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승봉 빙 Modified 7년 전
4
Ⅰ.4.3의 배경 미 군정에 대한 불만 6만 귀환 인구에 따른 실직난 생필품 부족 콜레라에 의한 300여명의 희생
대흉년과 미곡정책의 실패 일제 경찰의 미군정 경찰로의 변신 밀수품 단속을 빙자한 군정관리들의 모리 행위
5
2. 3.1절 발포 사건(1947)
6
1947년 3월 1일 제주북초등학교에서 미군정의 실정을 규탄하고 민족 독립 국가 수립을 촉구하는 3·1절 기념 행사가 열렸는데, 시위 후 구경을 하던 군중들에게 경찰이 발포, 6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 군정 당국 - 좌익계의 선동에 의해 군중들이 경찰서를 습격 6명의 사망자가 초등 학생, 젖먹이를 안은 아낙네,장년의 농부 민관합동 총파업 – 발포경관 처벌, 경찰 수뇌부의 인책사임 희생자 유족 보상
7
미군정은 제주 총파업의 원인을 3·1절 경찰 발포로 인한 도민 감정의 격화와 이런 도민 감정을 선동하여 증폭시킨 남로당에 있다고 파악
미군정은 제주도를 “빨갱이 섬”으로 규정 , 대대적인 탄압, 파업 주동자에 대한 검거령, 본토경찰과 서북청년회의 무자비한 연행,투옥, 고문 등으로 사회분위기 험악
8
3. 남한 단독 정부 수립 반대 좌파뿐만 아니라 김구, 김규식 등 양심적인 우파 및 중도세력들도 단독 선거를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했으며 이처럼 분단을 막아보려는 분위기는 당시 제주도민 사이에도 조성되어 있었다. 남로당 제주지부는 미군정에 불만이 많았던 민심에 부응하여, 단독 정부 수립 반대운동에 앞장섰다.
9
Ⅱ.4.3의 전개과정 우익단체 요인의 집 습격 4.5일 제주경비사령부 설치 – 본토 경찰 1,700명 서북청년단 증파
4.3 봉기- 500여명의 무장대가 지서,서청,대청등 우익단체 요인의 집 습격 4.5일 제주경비사령부 설치 – 본토 경찰 1,700명 서북청년단 증파 응원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횡포가 심함 – 도민들 산으로 피신 무장대 세력 강화
10
선선무 후토벌 원칙하에 무장대와 평화협정 체결
4월 17일 모슬포 주둔 국방경비대 9연대에 사태 진압 명령 선선무 후토벌 원칙하에 무장대와 평화협정 체결 5월 1일 조작된 오라리 방화사건과 5월 3일 기습사건 발생 5월 5일 수뇌부회의에서 평화적인 해결방안을 제시 하다가 조병옥과 충돌한 김익렬 중령 해임 5월 6일 박진경 중령 부임, 11연대 추가 배치
11
5월 10일 총선거 실시 – 제주도 3개 선거구 중 2개 선거구
투표자 과반수 미달로 무효 (남한 유일 5.10 총선거 거부지역) 5월 중순 브라운 대령(미군 20연대)을 제주지구 미군 사령관으로 파견 박진경 연대장 – 대대적인 토벌위주의 작전 – 제주도민의 반감 1948년 5월 20일에는 41명의 경비 대원들이 자신들의 무기와 장비 탄약 5,600발을 갖고 탈영, 산쪽에 가담
12
딘 장군 – 박진경 연대장의 강경 토벌책 칭찬 6월초 대령진급 6월 18일 박진경대령- 부하들에게 암살당함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10월 17일 송요찬 연대장의 포고령 – 해안 5km이상 적성 지역 규정 초토화 작전의 시작
13
제주 읍내 유지들에 대한 일제 검속을 강행-현경호,김호진
10월 19일 여수 14연대 제주토벌작전 거부 여순사건 제주 읍내 유지들에 대한 일제 검속을 강행-현경호,김호진 11월 17일에는 제주지역에 불법적인 계엄령 1948년 10월말부터 1949년 3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참혹한 집단 학살이 행해졌다 - 1948년 12월 14일밤 표선면 토산리-157명 - 1948년 12월 22일 표선면 가시리-76명 - 1949년 1월 17일 조천면 북촌리 400여명
14
1954년 9월 21일 제주도 경찰국장이 한라산 금족령을 해제
1949년 3월에 '제주도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 4·3 마무리 토벌 작전 1949년 6월초에 무장대 사령관 이덕구 사살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예비 검속에 의해 집단으로 학살, 제주도에서는 약 1,000여명 정도 희생(백조일손지묘) 1954년 9월 21일 제주도 경찰국장이 한라산 금족령을 해제
15
Ⅲ.4.3의 성격 - 4·3은 해방 정국하의 통일조국건설운동이다. - 4·3은 강요된 저항이었다
- 4·3은 제주민중의 수난사이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