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1장. 공업교육의 개념 Ⅰ 공업교육의 의미 Ⅱ 공업교육의 목적 Ⅲ 공업교육의 유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1장. 공업교육의 개념 Ⅰ 공업교육의 의미 Ⅱ 공업교육의 목적 Ⅲ 공업교육의 유형."—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장. 공업교육의 개념 Ⅰ 공업교육의 의미 Ⅱ 공업교육의 목적 Ⅲ 공업교육의 유형

2 1. 공업교육의 개념 가. 공업교육의 정의 1) ‘공업(내용)분야의 직업적 유용성(목적)을 높이려는 교육’으로의 정의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1. 공업교육의 개념 가. 공업교육의 정의 1) ‘공업(내용)분야의 직업적 유용성(목적)을 높이려는 교육’으로의 정의 공업교육은 공업분야의 여러 직종에서 직업적 유용성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실시되는 교육이다

3 2) ‘공업 분야의 어느 한 직업에서 취업과 발전을 더욱 유리하게 해 주는 교육’으로의 정의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2) ‘공업 분야의 어느 한 직업에서 취업과 발전을 더욱 유리하게 해 주는 교육’으로의 정의 공업교육이란 공업 분야에서 직업생활을 해 나가는 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3) 절충적 정의 : 현재 사회적 인식과 가장 근접 공업교육은 공업 분야에서의 직업적 성공을 도와주지만, 모든 사람의 공통적 필요로 하지는 않는 내용에 관한 교육이다

4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나. 공업교육의 범위 교 육 실업교육 공업교육 전문교육

5 교육 ( Education ) 2) 실업교육 or 직업교육 :인간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교육 ( Education ) :인간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2) 실업교육 or 직업교육 ① 중학교 수준의 일반교육 이후의 교육 즉 고등학교,전문학교 및 대학과정에서의 실업교육 ② 개인의 실용적인 직업에 취업하기 위하여 or 취업한 직종에서 직무를 보다 잘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 태도, 습관 등을 계발하도록 하는 것

6 3) 공업교육 ① 공과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공학교육이라 하고, 공업교육을 직업적 목적을 가진 학사학위 이하의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3) 공업교육 ① 공과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공학교육이라 하고, 공업교육을 직업적 목적을 가진 학사학위 이하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② 공업 분야의 직업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함

7 4) 전문교육 ( Professional Education )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4) 전문교육 ( Professional Education ) : 대학의 학위취득 수준의 실업분야 교육 Knwledge Scientist Engineer/Scientist Engineer Technician Technologist Craftsman Product Make Instructions Creative Design Concepts Date

8 다. 크라프트 및 데크니션 교육 1) 단순작업공 ( Machine Operator / Operative )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다. 크라프트 및 데크니션 교육 : 산업사회 인력구조계층에 따라 분류 1) 단순작업공 ( Machine Operator / Operative ) : 조작적인 교육훈련이 불필요한 단순한 반응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 2) 크라프트 ( Craft ) :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받아 기술적 설명을 이해하고 기술적인 도면을 해독할 수 있는 자 ▪ 보통 or 단능 크라프트 ▪ 고급 or 다능 크라프트

9 3) 테크니션( Technician ) 4) 기술자 ( Engineer )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3) 테크니션( Technician ) : 전문대학 과정 이상의 교육을 받아 작업의 전체적인 공정을 기술적 이론으로 완전히 이해하며 필요에 따라 기술적 판단도 내릴 수 있는 수준의 능력을 가진 자 4) 기술자 ( Engineer ) : 대학과정 이상의 교육을 받고 전문지식을 작업현장의 실질적인 경제활동으로 옮길 수 있는 지적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최고도의 숙련된 광범위한 기술적 작업을 수행하며 전반적인 생산감독의 역할을 하는 자

10 Engineer Technician Higher Craft Craft Lower Craft Machine Operator
Ⅰ 공업교육의 의미 1. 공업교육의 개념 Engineer Technician Higher Craft Machine Operator Craft Lower Craft

11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가. 실과교육 ( Practical arts education )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가. 실과교육 ( Practical arts education ) ① 초·중등교육에 모두 적용되는 일반 교양적 기술 교육 ② 학생들에게 일을 준비하고 다른 사람과 조화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취지에서, 시민으로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가치관, 태도, 이해력 및 기술 등을 가르치기 위한 보통교육

12 ▪ 사회인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기르려는 목적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③ 특징 ▪ 학생의 공통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교육 ▪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전체성에 관심 ▪ 사회인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기르려는 목적

13 ▶ 공업교육과 실과교육의 비교 구 분 공업교육 실과교육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교 육 의 성 격
 공업교육 실과교육 교 육 의 성 격 학습자가 특별한 직업을 갖기 위하여 준비하거나 현직 근로자들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화된 교육 산업의 조직ᆞ도구ᆞ재료ᆞ공정, 농산물의 가공, 기업ᆞ산업ᆞ가정에 관해 학습하고, 이러한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기여에 관하여 다루는 일반 교양 교육 교 육 내 용 특정분야에서 성공적인 근로자의 기능ᆞ지식ᆞ가치관ᆞ태도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일의 세계에 관하여 얻어진 내용 모든 사람들이 생산품과 용역(서비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농업ᆞ공업ᆞ상업ᆞ가정에 대하여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일의 세계를 분석하여 얻어진 내용 교 육 내 용 조 직 특정한 직업이나 직업군에 종사하기 위해 준비하는데 목적을 두고 과목을 계열화 초보적인 수준을 제외하고는 일반농업ᆞ기초경영ᆞ산업기술ᆞ일반가정 등 별개의 교과로 분류 강 조 직업준비와 고용자들의 자질향상에 중점 모든 사람들에게 직업탐색, 소비자로서의 지식, 여가 시간의 활용, 수공기술과 기능에 관한 이해력 증진 등에 중점

14 나. 직업교육과 실업교육 1) 직업교육 ( Occupational Education )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나. 직업교육과 실업교육 1) 직업교육 ( Occupational Education ) ① 직업준비를 위해 전문적 지식, 기술을 습득시킬 목적 으로 실시되는 기술교육 ⇒ 목적 : 직업적 유용성 ②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직업 준비교육 : 농업계, 공업계, 상업계, 수산 및 해양계, 가정계, 보건계, 간호계 고등학교로 구분

15 2) 직업-기술 교육 3) 실업교육 ① 직업에서의 유용성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기술에 관한 전문교육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2) 직업-기술 교육 ① 직업에서의 유용성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기술에 관한 전문교육 ② 학사자격의 대학 교육까지 포함 ③ 우리나라에서는 실업교육이란 용어로 알려짐 3) 실업교육 ① 농업, 공업, 상업, 수산업, 가정 등과 같이 신체적 활동을 많이 하는 생산 분야에서의 직업을 준비시키는 교육

16 ②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행해지는 실업교육의 범위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②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행해지는 실업교육의 범위 일반교양적 실과교육 초등학교의 실과 중ᆞ고등학교의 기술ᆞ가정 중ᆞ고등학교의 농업ᆞ공업ᆞ상업ᆞ수산업ᆞ가사 실업계 고등학교(농업계, 공업계, 상업계, 수산ᆞ해운계, 가사ᆞ실업계) 종합고등학교의 실과계 직업준비교육 직업탐색 실과교육 실 업 교 육

17 다. 기술교육 ( Technology Education )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다. 기술교육 ( Technology Education ) ① 일상적인 생활과 산업계의 직업 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려는 목적을 가진 교육 ② 목적에 따라 ▪ 교양기술교육 - 사회인으로서의 기술적 소양을 양성 목적 - 초·중등학교의 실과, 기술·가정

18 ▪ 직업기술교육 - 산업계에서의 직업 생활에 필요한 자질 양성 -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개방대학 등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 직업기술교육 - 산업계에서의 직업 생활에 필요한 자질 양성 -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개방대학 등 ③ 내용의 영역에 따라 : 공업기술교육, 농업기술교육, 상업기술교육, 컴퓨터기술교육 ④ 기술 수준에 따라 : 기술자, 기술공, 기능공 등

19 라. 직업훈련 1) 교육 ( Education ) 2) 훈련 ( Training )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라. 직업훈련 1) 교육 ( Education ) ① 인간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 시키는 과정 ② 훈련의 개념을 넘어서 학습의 전이가치가 높은 고등정신 능력을 계발하는 것 (포괄적) 2) 훈련 ( Training ) : 반복을 통한 특정한 일이 숙달되게 하는 학습 (협의적)

20 3) 교육과 훈련에서의 강조점의 차이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훈련에서의 강조 교육에서의 강조점
훈련에서의 강조 교육에서의 강조점 모방적인 반응 ➜창조적이고 상징적이며 반응적인 반응 단기적이고 제한된 목표 ➜장기적이고 융통성 있는 넓은 목표 방법의 고정 ➜다양한 수단과 융통성 기억, 반복 ➜사고력이 필요한 실습과 응용 시험이 따르지 않는 무조건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준거 준거 아이디어와 감정의 제한된 참여 ➜아이디어와 감정의 무한한 참여 규정에 의한 학습 ➜사고에 의한 학습 종속적인 학습자 ➜어떻게 학습하여야 하는가를 알고 있는 독립적인 학습자

21 4) 공업교육과 직업훈련 공 업 교 육 직 업 훈 련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교육부 주 체 노동부
공업 분야 종사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함양 내 용 세세한 기술훈련반복 생산기술의 혁신능력과 개척정신 등의 직업에의 상응능력 넓게 길러줌 목적 생산현장에서의  기능공 양성 보통교과 + 전공이론 기능 실기내용 장기 목적달성기간 단기 광범위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시설 시설 구체적 산업시설

22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HRD)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마. 인적자원개발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HRD) 1) 협의의 인적자원개발 : 어떤 조직이나 기관에서 개인과 집단 및 조직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각 구성원 에서 제공하는 개인개발(ID), 조직개발(OD), 경력개발(CD) 등의 통합된 의미

23 2) 광의의 인적자원개발 ① 개인이나 집단을 위해 or 조직, 지역사회, 국가, 궁극적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2) 광의의 인적자원개발 ① 개인이나 집단을 위해 or 조직, 지역사회, 국가, 궁극적 으로는 전 인류의 편의를 위해 일에 근거한 지식, 전문적 기술, 생산성, 만족 등을 개발 가능하도록 하는 활동 ② 국가차원의 인적자원개발 : 인적자원계획(HRP), 인적자원개발(HRD), 인적자원관리 (HRM), 인적자원정보시스템(HRIS)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합적 계획

24 바. 생애교육과 평생교육 1) 평생교육 ① 유네스코 성인교육 추진위원회에서 미래 지향적 교육으로 제기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바. 생애교육과 평생교육 : 기인된 과정과 학문 영역에 따른 관심의 차이 1) 평생교육 ① 유네스코 성인교육 추진위원회에서 미래 지향적 교육으로 제기 ② 삶에 중핵을 두고 있음

25 지적하고, 그 개선책으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을 통합한 개념으로 제안 ② 실용적인 관점 (이론적 중심을 일에 두고 모든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2) 생애교육 ① 1970년 미국에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으로 이원적 체제로 되어있는 중등교육의 모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책으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을 통합한 개념으로 제안 ② 실용적인 관점 (이론적 중심을 일에 두고 모든 교육을 일을 중심으로 통합)

26 ▪ 생애교육을 중핵으로 직업교육이 교양교육보다는 더욱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③ 필요사항 ▪ 생애교육을 중핵으로 직업교육이 교양교육보다는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 고등학교 수준부터의 교육은 학생 개인이 진학 or 생산적인 직업에 취업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 다양한 전달 체제를 통하여 일에 관한 교육과 일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 개인의 개방된 진로 선택의 기회가 강조되어야 한다

27 ④ 개인이 일에 근간된 사회의 가치관에 친숙하고, 이런 가치관이 개인의 인간적 가치체계에 통합되고,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④ 개인이 일에 근간된 사회의 가치관에 친숙하고, 이런 가치관이 개인의 인간적 가치체계에 통합되고, 이러한 가치체계가 일이란 개인에게 가능하고, 보람 있고, 만족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생활화하도록 도와주는 학교와 지역사회간의 노력의 총체

28 4) 직업교육과 생애교육의 비교 Ⅰ 공업교육의 의미 2. 공업교육과 관련된 용어 내 용 직 업 • 기 술 교 육 생 애 교 육
학습경험의 범위 전통적으로 학생들에게 조작적 기능 강조 조작적 기능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일의 세계에 관한 자각, 탐색, 선택, 유지개선에 관한 경험제공 대상자 일반적으로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내지 초급대학의 학생 유치원으로부터 4년제 대학생 그리고 사회의 성인 책임한계 일반적으로 직업 교사가 책임을 짐 교양교육 및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전 교사가 책임을 진다. 교육기간 고등학교 3년 내지 대학 2~3년 평생

29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1) 사회의 인력수요 충족 ① 관점 : 사람의 재능은 사회 복지를 위해 개발할 가치가
Ⅱ 공업교육의 목적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Dunwoody Industrial Institute (1974)에 의하면 1) 사회의 인력수요 충족 ① 관점 : 사람의 재능은 사회 복지를 위해 개발할 가치가 있는 자원 ② 사회의 모든 조직 ⇒ 훈련된 인력 필요 ⇒ 전문인력 공급기관 ③ 인력수요의 예측 상당히 어려움 ⇒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여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함

30 ① 전문화된 사회에서 모든 직업을 준비시키는 교육 프로
Ⅱ 공업교육의 목적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2) 개인의 직업 선택폭 신장 ① 전문화된 사회에서 모든 직업을 준비시키는 교육 프로 그램은 불가능 ② 고용주에 의한 직업교육은 직업 선택폭 증진과는 멀다 3) 일반교육에의 이해증진 ① 직업교육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는 수학 등 일반 교육은 학습 동기가 뚜렷하여 학습효과가 매우 높다 ② 직업적 성공에는 일반교육에서 중요시하는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이 필수

31 : ‘높은 기술- 높은 임금(high-skill, high-wage)’ 으로
Ⅱ 공업교육의 목적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③ 미국 노동부 SCANS ▪ 목표 : ‘높은 기술- 높은 임금(high-skill, high-wage)’ 으로 특정 지을 수 있는 ‘높은 성과 경제’를 촉진하는데 있음 ▪ 근본적인 목표 : 학생들이 ‘높은 성과를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교수법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 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함

32 ④ SCANS 보고서에 제시된 세가지 기능 (skills)
Ⅱ 공업교육의 목적 1. 공업교육의 기본목표 ④ SCANS 보고서에 제시된 세가지 기능 (skills) 기 초 기 능 basic skills 읽기(reading), 쓰기(writing), 셈하기(arithmatic), 수학(mathematics), 듣기(listening), 말하기(speaking) 사 고 기 능 thinking skills 창의력(creative thinking), 의사결정력(decision making),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심상능력(mental visualization), 학습능력(knowing how to learn), 추리력(reasoning) 인 성 personal qualities 책임감(responsibility), 자기존중(self-esteem), 사회성(sociability), 자기 관리력(self-management), 정직(integrity/honesty)

33 2. 공업교육 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Ⅱ 공업교육의 목적 2. 공업교육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1) 기술자, 기술공,
Skilled Workers Apprenticeship Trade Certificate (Technical/vocational School) or Diploma/Certificate (technicians Institute) Technicians Engineers Degree (University) Operating Checking Inspecting Draughting Supervising Planning Organising Directing Evaluating Developing Designing Research Worker Category Educational Qualificaton 2. 공업교육 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1) 기술자, 기술공, 기능공의 업무 범위, 학력, 직무수행, 내용에 따른 노동력의 피라미드 구조

34 2) 기술공의 기술적 임무 Ⅱ 공업교육의 목적 2. 공업교육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기 술 공 영 역 operating
기 술 공 영 역 operating checking inspecting deafting supervising planning organising directing evaluating developing designing research managing basic study industrial Technician 산업 기술공 영역 engineering technician 공업 기술공 Technologist & engineer 기술 공학자 • 기술자 영역 Skilled Worker 숙련공 영역

35 3) 크라프트 양성 수준의 공업교육 중점사항 ① 관계분야 직업기능 및 관계 작업지식의 습득
Ⅱ 공업교육의 목적 2. 공업교육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3) 크라프트 양성 수준의 공업교육 중점사항 ① 관계분야 직업기능 및 관계 작업지식의 습득 ② 작업자 or 기능인으로서의 자부심 개발 ③ 안전작업습관 익히기 ④ 책임감 및 솔선하는 자세의 개발 ⑤ 업자와 협동하는 자세의 개발 ⑥ 전문해결능력의 개발

36 ④ 각종 제조공정의 이해를 위한 기본기능의 습득
Ⅱ 공업교육의 목적 2. 공업교육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4) 테크니션 양성 수준의 공업교육 중점사항 ① 과학과 수학교육의 실시 ② 정밀성과 능률성에 대한 책임의식부여 ③ 제품의 개발 및 생간에 관련된 문제해결에 공학적 원리의 적용능력부여 ④ 각종 제조공정의 이해를 위한 기본기능의 습득

37 ⑤ 공업재료의 특성과 사용에 관한 지식의 부여 ⑥ 감독능력, 품질관리 능력 및 재료취급에 대한 지식과 능력의 개발
Ⅱ 공업교육의 목적 2. 공업교육에서의 기술 수준별 목표 ⑤ 공업재료의 특성과 사용에 관한 지식의 부여 ⑥ 감독능력, 품질관리 능력 및 재료취급에 대한 지식과 능력의 개발 ⑦ 조직 or 팀 내에서 협동하는 자세의 개발

38 (1) 직업준비교육과 사업내 교육 ① 직업기술 교육 ② 사업내 교육 : 직업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에게 취업에 필요한
Ⅲ 공업교육의 유형 (1) 직업준비교육 & 사업내 교육 (1) 직업준비교육과 사업내 교육 ① 직업기술 교육 : 직업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에게 취업에 필요한 직업적 능력을 길러주는 직업준비교육 ② 사업내 교육 ▪ 사업체 스스로가 인력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무 교육을 실시하는 것 ▪ 도제식에서 탈피, 외부 전문 기관, 외부 강사 초빙, 외국 유학 등

39 (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① 학교교육 ② 사회교육 : 직업교육으로서 교육부가 주관 ▪ 직업훈련은 노동부가 주관
Ⅲ 공업교육의 유형 (2) 학교교육 & 사회교육 (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① 학교교육 : 직업교육으로서 교육부가 주관 ② 사회교육 ▪ 직업훈련은 노동부가 주관 ▪ 노동자, 즉 사업주에 고용된 자와 취업할 의사를 가진 자에게 직무수행 능력을 습득 ·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훈련 ▪ 기능공, 기능장, 직업훈련 담당 교사 양성, 사무 · 서비스업 종사자와 감독자 및 관리자에 관한 훈련

40 (3) 전일제와 정시제 ① 전일제 :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의 교육 ② 정시제
Ⅲ 공업교육의 유형 (3) 전일제 & 정시제 (3) 전일제와 정시제 ① 전일제 :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의 교육 ② 정시제 : 직장 근로자들의 자질 향상을 위해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특별 교육 프로그램


Download ppt "제1장. 공업교육의 개념 Ⅰ 공업교육의 의미 Ⅱ 공업교육의 목적 Ⅲ 공업교육의 유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