 로마카톨릭사제였음. 3.발음구별부호는 Budinić 이전에도 존재했음.

12 šibenska molitva 14세기부터 전해진šibenskamolitva (šibenska 기도문)
에 발음구별부호 /ç/가 자모 /č/를 의미한다고 쓰여있음.

13 여전히 16세기 초기의 정서법은 크로아티아어 라티니짜 정서법 개혁가들에게 눈부신 업적으로 남아있다
 여전히 16세기 초기의 정서법은 크로아티아어 라티니짜 정서법 개혁가들에게 눈부신 업적으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16세기는 크로아티아 철자법 체계화에 눈부신 전환기라 할 수 있다.


Download ppt "정서법의 문제들 글라골릭 알파벳은 차가비안 북쪽 지역에 한정되어 쓰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