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3. 세포의 정보 교환 세포 신호 전달의 일반적 원리 단세포생물: 자극과 반응
쉬무스 (Shmoos): 교배인자에 반응하여 변형하는 세포 Al Capp의 1940년대 만화주인공 이름에서 유래 단세포생물: 자극과 반응 세균: 주화학성, 주광성- 영양분 탐색, 독소나 포식자 감지, 회피, 개체간 정보소통 효모: 교배인자(단백질) 분비 및 반응 세포주기 정지, 발원 방향 출아 (쉬무스), 교배 확률 증대 다세포생물: 개체의 구성 및 유지, 세포의 활동 조화, 세포 조직간 정보 교환 세포 신호전달 (cell signaling) 인간사회 : 공동체의 시작과 유지 수단으로 의사 소통 개인간의 사적인 대화, 메시지 작성- 배달 매체-수신-답장 집단적 통화방식- 방송, 비상경보-사회구성원의 반응 세포 신호 전달의 일반적 원리 세포간의 신호전달 (signal transduction) 체제 신호생성 세포 (signaling cell) : 특정 신호물질 (1차 전령; 호르몬 등) 분비 표적세포 (target cell) : 기질 특이적으로 신호물질 인지하여 반응하는 수용체를 가짐 <신호물질-수용체>의 결합 세포내 신호물질 (2차 전령) 생성 2차 전령에 의한 세포 대사기구, 유전자 발현 등의 변화 세포반응 (구조 및 기능 변화)
2
5종의 신호 (1) 내분비 (endocrine) 신호: 내분비세포 호르몬 혈액운반 원거리 표적세포 반응
(2) 측분비 (paracrine)신호: 측분비세포 신호물질 확산 인접 표적세포 반응 예: 감염부위의 염증, 상처 회복 세포증식 조절 신호물질의 작용 (3) 신경신호 (neuronal signaling): 신경충격 발생과 전파 신경전달 물질(화학신호) 방출 시냅스 회로의 원거리 표적세포 반응 (분비, 수축) (4) 접촉의존성 신호(contact-dependent signaling): 1:1 대화 신호 발생 세포의 막 단백질이 신호물질(delta), 인접한 표적 세포막의 수용체 (notch)에 결합 인접세포에 직접전달 예: 초기 발생 신경배 : 분화 예정 세포간 접촉의존성 신호전달로 인접세포의 분화 억제 (5) 자가분비 신호 (autocrine signaling): 자신이 분비한 신호물질에 대한 세포반응
4
각 세포는 제한된 종류의 신호에만 반응 다세포 생물의 신호물질: 수백 종
각 조직세포는 특정 신호에 대한 수용체 유무에 따라 반응 <수용체 無: 소통 無> 수용체의 종류: 세포종류, 발생단계, 암화 과정에 따라 특정 수용체 하나의 세포에는 수십 종의 수용체 각각 수천 개 동일한 신호가 결합해도, 표적세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반응 다양한 외부 신호에 동시에 반응 가능 신호의 상호작용 및 조합에 따라 세포분열, 분화, 생존의 방향 결정 적은 수의 신호만으로도 세포의 반응을 미묘하고 복잡하게 제어 신호가 없으면 예정된 세포사 (apoptosis)
5
수용체: 외부 신호를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로 연계
신호의 수용 (signal reception): 외부의 신호물질이 표적 세포의 특이 수용체에 결합 수용체의 구조적 변화 세포내 신호 연쇄반응 (signaling cascade) 세포내 반응 촉발: 대사 및 유전자발현 조절, 세포골격 변화 등 세포내 신호전달 특성 수용체에 접수된 신호는 세포내 타 위치로 전달 (transfer) 외부 신호를 다른 물질 또는 형태로 전환 (transform) 신호 연쇄반응으로 신호 증폭 (amplify) 여러 반응을 동시에 유도(distribute, diverge) 가능 다양한 단계, 다양한 표적으로 연결, 복잡한 반응유도 (diverge) 연쇄반응의 각 단계는 다른 인자에 의해 조정(modulate) 가능
6
두 종류의 세포외부 신호 물질들 (A) 친수성 신호물질: Peptide hormone, neurotransmitter 대부분
PM의 표면 수용체 (surface receptor) 결합: 신호전달 효소계 활성 일시적 반응 (B) 소수성 신호물질 : Cholesterol, estradiol, testosterone, thyroxine 등 PM 통과 세포내 수용체 (intracellular receptor)에 결합 수용체 구조변화 유전자 발현 조절 염기서열에 결합 특정 유전자 전사 조절 장기적 반응 유전자발현은 전사 및 번역과정을 요함 (수 분-수 시간)
7
NO의 미세순환 조절 PM을 통과 세포내 효소를 활성화 신호물질 수 초-수 분내에 반응
내피세포는 혈관 장벽일 뿐만 아니라 NO, endothelin, prostacyclin 등을 분비하여 모세혈관의 혈액 흐름을 조절 한다. NO: hypoxia, pH change, (심 박동에 따른) 혈관의 기계적 자극에 의해서 증가 모세혈관 이완, 시냅스 조정, 비특이적 방어, 혈액 응고 억제 *NO 발기 촉진 Viagra: 평활근에서 cGMP 분해 억제 *Nitroglycerin: 심장마비성 가슴앓이 처방 NO 방출 촉진 Endothelin: 혈관 수축 촉진 Prostacyclin: 혈관 이완, 혈액응고 억제 과분극 Light chain R.F. Furchgott, L.J. Ignarro & F. Murad 1998년 노벨 생리 의학상 : NO가 심혈관계에 신호물질로 작용함을 발견
8
원형질막을 통과하여 세포내 수용체에 결합하는 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티록신: 유전자 발현을 통한 세포 반응 Testosterone 남성호르몬, 태아시기와 사춘기의 2차 성징 발달과정의 신호물질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 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없어 외형적인 특징은 여성
9
3종류의 세포 표면 수용체 - 친수성 신호물질 (제1전령)
(1) 이온통로 연결 수용체(ion-channel-linked receptor) 신호물질-수용체 결합 이온 통로 개방 이온 유입에 따른 흥분성(전기적) 작용 (2) G-단백질 연결수용체 (G-protein-linked receptor) 신호물질-수용체 결합 수용체에 결합된 G-단백질 활성화 PM내의 표적효소 또는 이온 통로 활성화 제2전령 신호물질 생성 (3) 효소 연결 수용체 (enzyme-linked receptor) 이량체 형태의 신호물질이 수용체에 결합 수용체의 세포 기질면 효소부위를 활성화
10
세포내 신호전달 단백질은 분자 스위치 G-단백질 연결수용체/효소 연결수용체: 제2전령분자 생성, 2종의 분자 스위치 사용
GTP binding protein에 의한 GTP/GDP 결합 스위치 Protein kinase에 의한 인산화/ 탈인산화 스위치 E. H. Fisher & E. G. Krebs, Nobel Prize: 1992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가역적 단백질 인산화에 의한 생물 조절기작 규명
11
G-단백질 연결 수용체 G-단백질 소단위체의 구성과 활성화 세포표면 수용체중 종류가 제일 많고, 동물세포에서만 수백 종
호르몬, 측분비 신호, 신경전달물질, 등 다양한 신호물질에 대한 반응 매개 7- transmembrane single polypeptide로 구성 Receptor protein super family에는 rhodopsin, olfactory receptor 등 포함 효모, 세균에도 유사 막 단백질이 존재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단백질 G-단백질 소단위체의 구성과 활성화 G-단백질은 , , subunit로 구성 신호를 받지 않은 불활성 상태 (A): 수용체와 G-단백질 분리, 신호물질 결합 (B): 수용체 구조변화로 G-단백질과 결합 G 소단위체: GDP를 내보내고 GTP와 결합 활성화 복합체가 활성 G, G로 분리 (C), 세포막에서 이동 표적 단백질에 결합: 신호전달 가동 신호물질-수용체 복합체는 활성 상태로 많은 G-단백질을 활성화
12
G 소단위체는 GTP의 가수분해로 기능이 정지
활성 G 는 세포막의 표적단백질과 결합 활성화/ 불성화 수초 후 G의 GTPase 활성으로 GTP GDP로 가수분해 G 불활성화 표적단백질로부터 분리 G 복합체와 재결합 불활성 G-단백질로 환원 A.G. Gilman & M. Rodbell 1994년 노벨상: G-단백질의 발견과 신호전달에서의 역할 규명 G-단백질의 불활성화로 인한 콜레라 콜레라균은 장에서 증식, 독소 생성 독소는 장벽 세포의 Gα가 GTP를 가수분해 못하게 변형 표적단백질에 계속 신호전달 장벽세포가 Na+, 수분을 장내로 계속 배출 탈수, 설사 이온과 수분을 보충하지 않으면 생명 위협
13
G 단백질에 의한 이온 통로의 조절 동물세포: 20여종 G-단백질; 종류별로 다양한 표적
- 심근 세포막의 K+ 통로 개폐. 심장박동 조절 심근세포: acetylcholine이 G-단백질(Gi) 연결수용체에 결합 Gi-단백질 활성화 G와 G 복합체로 분리(A) 활성화된 G 복합체는 심장 박동원 세포막 K+ 통로에 결합, 통로 개방 (B) 심박동원 세포의 발포빈도 감소 심근 수축 빈도감소 GTP의 가수분해로 G-GDP G 복합체와 재결합 불활성 G-단백질 동시에 K+통로 폐쇄 (C)
14
G 단백질에 의한 막 결합 효소의 활성화 G-단백질의 대표적 표적 효소
① Adenylate cyclase : cAMP 생성 ② Phospholipase C : phosphoinositol-3-phosphate (IP3) + diacylglycerol (DAG) 생성 각각 세포내 2차 전달자 (2nd messenger)를 생성 표적단백질 인산화 세포내 반응 유도
15
cAMP와 PKA 신호전달 회로 cAMP-fluorescent protein 동물과 효모에서 다양한 수용체에 의해 작동
느린 반응: 유전자발현 및 새로운 단백질 합성을 요함, 상대적으로 느림 (수분~수시간) 세포성장, 분열속도 증가 등 세포 행동의 변화 빠른 반응: 단백질의 기능변화 만으로 반응, 세포이동, 분비, 물질대사 등 상대적으로 빠름 (수초~수분) cAMP 5x10-8 M cAMP 5x10-6 M cAMP-fluorescent protein
16
cAMP에 의한 유전자의 전사 활성 조절 ① 신호물질과 G-단백질 연결수용체 결합: Gα 단백질 활성화 → adenylate cyclase 활성화 : ② cAMP 생성 → protein kinase A (PKA) 활성화 → 핵공 통과 ③ 유전자 발현 조절단백질 (c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인산화 ④ 특정 유전자의 DNA 조절부위 (CRE)에 결합 → 전사 촉진 * 내분비세포의 호르몬 합성, 뇌의 기억단백질 생성, 등 다양한 대사과정을 조절 * PKA = cAMP activated protein kinase
17
PLC 회로: InsP3 /DAG – 세포내 Ca2+ 증가
- 1st messenger : 40종의 peptide hormone, neurotransmitter 다양한 세포반응 조절: Phospholipase C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① 신호물질과 G-단백질 연결수용체의 결합 → G-GTP로 활성화 ② 활성 G-GTP → phospholipase C 활성화 : PIP2 IP3 + DAG ③ IP3는 세포질로 확산 → ER의 ligand-gated Ca2+ channel의 신호물질 ④ IP3가 Ca2+ 통로에 결합 → 통로 개방, ER의 Ca2+ 방출 ⑤ Ca2+ 은 DAG와 협력 → 세포내 여러 반응 조절 칼슘의존성 단백질 인산화효소 (Ca2+ activated protein kinase, PKC) 활성화
18
Ca2+ 신호: 다양한 생물학적 반응 유도 수정직후 세포내 Ca 2+ 농도는 급격한 증가 배 발생 시작
근세포: 근세포 수축 신경, 분비세포: 물질 분비 유도 이 같은 반응은 Ca2+이 calmodulin (CaM)에 결합하여 그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가능 활성 Ca2+-CaM 복합체의 중요 표적은 CaM-kinase CaM-kinase은 활성 상태에서 특정 단백질을 인산화함으로써 세포반응 유도 예: 뇌 시냅스후 세포질에는 특성 CaM-kinase가 많으며, 기억 형성에 관여. CaM-kinase 부족한 쥐는 기억 장애
19
세포내 신호 증폭계 (cascades): 속도, 감도, 및 적응성 눈의 광수용체
옵신의 구조변화 신호전달 (cGMP 분해) Na+ 채널 닫힘 막전위 과분극
20
효소 연결 수용체 ◆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 효소 작동 기작
동물세포의 성장, 분화 및 생존을 조절하는 성장인자 (GF)의 수용체 연구에서 발견 신호분자 : insulin, EGF, PDGF 수용체: 단일 막관통 -helical polypeptide - extracellular domain: ligand binding site; - cytoplasmic site: PK site ◆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 효소 작동 기작 ① 수용체의 extracellular domain에 신호물질 결합 구조변화 수용체 dimer 형성 ② 이 변화로 세포 기질면의 티로신 인산화 효소 활성화 상호간의 Tyr을 인산화 ③ 인산화된 각 Tyr은 세포내 다른 신호전달 단백질의 결합부위로 작용 신호전달 복합체 형성 연쇄적 신호 전달 성장, 분화, 생존 조절 반응 유도
21
Receptor tyrosine kinases GTP-결합 단백질 Ras를 활성화시킨다
① 활성화된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의 인산화된 Tyr에 adaptor 결합 ② adaptor에 Ras 활성화 단백질 결합 및 활성화 ③ GDP-비활성 Ras를 GTP-활성 Ras 단백질로 전환 ④ 활성 Ras 단백질은 순차적인 인산화 반응으로 ⑤ 신호의 증폭과 분배에 관여하는 3가지 인산화효소를 활성화 ⑥ 반응 마지막 단계의 인산화효소는 다양한 표적단백질을 인산화 단백질 활성 세포골격에 직접적이고 신속한 영향을 미침 유전자발현 등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변화를 야기 Mitosis activating protein kinas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 Kinase) I, II, III
22
Ras 단백질의 중요성 Ras를 불활성화시키는 항체를 세포에 주입 → Ras 억제 → GF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 없음 Ras가 세포성장에 필수요소 Ras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유발, Ras 단백질이 과 발현 되면,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 효소 가 계속적인 GF의 자극을 받은 것과 같이 행동 계속 분열 능력의 암세포의 특징 실제 Ras 단백질은 암세포에서 발견 ① ras 유전자의 돌연변이 ② 지나치게 활성화된 Ras 생성 ③ GF 자극 없이도 세포분열 지속 사람의 암 30%가 ras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갖고 있음 발암유전자 (oncogene), 원발암유전자 (protooncogene)
23
PK networks integrate information to control complex cell behavior
세포는 수많은 경로로 얻어진 정보를 종합하여 생존여부, 분열, 형태변화, 분비 등 적절한 반응 결정 - 여러 경로를 통해 받은 정보는 이들 단백질에 모여 하나의 신호로써, 다음 표적에 전달 이러한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는 복잡한 정보를 해석, 처리, 기억하여 각종 세포 반응을 조절 한 단백질에 다수 인산화 조절 부위 인산화 단백질 복합체 형성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