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Presentation transcript:

1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6. 노래의 아름다움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작품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을 이해한다.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자신의 듣기 활동을 조절하면서 듣는 태도를 지닌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 <알아두기> - 238쪽 시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요소 음악성
: 시어가 잘 다듬어진 형태 속에서 운율과 같은 음악적 자질을 최대한 발현할 때, 시의 아름다움이 실현된다. 형상성 :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시인이 전달하려는 관념과 정서가 추상적 차원이 아니라 경험적, 감각적 차원으로 구체화될 때, 시의 아름다움이 실현된다. 함축성 : 비유, 상징, 역설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일상적, 과학적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정신적 가치가 표현될 때, 시의 아름다움이 실현된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 <준비학습> 다음은 가곡으로 불린 시의 일부이다.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고파 내 고향 남쪽 바다
그 파란 물 눈에 보이네 꿈엔들 잊으리오 그 잔잔한 고향 바다 지금도 그 물새들 날으리 가고파라 가고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 <준비학습> 다음은 가곡으로 불린 시의 일부이다.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이 시를 낭독하거나 노래로 불러 보고, 낭독할 때와 노래할 때의 느낌을 이야기해 보자. 이 시가 아름답게 느껴진다면 그 이유를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자. 이 시의 나머지 부분을 찾아 읽어 보자.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 (1) 청산별곡(靑山別曲) 시대적 배경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 외환으로 시달리던 때로 추정됨 작가 탐구 유랑민이라는 견해 실연한 사람이라는 견해 지식인이라는 견해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 (1) 청산별곡(靑山別曲) 고려 가요의 특징 형식 : 3음보, 분연체, 후렴구
내용 :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함 정착 시기 : 오랫동안 구전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 악학궤범(樂學軌範), 악장가사(樂章歌詞) 및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림 특징 : 민요에서 형성되어 운율이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 진솔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 (1) 청산별곡(靑山別曲) ‘청산별곡’의 음악성 3·3·2조, 3음보 살어리/살어리/랏다//쳥산(靑山)애/살어리/랏다//
a-a-b-a구조의 반복과 변화 살어리(a)살어리랏다(a)쳥산애(b)살어리랏다(a) 우러라(a)우러라 새여(a)자고 니러(b)우러라 새여(a) 후렴구 얄리얄리 얄량셩 얄라리 얄라(1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2~8연)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8 (1) 청산별곡(靑山別曲) 현대어 풀이 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서 살겠노라.
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서 살겠노라. [청산에 대한 동경]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근심이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서 울며 지낸다.[삶의 비애] 날아가던 새 날아가던 새를 보았느냐? 평원지대로 날아가던 새 보았느냐? 녹슨 연장(무기)을 가지고 평원지대로 날아가던 새 보았느냐? [현실(속세)에 대한 미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9 (1) 청산별곡(靑山別曲) 현대어 풀이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왔구나.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떻게 지낼 것인가? [절망적인 고독과 비탄] 어디에다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그 돌에) 맞아서 울고 있노라. [생에 대한 운명적 체념] 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 나문재랑 굴조개랑 먹으며 바다에서 살겠노라.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0 (1) 청산별곡(靑山別曲) 현대어 풀이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삶에 대한 절박한 심정] 가더니 불룩한 술독에 진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박꽃 모양의 누룩 냄새가 매워 (나를) 붙잡으니 나는 어찌하리오. [술을 통한 고뇌의 해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1 (1) 청산별곡(靑山別曲) 화자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해석 ‘살어리랏다’의 해석 화자의 정서 청산에 살고 있음
살아야만 하는구나 힘들고 괴롭지만 어쩔 수 없이 청산에서 살아야 함 비애, 한탄 청산에 살고 있지 않음 살고 싶구나 청산에서 살고 싶음 소망, 동경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과거에 청산에 살았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음 아쉬움, 후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2 (1) 청산별곡(靑山別曲) ‘새’의 의미 자고 일어나서 우는 시적 화자의 슬픔 심정이 이입된 대상 시적 화자의 분신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대상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3 (1) 청산별곡(靑山別曲) 화자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해석 유랑민 실연한 여인 좌절한 지식인 가던 새
갈던 사래(밭) : 평화롭게 농사짓던 옛날을 그리워 하는 심정 떠난 님 : 나를 버리고 떠난 임을 의인화하여 표현함 날아가던 새 : 자신의 비탄을 위로해 주던 벗으로 생각함 잉 무든 장글 이끼 묻은 쟁기 이끼 묻은 은장도 날이 무딘 병기 주제 삶의 터전인 농토를 잃은 유랑민의 비애 실연의 아픔 삶의 고뇌로부터 벗어나고 싶음 마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4 (1) 청산별곡(靑山別曲)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밤’의 의미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밤 고립무원(孤立無援), 차단, 단절
시적 화자의 고독감이 극대화되는 시간적 배경 함께 할 그 누구도 없는 절대적 고독의 시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5 (1) 청산별곡(靑山別曲) ‘돌’의 의미 돌 방향과 목표를 알지 못함 운명적 삶 맞아서 울고 있음 삶의 비애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6 (1) 청산별곡(靑山別曲) ‘청산별곡’의 구조 대칭적 구조 : 소재(공간)의 대칭 ‘청산’에서의 삶 1연 청산 지향하기 2연
삶의 비애 3연 속세에 대한 미련 4연 숙명적 삶 ‘바다’에서의 삶 5연 삶의 비애 6연 바다 지향하기 7연 삶의 고뇌 탈출 기대 8연 절망적 고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7 (1) 청산별곡(靑山別曲) ‘청산별곡’의 구조 2. 순차적 구조 : 화자의 정서에 따른 시상 전개 기(1연) 승(2~5연)
전(6연) 결(7~8연) 이상적 공간인 청산을 그리워함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의 비애 새로운 세계인 바다로 가고 싶어함 비애와 체념, 고뇌를 술로 달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8 (1) 청산별곡(靑山別曲) ‘청산별곡’의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성 : 소리에 관한 일체의 현상 - 3·3·2조의 3음보
- a-a-b-a 구조 - 후렴구 형상성 : 심상을 통해 정서나 사상을 구체적인 형상으로 전달함(새 – 화자의 비애의 심리) 함축성 : 각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함축성을 높임 (청산, 바다, 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19 (1) 청산별곡(靑山別曲) 사슴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연주하는 것 사슴이 -> 불가능한 일, 세상에 대한 조롱
의 해석에 따른 다양한 해석 사슴이 사슴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연주하는 것 -> 불가능한 일, 세상에 대한 조롱 사슴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연주하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남 -> 기적같은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화자의 절박한 심정 사슴 분장을 한 광대가 사슴으로 분장한 광대가 장대에 올라가 해금을 연주하는 것 -> 시적 화자가 산대잡희 놀이의 한 장면을 보며 시름을 잊고자 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0 (1) 청산별곡(靑山別曲) ‘술’의 의미 시름을 달래기 위한 수단 현실적 고통을 잊기 위한 수단
-> 술을 마셔서라도 삶의 괴로움을 잊고 싶은 시적 화자의 모습에서 절박한 비애감을 느낄 수 있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1 (1) 청산별곡(靑山別曲) 문학의 아름다움에 주목하여 ‘청산별곡’과 ‘아리랑타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야기해 보자.
문전의 옥토는 어찌 되고 / 쪽박의 신세가 웬 말인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아리랑 배 띄워라 노다 가세. // 밭은 헐려서 신작로 되고 / 집은 헐려서 정거장 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아리랑 배 띄워라 노다 가세.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2 (1) 청산별곡(靑山別曲) 공통점 청산별곡 아리랑타령 주로 삶의 비애를 표현함 시름 한 나 오리도 가리도 업슨 ~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쪽박의 신세가 웬 말인가 후렴구가 있음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아리랑 배 띄워라 노다 가세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3 (1) 청산별곡(靑山別曲) 차이점 청산별곡 아리랑타령 삶의 비애의 원인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음 -제시되어 있음
(일제에 의해 진행된 왜곡된 근대화) 형태적 차이점 a-a-b-a구조 반복적 현주 형태 (시적 화자의 비애를 심화시킴) -대구적 형태 (사회 현실의 부정적 면모를 다양하게 폭로)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4 (1) 청산별곡(靑山別曲) 핵심정리 작가 : 미상(구비문학) 갈래 :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 애상적, 체념적, 현실 도피적 주제 : 삶의 시름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5 (1) 청산별곡(靑山別曲) 핵심정리 특징 - 어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함 - 후렴구를 통해 흥을 돋음
- 의인법, 비교법, 상징법, 감정 이입 등이 사용됨 - 전체가 8연으로 된 분절체의 노래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6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강호한정가(江湖閑靜歌) 강호(江湖) : 강과 호수, 자연 한정(閑靜) : 한가로운 정서
-> 자연을 벗삼아 노니는 한가로운 정서를 노래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 연산군 때부터 줄곧 일어난 당쟁의 영향으로 사대부들은 벼슬길에서 물러나 자연을 벗삼아 즐기는 풍류 생활을 시와 노래로 표현했는데, 이것이 바로 강호한정가이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7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내용 정리 계절적 소재 주제 시적 화자의 정서 춘사4 벅구기, 버들숩 어촌의 평화로운 봄경치
유유자적(悠悠自適) 하사2 년닙, 청약립, 녹사의 소박하면서 자연 친화적인 삶 안분지족(安分知足) 물아일체(物我一體) 추사1 츄강 가을 강에서 유유자적하는 흥취 흥취를 느낌 동사4 눈, 쳔텹옥산 눈 내린 경치에 대한 감탄 아름다운 경치에 대한 예찬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8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표현 방법 1. 대구법과 이미지의 조화 벅구기 청각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버들숩 시각적 이미지
정적 이미지 대구법 조화를 이루어 시적 감흥을 더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29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표현 방법 2. 화자의 시선 이동 원경 안개 속에서 뿌옇게 보이는 어촌 마을 근경
맑고 깊은 못에서 뛰노는 온갖 고기 떼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0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화자의 삶의 모습 초장 : 소박한 삶의 모습 - 안분지족(安分知足), 단사표음(簞食瓢飮),
빈이무원(貧而無怨), 박주산채(薄酒山菜) 2. 종장 : 자연 친화적 삶 - 물아일체(物我一體), 물심일여(物心一如), 주객일치(主客一致)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1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공간의 대비 物믈外외 속세의 바깥(자연) 긍정적 공간 人인間간 속세(인간 세상) 부정적 공간
대조 -> 어부의 생애 : 속세를 벗어난 속에서 깨끗한 일로 소일함 -> 자부심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2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표현 방법 만경류리 겨울바다 쳔텹옥산 겨울 산 대구법 과장법 은유법 눈 갠 후의 경물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3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후렴구 초장과 중장 사이 : 출항에서 귀항까지의 과정 1수 6수 2수 7수 3수 8수 4수 9수
돋 디여라 돋 디여라 2수 닫 드러라 닫 드러라 7수 3수 8수 4수 이어라 이어라 9수 닫 디여라 닫 디여라 5수 10수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4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후렴구 중장과 종장 사이 : 노젓는 소리의 의성어 1. 평시조의 단조로움에 변화를 줌
2. 경쾌한 음악성을 느끼게 함 3.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게 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5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어부사시사’를 황진이의 시조와 비교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어부사시사’는 위의 시조와 달리 어떤 형태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말해 보자. 그러한 형태적 특징이 노래의 아름다움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6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성 : 대구적 표현으로 리듬감을 형성 : 후렴구 반복으로 리듬감을 형성
형상성 : 어촌 풍경을 주로 시각적인 심상을 사용하여 표현함 함축성 : 눈 온 뒤의 어촌의 풍경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7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핵심정리 작가 : 윤선도 갈래 : 평시조, 연시조, 강호한정가 성격 : 탈속적, 전원적, 풍류적
주제 : 어촌의 아름다운 풍광과 어부 생활의 흥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8 (2)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핵심정리 특징 - 아름다운 우리말의 묘미를 살림 - 대구법, 은유법, 반복법, 의성어를 구사함
- 여음구를 삽입하여 흥취를 돋우며 사실감을 부여함 - 자연과 합일하는 물아일체의 정서가 드러남 - 각 계절에 맞춰 시상을 전개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39 (3) 진달래꽃 이별의 정한(情恨) ‘진달래꽃’, ‘서경별곡’, ‘가시리’는 모두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고, 시적 화자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0 (3) 진달래꽃 이별의 정한(情恨) 진달래꽃 : 이별을 인정하고 슬픔을 인내하면서 떠나는 임을 축복하는 자기 희생적인 전통적 여인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1 (3) 진달래꽃 이별의 정한(情恨) ‘서경별곡’
(임을) 여의는 것보다는 차라리 길쌈베 버리고, / 사랑해 주시기만 한다면 울며 울며 따르겠습니다. :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하고 임을 따라나서겠다는 저돌적이고 직선적인 성격의 여인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2 (3) 진달래꽃 이별의 정한(情恨) ‘가시리’
붙잡아 두고 싶지만 / 다시 오지 않을까 두려워 / 서러운 임 보내드리니 /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 자기 희생과 감정의 절제를 통해 재회를 기약하는 인고와 순종을 미덕으로 간직한 전통적인 여인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3 (3) 진달래꽃 음악성 1. 7·5조, 3음보 율격(민요적 율격) 나 보기가 /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말없이 / 고이 보내 / 드리우리다. 2. ‘-우리다’의 각운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4 (3) 진달래꽃 음악성 3. 1연과 4연의 수미상관 구조 4. 시행의 규칙적인 배열
1행 – 2음보, 2행 – 1음보, 3행 – 3음보 함축성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복잡한 화자의 심리가 함축적으로 드러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5 (3) 진달래꽃 형상성 정서나 사상 구체적인 형상 ‘사랑’이라는 추상적 가치 -> 수량화하여 구체화함 아름
이별의 슬픔, 임에 대한 희생적 사랑 ->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함 여리고 붉은 진달래꽃 임에 대한 희생적 사랑 즈려 밟는 행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6 (3) 진달래꽃 시적 화자의 태도 변화 1연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이별의 수용과 체념 2연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3연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임에 대한 희생적 사랑 4연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슬픔과 원망의 초극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7 (3) 진달래꽃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 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희생적 사랑의 표상
이별의 슬픔을 형상화한 시각적 이미지 -> 여리고 붉은 꽃잎 4. 한(恨)의 정서를 대변하는 소재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8 (3) 진달래꽃 이 시의 전통시적 요소 민요적 율격 : 7·5조, 3음보의 민요적 율격
민족적 정서 : ‘이별의 정한’을 노래함 향토적 제재 : 영변, 약산, 진달래꽃 전통적 어조 : 슬픔을 참고 견디는 전통적 여인의 목소리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49 (3) 진달래꽃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의 표현 방법 반어법 -> ‘애이불비(哀而不悲)’의 태도 표면적 의미
이면적 의미 이별의 아픔을 참고 임을 보내 주겠다. 임을 보내고 싶지 않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0 (3) 진달래꽃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의 표현 방법 2. 도치법
: ‘아니’와 ‘눈물’을 도치시켜 이별의 상황을 인정하고 감내하는 화자의 초극적인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3. 극단적 시어 : ‘죽어도’라는 강렬한 의미의 시어를 구사해 화자의 정서를 더욱 열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1 (3) 진달래꽃 핵심 정리 작가 : 김소월 갈래 : 자유시, 서정시, 민요시 성격 : 애상적, 민요적, 전통적
주제 : 이별의 정한과 극복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2 (3) 진달래꽃 핵심정리 특징 - 반어적 표현을 통한 절제의 압축미를 보여 줌
-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를 여성 화자의 간절한 목소리로 담아냄 - 토속적 사투리, 향토적 제재, 전통적 정서와 율격을 사용한 민요시 계열의 시 - 수미상관, 도치, 반복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고조시킴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3 (4) 유리창 ‘유리창’의 이중적 기능 단절의 매개체
시적 화자가 있는 창 안과 죽은 아이가 있는 창 밖의 운명적 단절을 상징함 소통의 매개체 시적 화자는 유리창에 서린 입김 자국을 통해 죽은 아이의 영상을 보고 있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4 (4) 유리창 ‘유리창’에 나타난 공간적 대비 창 안(실내) 창 밖(실외) - 시적 화자 - 밝음의 세계 - 삶의 공간
- 죽은 아들 - 어둠의 세계 - 죽음의 공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5 주관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표현하여 감정을 절제함(감정대위법)
(4) 유리창 감정의 대위법 : 문학에서 감정을 조절하거나 절제하기 위해서 상호 모순 되거나 대립되는 감각 혹은 심상을 결합하여 감정을 객관화시켜 표현하는 방식 슬픈 감정 차고 슬픈 것 차가운 감각 주관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표현하여 감정을 절제함(감정대위법)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6 (4) 유리창 시어의 의미 - 차고 슬픈 것 - 언 날개 유리창에 서린 입김 자국 죽은 아이 - 물 먹은 별
눈물 어린 눈으로 바라본 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7 (4) 유리창 ‘외로운 황홀한 심사’에 나타난 표현법 외로움 황홀함 자식을 잃고 홀로 남음 유리를 닦으며 자식과 만남
역설법 : 아이의 죽음으로 인한 외로움과 죽은 아이의 환영을 보는 황홀함이 서로 모순 되게 표현되고 있다. 감정 대위법 : 외로움에 황홀함을 덧붙임으로써 외로운 감정이 황홀한 감정에 의해 절제 되고 있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8 (4) 유리창 ‘죽은 아이’의 비유적 표현 차고 슬픈 것 슬픔 언 날개를 파다거리는 것 안타까움 물 먹은 별 그리움
폐혈관이 찢어진 채 날아간 산새 탄식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59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제망매가(祭亡妹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0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은수저(김광균) 산이 저문다. 노을이 잠긴다. 저녁 밥상에 애기가 없다.
애기가 앉던 방석에 한 쌍의 은수저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한 밤중에 바람이 분다. 바람 속에서 애기가 웃는다. 애기는 방 속을 들여다 본다. 들창을 열었다 다시 닫는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1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은수저(김광균) 먼 들길을 애기가 간다. 맨발 벗은 애기가 울면서 간다.
불러도 대답이 없다.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2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후일음(박목월) 산자수명(山紫水明)의 산수(山水)를 뽑은 그 자명(紫明)은
죽은 어린 딸의 이름이었다. 영혼이 나가고 비로소 팔에 남는 그 체중, 그것을 안고 나는 산으로 갔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3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후일음(박목월) 은은한 보랏빛 기슭으로 그리고 찬 보랏빛 산마루로 늘 어리는
한 오리 안개…… 아아 마음이 갈(渴)한 서운한 그것.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4 (4) 유리창 주제와 관련된 다른 작품들 – 후일음(박목월) 산과 마주앉으면 산은 늘 어둑한 안색. 귀를 기울이면
늙은 산의 목소리는 잠겨 있었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5 (4) 유리창 핵심 정리 작가 : 정지용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주지적, 감각적, 회화적, 상징적
주제 : 자식을 잃은 슬픔과 자식에 대한 그리움 특징 - 자식을 잃은 슬픔이 노출되지 않고 절제되어 있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6 지금의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고 희망찬 미래를 맞이할 공간
(5) 광야 ‘광야’의 의미 1연 천지가 창조되는 공간 2연 아무도 범하지 못하는 신성한 공간 3연 역사(문명)가 태동한 공간 4~5연 지금의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고 희망찬 미래를 맞이할 공간 -> 민족의 터전, 역사의 현장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7 (5) 광야 ‘닭 우는 소리’의 함축적 의미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 소리 생명의 기척을 암시함 -> 대유법
- 닭 우는 소리가 들렸을 리가 없다는 말은 광야의 원시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8 (5) 광야 시각적, 역동적, 남성적 심상(광야의 광활함) 의인법 연모하다 산맥의 형성 과정 활유법 휘달리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69 (5) 광야 ‘계절’의 시각적 표현 계절 추상적 관념 피여선 지고 구체적 사물 시각적 표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0 (5) 광야 ‘강물’의 함축적 의미 ‘강물’은 대개 문명과 역사를 상징하는 소재로 쓰인다. ‘큰 강물이 길을 열었다.’는 시각적 이미지가 두드러진 표현으로, 문명이 태동하였다, 혹은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뜻을 지닌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1 (5) 광야 ‘눈’, ‘매화향기’의 함축적 의미 눈 매화 향기 일제 강점하의 암담한 시대 현실, 시련과 역경
고난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민족 정신, 조국 광복의 징조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2 (5) 광야 자기 희생적인 선구자적 태도 가난한 노래의 씨 뿌려라 자기 희생적 (속죄양 모티브) 의지적 명령 (남성적 어조)
-> 선구자적 태도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3 (5) 광야 ‘초인’의 함축적 의미 미래에 다가올 광복 위대한 민족 시인 위대한 우리의 후손 위대한 민족 지도자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4 (5) 광야 시상 전개 방식 – 추보식 구성 과거 : 까마득한 날 현재 : 지금 미래 : 천고의 뒤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5 (5) 광야 ‘-랴’, ‘-라’로 각 연이 끝남 각 연이 모두 3행씩 구성 음악성
이 시의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성 ‘-랴’, ‘-라’로 각 연이 끝남 각 연이 모두 3행씩 구성 한 연의 1행에서 3행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짐 형상성 남성적 어조를 사용하여 의지적 태도를 형상화함 역동적 심상을 통해 의미를 형상화함 함축성 함축적인 시어를 사용하여 광복의 염원을 나타냄 -> 매화 향기, 가난한 노래의 씨, 초인, 광야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6 (5) 광야 핵심 정리 작가 : 이육사 갈래 : 자유시, 저항시, 상징시 성격 : 의지적, 남성적, 상징적, 지사적
주제 : 조국 광복을 실현하기 위한 의지와 신념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7 (5) 광야 핵심 정리 특징 -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음
- 단호하고 강인한 남성적 어조로 신념을 노래하고 있음 - 상징적 시어를 사용하여 고도의 문학성을 지님 - 예언자적 기품으로 속죄양적 의지(희생 의지)를 밝히고 있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8 보충 심화학습 여승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감각적, 애상적, 회상적
주제 : 가족 공동체의 해체와 여승의 비극적인 삶 특징 - 시적 화자는 1인칭 관찰자의 시점으로 여인의 이야기를 제시함 - 여인의 생애를 압축하여 역순행적 구성으로 표현함 - 감정의 절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하여 여인의 서러움을 형상화함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79 보충 심화학습 여인의 삶을 몇 개의 짧은 문장으로 나타내어, 운율감이 느껴짐 ‘불경처럼, 가을 밤같이, 섭벌같이’ 등의 비유적
이 시의 문학적 아름다움 음악성 여인의 삶을 몇 개의 짧은 문장으로 나타내어, 운율감이 느껴짐 형상성 ‘불경처럼, 가을 밤같이, 섭벌같이’ 등의 비유적 표현을 사용함 ‘차게 울었다, 산꿩도 설게 울은’ 등을 통해 한을 감각적으로 드러냄 함축성 한 여인의 삶을 압축적으로 표현하여 독자의 상상을 유도하고 감동을 줌 국어(상) 6. 노래의 아름다움


Download ppt "(1) 청산별곡 (2) 어부사시사 (3) 진달래꽃 (4) 유리창 (5) 광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