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통나무 집짓기교실 강사: 김 정 렬 다음 카페: 통나무집 을 사랑하는 모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통나무 집짓기교실 강사: 김 정 렬 다음 카페: 통나무집 을 사랑하는 모임"— Presentation transcript:

1 통나무 집짓기교실 강사: 김 정 렬 다음 카페: 통나무집 을 사랑하는 모임
( 연락전화:

2 통나무 집짓기

3 침엽수의 성분 통나무집의 재료로 많이 쓰는 침엽수 조직의 특징은 나무를 지탱하고 물을 통하게 하는 가도관(헛물관) 한 종류가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활엽수에 비해 조직이 간단하고 세포의 배열이 질서정연하여 재료로써 사용하기 편하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있어 건축재료로서는 뛰어난 특성을 갖추고 있다. 나무를 세포의 집합체로 볼 때는 세포의 대부분은 내용물이 없는 세포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벽의 주요성분은 셀롤로오스, 헤미셀롤로오스, 니그린 3종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것은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결속선, 콘크리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세포벽이 복층합판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압력에 대해서 잘 견딘다.  나무를 횡단면으로 절단했을 때 중심부분의 진한 부분을 심재라 하고 외부의 밝은 부분을 변재라 부른다. 심재는 이미 죽은 세포로 나무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변재는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심재의 색깔이 더 진한 것은 타닌, 수지, 검(Gum)과 같은 유색 추출물이 퇴적되어 있기 때문이다, 변재가 심재로 진행되면 세포벽내의 통로로 오일, 왁스, 검 물질이 들어가 헛물관과 헛물관간에 통로가 차단되어 수액의 이동이 방해 받는다. 그래서 심재는 변재보다 흡습성이 적고 섬유포화점이 낮아 수축율도 적다. 새들노치에서 스카프를 가공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수축율이 큰 변재 부를 제거해서 수축율을 낮추려는 시도이다.

4 건조와 수축 통나무 건축에서만 발생하는 문제로 셋트링(Settling, 침하현상)이 있다. 통나무집을 만드는 기술 중 많은 부분이 셋트링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통나무집 작업을 할 때에는 항상 셋트링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해야만이 하자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셋트링은 건조되지 않은 생재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어디에서나 일어나는 문제이다. 셋트링이 일어나는 원인은 통나무의 건조 수축과 통나무 무게로 인한 압축이다. 수축과 압축이 셋트링에 미치는 영향은 반반 정도이다. 통나무는 건조되면서 수축되는데 이 때문에 침하가 일어난다. 통나무 벽체의 경우 건조가 진행되면서 벽체가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그래서 통나무집을 작업할 때는 항상 셋트링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하지 않으면 중대한 하자의 원인이 된다. 벽체 전체와 개구부, 계단, 칸막이 벽, 붙박이 장, 이 모든 것이 셋트링과 관계를 가지고 있다. 셋트링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통나무 작업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5 건조와 수축 통나무의 건조 수축은 나무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성질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이다. 모든 수축은 나무 내부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변동으로 비롯된다. 나무 내부의 수분은 세포벽 속에 존재하는 결합수(흡착수)와 세포 사이와 세포내 공간에 액상상태로 있는 자유수가 있다. 자유수는 나무 세포와는 관계없이 물 분자 상호간의 응집력으로 존재하고 결합수는 세포와 결합되어 존재하는 수분이다. 목재 중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은 함수률로 나타낸다. 생재가 마를 때는 자유수가 먼저 빠져 나간다. 세포벽 속의 결합수는 그대로 있고 자유수가 모두 증발되었을 때의 함수율을 섬유포화점이라 부른다. 섬유포화점의 함수율은 보통 30% 전후이다.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상인 나무를 생재라고 부른다.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함수율이 변해도 물리적 성질이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건조가 계속 진행되어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하로 내려가 세포벽의 분자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수가 감소하면 목재는 수축하기 시작한다. 결합수의 감소는 통나무 내부의 수분이 대기의 습도와 같아질 때까지 진행된다. 대기와 습도가 같아지면 결합수의 감소가 정지하고 목재의 수축도 정지한다. 이 때의 함수율을 평형함수율 또는 기건함수율이라 한다. 평형함수 율은 대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지역과 장소, 기후와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평형함수 율은  평균적으로 14.2%정도이다. 따라서 목재의 수축은 섬유포화점에서 시작해서 평형함수 율에서 멈춘다.

6 건조와 수축 함수율의 변화에 의한 목재의 수축율은 목재의 비중이 클수록 크다. 일반적으로 목재 비중이 클수록 강도와 탄성계수, 수축율이 증가하고 건조속도가 느리고 건조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수종 기건 비중(함 수율 15%)   응력  압축 강 도  전단력     전건수축율       평균수축율 접선방향 방사방향 다글라스퍼      0.53   780   420    80    7.8    5.0    0.23    0.14 햄록      0.46   745   405    90    7.9    0.13 스푸르스      0.41   600   305    75    7.5    4.3    0.19    0.12 라디에타파인      0.49   700    0.25 나무의 줄기 방향을 섬유방향이라 하고 나무의 중심에서 껍질 쪽으로 향한 지름방향을 방사방향이라 부르고 나이테의 방향을 접선방향이라 한다. 각 방향에 따라 수축율이 달라지는데 완전 건조되었을 때(전건 상태), 섬유방향의 수축율은 0.1∼0.3%로 매우 적지만 방사방향의 수축율은 4% 정도이고 접선방향은 8% 정도다. 방사방향으로 일어나는 4%의 수축율로 인해 통나무벽체의 높이가 낮아지고 접선방향 수축율 8%로 인해 통나무가 갈라지게 된다.

7 건조와 수축  통나무집은 인공적으로 난방과 냉방을 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평형함수 율 보다 보 함수 율이 낮아진다. 보통의 경우는 8%정도의 함수 율이 된다. 함수 율이 1% 감소할 때의 수축 율을 평균수축 율이라 한다. 통나무의 셋트링과 관계 있는 방사방향의 평균수축 율은 4/30인 약 0.13%이다. 따라서 자연상태에서의 수축 율은 나무가 수축하기 시작하는 섬유포화점 30%에서 수축이 정지하는 평형함수율 8%까지의 변화율 22%에 대한 수축율로 0.13*22인 약 3%이다. 여기에 전체 무게로 인한 압축 분을 더한 것이 셋트링폭이 된다. 이상의 과정은 통나무가 수축하는 물리적인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실제 셋트링 스페이스 폭을 구할 때는 다음과 같은 공식에 대입시키면 된다. 셋트링에 관계되는 높이*0.06+2cm(안전을 위한 수치다) 셋트링폭을 실제 셋트링되는 양보다 많이 보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지만 적게 산정했을 경우에는 치명적인 하자를 유발시킬 수 있다. 셋트링 폭을 계산할 때 셋트링에 관계되는 높이는 벽체의 경우는 벽체 전체 높이이고 개구부의 경우는 개구부의 높이이다.

8 원목과 수종의 유형 통나무집을 지을 때는 보통 가공이 용이하고 비중에 비해 강도가 있는 침엽수(Softwood)를 많이 쓴다. 통나무의 수종을 선택할 때는 강도와 내구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과 필링(Peeling, 통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작업)과 가공의 용이도와 같은 작업성과 완성 후의 통나무집이 풍기는 전체적인 느낌, 예산에 맞는 가격인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선택한다. 수종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므로 작업방법과 통나무집의 용도에 맞는 수종을 선택한다. 어떤 수종을 선택하던 통나무집을 짓는데 적합한 통나무의 조건은 동일하다. 원구(元口, 통나무의 뿌리 쪽)와 말구(末口, 가지 쪽)의 직경차를 테파(Taper)라고 하는데 테파가 작은 나무를 선택해야 한다. 통나무집을 원구와 말구를 교대로 쌓아서 벽체의 수평을 유지해 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테파가 크면 클수록 작업이 어려워진다. 노치(Notch, 통나무 교차부의 가공형태)를 가공할 때 직경이 작은 말구에 큰 노치를 가공하게 되어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 나뭇결(목리)이 곧지 않으면 안된다. 줄기방향에 대해서 목리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휘어진 선회목리의 경우나 좌우로 교대로 휘어진 교차목리의 경우는 곧은결목리(통직목리)에 비해 강도가 낮고 수축중에 뒤틀리기 쉽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선회목리나 교차목리인지는 원목의 표면에 갈라진 틈의 방향을 보면 알 수 있다. 테파가 적고 나뭇결(木理)이 꼬이거나 휘어지지 않은 직재(直材)를 얼마나 확보하는 야에 따라서 전체의 작업 능률이 좌우된다. 테파는 1m당 1cm정도가 선택의 기준이다. 10m 짜리 원목에서 말구가 30cm일 때 원구가 40cm정도이면 아주 양호한 원목이다. 실제로 원목을 구입할 때는 일일이 테파를 확인하고 구입하기는 힘들지만 테파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나무를 선별할 때 도움이 된다.

9 원목과 수종의 유형 1. 다글라스퍼(Douglas Fir)
  기건 비중은 산지는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와 캘리포니아주의 태평양 연안지역이다. 변재(통나무 단면의 가장자리)는 흰색을 띄고 심재(단면의 중심부)는 황갈색을 띈다. 결이 곧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껍질이 두꺼워 필링이 조금 힘들다. 강한 나무이지만 가공성은 좋다. 수지(樹脂)성분이 많아 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 햄록(Weston Hemlock)  기건비중은 산지는 알라스카주 동남부에서 캘리포니아 주 북서부의 태평양연안과 캐나다 동남부에서 아이다호주 북부의 산악지대이다. 전체적으로 진한 황백 색이고 변재와 심재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나뭇결은 굳고 연질이라 가공성은 좋지만 건조 시에 잘 갈라지고 부패가 잘된다. 내구성은 별로 없는 편이다. 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에는 충분한 주의를 요한다.

10 원목과 수종의 유형 3. 라지에타파인(Radiata Fine) 칠레 송
 기건 비중은 원산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이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칠레에 인공 조림되어 있다. 보통은 뉴질랜드에 조림된 나무를 뉴송이라고 부르고 칠레에 조림한 나무는 칠레송이라고 부른다. 변재는 황백 색이고 심재는 진한 황갈색을 띈다. 심재부가 적으면서 심재 쪽의 강도가 약하다. 나이테가 크고 나무 결은 곧다. 가벼워 건조와 가공성은 좋지만 내구성은 약하다. 4. 스푸르스(Spruce)    기건 비중은 산지는 알라스카주 남부에서 캘리포니아 주 북부의 태평양 연안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백색이나 진한 황갈색을 띄고 있고 변재와 심재의 구분은 불분명하다. 표면에 광택이 나타난다. 가볍고 연하지만 수축이 적어 건조와 가공성이 뛰어나다. 내구성은 별로 없다.

11 목 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1. 규격 재(Dimension Lumber)
- 구조용경량각재(Structural Light Framing) –2”에서 4”의 두께와 폭을 지니고 Select Structural, No 1, No 2, No 3 의 네가지 등급으로 구분한다. - 경량각재(Light Framing)-2”에서 4”의 두께와 폭을 지니고 Construction, Standard, Utility의 세가지 등급으로 분류한다. - Stud-2”에서 4”의 두께와 2”에서 6”의 폭을 지니고 10피트 이하로만 재단됨. Stud 한 등급으로 만 분류한다. - 구조용 장선 및 널재(Structural Joists & Planks)-2”에서 4”의 두께와 5”이상의 폭을 지니고 Select Structural, No 1, No 2, No 3 의 네가지 등급으로 구분한다. Select Structural, No 1, No 2, 등급은 우수(Dense)와 보통(Nondense)로 세분한다.

12 목 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2. 구조용 판넬(합판, OSB, 집성판넬)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해 휨, 처짐, 부서짐, 모양의 변화 등이 거의 없고 충격에 강하다. 주거용, 비 주거용, 산업용 건물에 다양이 사용한다. 또한 바닥 판 밑 깔개, 단일 층 바닥깔개, 벽 및 지붕 덮개 제, 천정이나 데크덮게, SIP 패널 (structural insulated panel), 사이딩용, I-Joist의 웹 부분, 콘크리트 거푸집용, 팔레트, 산업용 컨테이너, 데크용, 그리고 가구 및 선박에 다양히 사용되고 있다. - 합판 : 얇은 목재 단판을 각 단판의 나뭇결 방향이 서로 교차 되도록 적응하여 패널의 모든 방향에서 강도가 더 우수해 지도록 만든 제품. 나무는 나뭇결 방향을 따라 강도가 가장 강하기 때문에 합판의 맨 위층과 아래층은 나뭇결이 패널의 길이방향과 평행방향으로 제작. - OSB (Oriented Strand board) : 합판과 같이 각층을 교차방향으로 적층함 직사각형 모양의 나무 조각을 각층마다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뿌려 매트처럼 하여 패널모양을 만듬. 내수 접착제를 사용, 모서리부분은 실런트 처리-습기의 침투를 억제. 패널의 한쪽 면은 거친 처리 -지붕덮개 작업 시 미끄러짐 방지. - 집성판넬: 내부에 Strand를 배열하고 양면에 박판을 부착시킨 구조용 판넬.  

13 목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3. 글루램(Glue Laminated Timbers)
우수한 강도와 내구성으로 구조용으로 적절하다. 제작방법은 공칭치수 두께 2인치이하의 각재를 접착 (각 각재는 서로 끝부분 이음을 함으로써 긴 길이의 층판을(lamination) 만듦). 이 층판들은 다시 접착제로 서로 적층/접착 (최종 제품) 직선, 곡선모양등 다양히 생산한다. 등급은 premium, architectural, industrial, framing가 있다. 지붕 마룻대, 차고의 헤더, 바닥용 빔,대규모 외팔보에,교량, 전신주, 수상시설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히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다.  

14 목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4. LVL(Laminated Veneer Lumber)
얇은 목재 단판을 모든 단판의 나뭇결이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적층하여 접착 시켜 만든 큰 장작형태를 최종 사용될 제품의 크기로 톱질하여 잘라 만든다. 헤더, 빔, 힙, 밸리용 서까래, 비계발판, I-joist의 플랜지 부분등에 널리 사용한다. 

15 목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5. l-joist 주거용이나 경량의 상업용 건물에 사용되는 바닥 또는 지붕 구조용 자제이다. 시공이 간단하도록 곧고, 경량이며, 긴 길이의 것이 생산된다. 전단응력을 지탱하는 웹과 휨응력을 지탱하는 플랜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웹 부분은 합판이나 OSB로 만들고, 플랜지 부분은 각재나 LVL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16 목구조에 사용되는 목재 6. 방부목, 방부재 목재가 과도한 습기에 노출되면 균류나 해충에의해 부패된다. 목재부패의 필수 발생요소는 습기,적정한 온도(10-32도),산소,영양분(목재의 섬유질) 이다. 이러한 부후균의 침입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약품을 처리한 목재를 방부목이라 한다. 방부액체의 종류-수용성,유용성,크레오죠트계 방부제가 있으며 대부분의 주거용 건축물은 수용성 방부제가 사용된다. - 수용성 방부재의 종류 : CCA(Chromated Copper Arsenate),ACA,ACC,CZC등 - 용도 : 기초,발코니,담장,옥외 조경물등 - 연결철물 : 아연도금 또는 스텐레스 스틸제의 못과 연결철물 사용 - 적삼목 : 습기,부식,충해에 강해 별도의 약품처리 없이 사용 가능  

17 통나무의 재적 계산법 1) 검량의 뜻 재의 계량을 검량 또는 검척 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의미에 있어서 검량과
    재의 계량을 검량 또는 검척 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의미에 있어서 검량과     검척을 다르게 쓰기도하고 혼용해 사용하기도 한다.     원목에 대해서는 검척 이라고 부르는 수가 많고, 검량은 일단 검척해 놓은     것의 과부족을 알기 위해 재 검척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18 통나무의 재적 계산법 2) 원목 체적단위의 종류 (1) 보드푸트(Board foot)
    (1) 보드푸트(Board foot)          미국의 체적단위로써 종전에는 한국의 합판회사들이 대부분이 보드푸트          를 사용하였다. 이는 1inch * 1 feet * 1 feet의 체적을 1 보드푸트라          하는데 B/F, bf, BM, BMF 등으로 표기한다. 1/12ft3이며, m2          에 해당한다.    (2) 사이 (才)         일본이나 한국의 전통 체적단위로써 아직도 제재 제품 등에는 이 단위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1치 * 1치 * 12자 의 체적을 1사이라 하는데 才로 표기한다.         단위로는 m2 가 해당된다.       (3) 큐빅푸트 (Cubic foot, 立方尺)         영국이나 말레이시아의 전통 체적단위로써 1feet * 1feet * 1feet의 체적이         1큐빅푸트가 되는데, 단위로는 가 해당된다.    (4) 입방척(立方尺)         한국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으나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체적단위로써         1尺 * 1尺 1尺의 체적이 1 입방척이 되는데 8.333尺 및 m3에         해당된다.    (5) 입방미터 (Cubic meter)         세계 공통으로 쓰이고 있으며 1m * 1m * 1m의 체적이 1입방미터가 되는데         m3, C/M등으로 표기한다.

19 통나무의 재적 계산법 3) 원목 검량방법 (1) 호파스법(Hoppus rule)
   (1) 호파스법(Hoppus rule)         영국 및 인도 미얀마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써 원목의 중앙 둘레(inch)         의 1/4을 제곱하고 여기에 재장(feet)을 곱한 후 144로 나누어 큐빅푸트 단위         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영국의 임학자 호파스(Hoppus)씨가 고안한 방법이다.         (G/4)2 * L * 1/144 = V(ft3)    (2) 브레레톤법(Brereton rule)         원래 미국에서 주로사용하는 방법으로 원구, 말구에서 각각 수피를 제외한         부분의 장단 지름(inch)을 모두 재어 평균한 것을 더해주고 다시 2로 나누어         평균 중앙 지름으로 삼고 이것을 제곱한 것에 를 곱한 다음 다시 재장         을 곱해주고, 12로 나누어 보드푸트 단위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3) 말구지름 자승법         민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해 왔던 방법이다. 즉, 말구지름을 치(寸),         재장을 자(尺)의 단위로 측정하고 말구지름의 제곱에 재장을 곱한 후 12로         나누어 사이(才) 단위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공식         d2 * L * 1/12 = V(才)         명칭         d - 말구의 최단 지름으로 치(寸) 단위를 사용한다.         L - 재장으로 양쪽 마구리 사이의 최단거리이며, 자(尺) 단위를 사용한다.

20 통나무의 재적 계산법 한국의 원목 검척 방법 외국 원목의 대량 수입국 중의 하나인 한국은 1967년 이전까지는 정부의
     외국 원목의 대량 수입국 중의 하나인 한국은 1967년 이전까지는 정부의      통일된 규격이 없이 각 목재상 또는 회사별로 침엽수는 말구지름 자승법을      사용하였고 활엽수는 인치 브레레톤법 을 사용했었다. 이 후 1967년 3월1일      농림부 고시로 국내산 원목과 미송류 검척방법의 기준이 제정 발표하였고,      1978년 1월에는 산림청 고시로 수입원목에 대한 검량 규격이 발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다.

21 통나무 집의 명칭

22 통나무 건축 규준(캐나다) 제1절 기초 기초는 지진이나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제1절 기초        기초는 지진이나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축하중이나 횡하중을 고려하여 기초에 결합시킨다 제2절 벽체 [1] 통나무 규격조건  (1) 최소 직경 : 20cm 이상이어야 한다.  (2) 생 통나무나 건조된 통나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생 통나무란 함수율 19% 초과한 것이고       건조된 통나무란 함수율 19% 이하인 경우이다.   (3) 수피(樹皮)는 벗겨 사용한다       해충 방제와 스크라이빙 작업의 원활을 위함이다.

23 통나무 건축 규준 (4) 선회목리 : 나무결이 꼬인 통나무 통직목리 : 나무결이 곧은 통나무 - 벽체의 모든 부재로 사용할 수
     통직목리 : 나무결이 곧은 통나무 - 벽체의 모든 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벽체 최상단부는 통직목리를 써야 한다.   ★ 좌선회 통나무중  <해가 동쪽에서 뜨기 때문에 대부분 좌선회목리임>       심하게 꼬인 것은 -- 벽체 하단 하인방 통나무로만 사용될 수 있다.       완만하게 꼬인 것은 - 벽체 수직높이 하단으로부터 1/4 이하에만                            사용해야 한다.   ★ 우선회 통나무 - 심하게 꼬인 것은 통나무끼리 접합하는데 사용해서는 안되며 벽체 수직높이 하단으로부터 1/4 이하에만 사용해야 한다.     이를 찾는 기구 : 팀버 스크라이브 (timber scribe)     왼쪽 꼬임인지 오른쪽 꼬임인지 알려면 오른손을 통나무 위에 놓고 손가락이 통나무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통나무 양쪽 끝중의 어디에서 측정해도 무방하다.  그런다음 통나무 몸통의 선유가닥 방향이 이발소 표시등처럼 엄지방향으로 있으면 좌선목리이며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있으면 우선목리인 것이다.  좌선목리는 우선목리보다 더 심하게 변형이 일어난다. 횡력이나 저항에도 상당히 약하다.  따라서 왼쪽으로 꼬인 통나무는 사용하는데 더 심한 제약을 받는다.

24 통나무 건축 규준 [2] 통나무 벽체 통나무 벽체는 수평으로는 스크라이빙 맞춤으로 모서리는 귀틀맞춤으로 축조한다.
 통나무 벽체는 수평으로는 스크라이빙 맞춤으로 모서리는 귀틀맞춤으로 축조한다.  그러나 이는 피스-앙-피스(piece-en-piece) 방식 및 기계가공식 통나무벽체인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피스-앙-피스방식 : 수직으로 기둥을 하고 그 사이 스크라이빙하지                        않은 벽체 1. 하인방 통나무 ( sill log )    : sill log 란 기초 바로 위에 설치한 벽체 최하단 통나무 부재이다. (1) 직경 20cm 미만 통나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2) 하중을 지지하는 전 기장을 평형하게 해야 하며 그폭이 10.2cm 미만이    어서는 안된다. (3) 물, 벽돌, 콘크리트 등에 직접 닿아서는 안된다. (4) 습기, 공기, 물 등의 침투를 막는 차단막(barrier) 위에 설치해야 한다    ☆ 코킹, 실런트, 가스켓을 설치하면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5) 물이 밑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끊기를 하거나 플래슁을 설치해야 한다. (6)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을 견디기 위해 앵커를 설치해야 한다.     ☆ 앵커의 개수와 종류를 지역특성에 맞게 적정하게 정한다.     ☆ 통나무 벽체를 관통하여 기초에 긴결한다 (through-bolt) (7) 지면으로부터 최소한 30.5cm 이상 높혀서 설치해야 한다.

25 통나무 건축 규준 2. 길이 홈 ( long-groove ) : 길이 홈이란 영어로 래터럴 그루브(lateral groove), 스위디쉬 코프 (swedsh cope), 롱낫취(long notch)라고도 한다. (1) 통나무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연속적으로 스트라이빙 하여 상 하 통나무 사이 틈새가 없도록 한다. 틈새는 틈메우기 재료 또는 가스킷으로 하여 단열 처리를 한다. (2) 길이 홈은 자연배수 또는 가스켓으로 처리하여 물 공기 벌레 침투를 막 는다. < 물이 고이기 쉽기 때문에 육안확인만으로는 부족하다 > (3) 길이 홈 최소폭은 6.3cm 이상이어야 한다. 최대 30.5cm 이며 길이홈은 관통볼트, 핀(pin), 꽂임촉(dowel),전선구명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하여야 한다. (4) 길이홈 최대폭은 직경의 3/8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나 통나무 외형이 너 무 울퉁 불퉁한 경우 직경 1/2까지 허용하기도 하나 이 경우 홈의 길이 가 46cm 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 홈을 깊게 만들면 통나무가 약해지고 밑부분에 함열이 생길 수 있다. (5) 길이홈의 깊이는 통나무 직경의 1/4 이하로 만들어야 한다. (6) 길이홈은 장방형, 낮은홈(shallow cove), W-형, 더블스크라이브 등의 단면이 있다.

26 통나무 건축 규준 3. 통나무 돌출부재 ( log extension )
  : 플라이 웨이(flyways) 또는 로그 오버행(log overhangs) 이라 불리는데 이는 귀틀맞춤의 밖으로 뻗어나론 짧은 통나무 부재를 말한다. (1) 이는 지붕 추녀로 막거나 하여 보호하지 않으면 부패하기 쉽다. (2) 귀틀맞춤 끝에서 최소길이는 23cm 이상되어어야 하는데 이 규정은 주먹 장 모서리 맞춤(dovetail corner notch)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 통나무 외부 돌출부재를 바로 아래 돌출부재와 긴결하여서는 안된다 (4) 너무 짧은 통나무 돌출부재는 갈라지기 쉬어서 귀틀맞춤과 벽체 모서리 를 약하게 만든다. (5) 지붕추녀, 외도리(outrigger)혹은 발코니를 지지하는 통나무 돌출부재 는 2단 또는 3단과 긴결하여 킨태래버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 (6) 외부 돌출부재 끝부분은 습기를 흡수하여 수축과 팽창을 더 많이 한다.

27 통나무 건축 규준 4. 모서리 사이의 간격 (1) 직경 30.5cm 미만 통나무사용시 벽체 모서리 귀틀맞춤 사이 최대 간격
(2) 직경 30.5cm 이상 통나무 사용시에는 최대 9.75m 이하로 해야 한다. (3) 이러한 규정을 초과할 경우에는 철재 핀, 목재 키(key), 꽂임쇠(dowel)    표면이 미끈한 철제환봉, 관통볼트, 래그볼트(lag screw) 평철, 통나무    단벽(stub wall)등으로 구조적 보강을 해야 한다. (4) 창호 등 개구부 설치시에는 수평적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구조계산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28 통나무 건축 규준 5. 상,하 통나무 연결 = 통나무 길이 접합
     = 통나무 길이 접합    : 벽체의 길이가 너무 길어 두 개 통나무를 맞대어 벽체 부재를 만드는     경우이다.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연결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1) 접합부위는 연결재(fastener)로 서로 긴결하여야 한다 (2) 상하 통나무간에는 철핀 목재꽂임축, 래그볼트 관통볼트 등으로 상하통나무를 긴결하여 벽체가 일체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29 통나무 건축 규준 6. 상인방 통나무 ( header log )
   : 창호를 부착하기 위해 통나무 벽체에 만든 개구부 상단 통나무를     상인방통나무라 한다. (1) 상인방 밑에는 가스켓을 넣고 상인방 문선을 설치하는데 이 상인방 문    선은 침하덮개인 것이다. (2) 상인방의 개구부는 빗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문과 창문사의 상인방 덮개(head jamb)와 외부문선(exterior trim)으로 덮쳐지도록 만들어야 한다.

30 통나무 건축 규준 7. 벽도리 ( plate log ) < 도리, 중도리, 용마루와 비교 >
  : 통나무 벽도리란 벽체의 맨 윗단의 벽부재를 말하며 지붕 구조체가    벽도리 위에 앉게 된다. (1) 벽도리는 건조수축, 지붕의 압력 등으로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변형을 막기 위해 철핀, 나무뭇, form볼트 관통볼트 등으로 긴결하여야    한다. (2) 통나무 벽도리와 경량목구조가 맞나는 부분에는 벽도리가 건조되어 생   기는 수축현상과 비 바람, 벌레침투 등에 방지하기 위해 팽창 가스켓   (expansion gasket)을 부착한다. (3) 천장의 방습망(vaper retarder)은 영구히 밀폐되도록 통나무 벽도리에 코킹이나 실런트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4) 통직목리를 사용해야 한다. (5) 벽도리와 지붕구조체 접촉부분에서 공기가 많이 샌다. 그리하여 단열의 문제가 생기고 이 부분을 특별히 방습망으로 밀폐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 다.   방습망은 벽도리에 못이나 택커핀으로 부착하는 것은 좋지 않다.

31 통나무 건축 규준 8. 톱집 ( kerfing )    : 통나무를 파내면 수심  또는 단면 중심 가장 가까운 부분에 함열이 생 기거나 터지게 된다.  톱집은 생통나무 건조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함열     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 톱집이란 통나무 길이방향으로 흠집을 내어 균열을 미리 조정하는 것 (1) 건조통나무는 톱집을 넣어도 함열의 위치를 변형할 수 없다. 따라서 톱 집은 생통나무에서 행한다. (2) 톱집은 함열이 촉진되도록 깊게 넣어야 한다. 그 깊이는 통나무 직경의 1/4 이상 되어야 하나 1/2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3) 톱집은 윗 통나무 부재의 길이홈이나 귀틀맞춤으로 충분히 덮혀져 비,    바람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4) 엔진톱으로 통나무를 파내면 함열이 촉진된다. (5) 이 톱집에는 자연배수가 되지 않아 빗물이 고일 수 있으므로 항상 윗통 나무의 길이홈이나 귀틀맞춤으로 잘 덮어 보호해야 하고 감춰져 보이지    않게 해야 한다.   ☆ 귀틀맞춤 = notch (6) 통나무를 1/2 로 잘라 만든 하인방 통나무 (sill log) 상단에는 톱집을 시공할 필요가 없다. 외부 돌출부 역시 톱집을 시공하지 않는다.    절반으로 자른 통나무는 일반적으로 함열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경우 톱집을 낼 필요가 없다.

32 통나무 건축 규준 9. 경량목구조의 부착 : 통나무벽체에 경량목구조를 부착하는 경우 (칸막이 벽이나 창호)
  : 통나무벽체에 경량목구조를 부착하는 경우 (칸막이 벽이나 창호)    통나무 건물 내부의 비내력 칸막이 벽체는 흔히 샛기둥을 이용한 경골    목구조로 만든다.  이 샛기둥 벽체(stud wall)등 통나무를 사용하지 않는    벽체를 통나무에 부착시키는 경우 통나무 벽체를 파내어 칸막이 벽체를 부착하는 경우 통나무 벽체 단면 (2) 통나무 벽체를 수직홈, 통맞춤(dado)홈, 반턱맞춤(rabbet)홈을 파서 칸 막이 벽체 샛기둥을 그 홈안에 부착한다. (3) 벽체에 부착하는 첫 번째 샛기둥은 벽체가 수축하고 침하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4) 경량목구조 칸막이 벽체를 통나무 벽체에 홈을 파고 끼울 때에는 이 홈 과 통나무 벽체의 반대편에 설치하는 칸막이 벽체를 끼울 홈과의 간격이 최소 122cm 이상되어야 한다. (5) 홈의 깊이가 벽체의 중심선이나 중심점을 넘어서는 안된다.

33 통나무 건축 규준 10. 기타 (1) 통나무 벽체가 2층을 초과하거나 높이가 6.1m 를 넘을 때에는 구조진단 이 필요하다
(2) 내력벽은 하중을 예상하여 설계와 시공을 해야 하며 공사중 곰팡이균등 에 대한 방부조치가 필요하다. (3) 공사기간중 지붕을 덮어 통나무를 보호하고 특히 마구리에 실런트를 발    라 건조를 지연시켜 함열을 방지 감소시킨다.

34 통나무 건축 규준 제3절 귀틀맞춤 (Notch) [1] 자연배수(排水)
 모든 종류의 귀틀맞춤 이음에는 자연배수가 되어야 하며 비,바람,벌레등의 침투를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자연배수는 귀틀맞춤 표면을 경사지게 만들어 통나무에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배(기울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모든 종류의 귀틀맞춤에는 자연배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귀틀맞춤의 유형  귀틀맞춤의 유형은 슈링크-핏트 귀틀맞춤 (shrink-fit notch)                    컴프레션-핏 귀틀맞춤 (compression-fit notch)                    반달 귀틀맞춤 (round notch)                    멍텅구리 귀틀맞춤 (blind notch) 등이 있다.

35 통나무 건축 규준 [3] 규준 (1) 귀틀맞춤은 오목한 단면을 가지며 그 단면의 깊이가 최소 15mm 이상
(2) 귀틀맞춤을 위해 외형이 매끈해야 하며 침하홈(relief opening)은 여유    가 있어야  쳐받침(hang up)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압축에 여유분으로 작용한다. (3) 말안장 스카프(saddle scarf) 제작시에는 통나무 양옆의 변재를 제거해    야 하며 평평하게 시공한다.  체인톱만으로는 안되고 곡면대패로 마감해    야 한다.   - saddle notch (4) 주먹장 맞춤(dovetail notch)일 경우에는 이러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다    ☆ 주먹장 맞춤 = dovetail notch      ★ 주먹장 이음 : 봇목에 들어가는 도리 끝이 물러나지 않게

36 통나무 건축 규준 (5) 멍텅구리 맞춤(blind notch) 한 통나무 부재가 다른 통나무 부재와 겹치
   거나 가로지르지 않게 결구하는 방법이다.      이는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① 멍텅구리 맞춤은 주먹장(dovetail) 혹은 반턱주먹장(half-dovetail)형     태로 만들어 연결하려는 부재와 맞물리게 한다.     ☆ dovetail <도브테일> : 열장이음, 열장장부촉    ② 멍텅구리 맞춤은 기계적 접합제를 장착하여야 한다.   ③ 꽂임촉(dowel)을 눈에 보이지 않게 그리고 침하에 지장이 없도록 박는     다.    ④ 철제띠 결속재 혹은 볼트를 눈에 보이지 않게 부착하여 교차하는 부재     들을 결속시킨다.

37 통나무 건축 규준 제4절 장선과 보 [1] 장선 (長線) 등 용어 장선 : 마루 밑에 대어 마루청을 받치게 된 나무.
   장선 : 마루 밑에 대어 마루청을 받치게 된 나무.            an underfloor sup-port beam; underflooring.         ledger plate : 장선받이 : 2층 마루 장선을 받치기 위하여 샛기둥                              꼭대기에 박는 나무토막         ledger strip : 장선걸이 ; 장선 두 끝을 받쳐주는 가로재    보 :  a beam (of wood); a girder (강철의); a crossbeam (횡보)        = 도리, 용마루, 서까래를 모두 포함한 개념    서까래 : a (common) rafter.   서까랫감 raftering (material).        도리에서 처마 끝까지 건너지른 나무《그 위에 산자(橵子)를 얹음》    도리 : 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위에 건너 얹는 나무.       중―도리 :  동자기둥에 가로 얹은 중간 도리.       용마루 : the ridge of a roof

38 통나무 건축 규준 [2] 장선 및 보의 규준 (1) 좌선목리는 우선목리보다 강도가 약하다 따라서 좌선목리는 장선이나
[2] 장선 및 보의 규준  (1) 좌선목리는 우선목리보다 강도가 약하다  따라서 좌선목리는 장선이나    보의 부재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장선이나 보는 통직목리 또는 약한 우선목리를 써야 한다.    처짐이 지나치면 불쾌감과 출렁거림 원인이 된다. (3) 통나무나 큰 각목(timber)으로 된 보의 끝 바닥면을 잘라 맞춤을 하려    면 그 길이가 보 두께의 1/4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4) 통나무 또는 큰 각목의 장선은 통나무 벽체를 파서 끼워지도록 하여 장    선이 분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5) 바닥이나 경골목구조체를 지지하는 통나무 장선과 보의 상단은 폭이 최    소한 2.5cm 이상되도록 평평하게 만들어야 한다. (6) 통나무 건물은 바닥장선을 벽체의 외부로 내밀어 이 켄틸래버가 발코니    나 지붕하중을 지지하도록 흔히 설계한다.  대체로 보가 벽체를 지나는    지점에서 최대의 응력을 받도록 한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맞춤으로 인    해 캔틸래버보가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각귀틀맞춤(square notch = 열십자 + 모양으로 보를 연결)는 보가 약    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다. (7) 건물 밖으로 나온 보(캔틸래버보)는 짧더라도 부패하지 않도록 금속 플    래슁(flashing)과 방수포를 부착하고 추녀를 넓게 한다.

39 통나무 건축 규준 제5절 창호 (1) 노치방식 통나무 벽체의 모든 창호 개구부는 침하여백(settling space)
   을 두어야 한다. (2) 침하여백은 비 바람 또는 벌레 침투를 막기위해 덮개(cladding) 혹은    문선(trim)으로 막아야 한다.     ☆ 침하여백은 침하덮개(settling board)로 박는다. 침하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침하를 방해하    거나 창문과 문이 손상되지 않도록 덮개나 문선을 통나무 벽과 창문틀    혹은 문틀 양쪽에 함께 고정해서는 안된다.     침하여백을 메운 단열재의 난방이 된 쪽에는 방습막(vapor barrier)을    설치해야 한다. (3) 문설주 위에 붙인 문선(trim)이 침하를 방해해서는 안된다. (4) 모든 하인방은 바깥쪽을 경사지게 만들어 물이 통나무 벽면을 타고 흘    러내리게 만들어야 한다.

40 통나무 건축 규준 제6절 침하 (settling) 침하란 통나무 벽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침하란 통나무 벽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셋트링(Settling)   나무가 수축할 때 횡방향으로 수축한다. 통나무를 횡으로 쌓아 가는 통나무집에서는 나무의 수축과 자체의 하중으로 벽체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데 이것을 셋트링이라고 한다. 건축을 할 때 창호의 위에 셋트링스페이스를 설치하고 기둥의 아래나 위에 스크류재크를 설치하고 계단을 아래쪽을 고정시키고 위쪽이 미끄러지게 만드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셋트링이 모두 끝나는데는 3∼5년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셋트링의 폭은 나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로 본다. 셋트링폭을 계산하는 방법은 셋트링에 관계되는 높이 x cm(이 2 cm 는 안전을 위한 수치다)로 한다. 셋트링스페이스(Settling space)   셋트링의 진행에 따라 침하하는 통나무벽은 높이가 변하지 않는 창틀, 문, 칸막이벽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창호와 칸막이벽의 상부에 공간을 둘 필요가 있는데 이것을 셋트링스페이스라고 한다. 이 스페이스를 감추는 판을 트림보드라고 한다.

41 좋은 집자리 고르기 ① 따뜻해야 한다. 풍수지리가 자연의 섭리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문임을 감안한다면 양택에서 풍(風)은 직절한 공기의 소통을 도모하고 맞바람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런데 기온을 따뜻하게 하려면 집의 방향이 남향이어야 하므로 집은 북이나 북서쪽에 등을 대고 남쪽이나 동남향을 하고 있으면 자연히 따뜻하기 마련이다. 만일 그 반대 방향이면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에는 북서풍이, 여름에는 동남풍이 불어오기 때문에 겨울이면 춥고 여름이면 오히려 덥다. 자연적으로 따뜻하다는 것은 밝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늘져 어둡거나 음침한 집은 일차적으로 가격면에서 불리하지 않을 수 없다. ② 햇볕과 안정감이 있어야 한다. 생기는 땅에서만 받는 것이 아니라 태양으로 부터도 받는다. 또한, 모든 생물은 햇볕을 필요로 하는데 같은 햇볕이라도 기가 일어 나는 아침 햇볕을 받아야 한다. 저녁 햇볕은 오히려 생기를 잃게 하는데 서향의 아파트 베란다에 있는 화초가 싱싱하지 못하고 죽어가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안정감이란 대지의 형태뿐 아니라 건물 자체에도 적용된다. 이를테면 교회 건물같이 뽀족한 것은 교회같이 특수한 의미에서는 가치가 있을는지 모르지만 보통 가정집으로서는 부적격하다. 경사가 심하여 불안한 형태의 가옥이 매매 때 그 가치성이 떨어지는 것 또한 바로 이러한 연유 때문이다. 

42 좋은 집자리 고르기 ③ 교통이 편리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명당이라도 사람이 쓸수 있을때 명당이다. 다시 말하면 이용가치가 없는 물건은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소용가치가 없다는 것이다.따라서 교통이 좋아야 귀한 손님도 오고 복도 들어온다. 교통의 중심지는 바로 상권이 발달하고 인간생활에 있어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④ 도로에 인접해야 한다. 교통이 편리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하지만, 교통이 부지 연장과 같은 위치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대지의 사면 중에서 최소한 한 면만은 도로에 접해야 하는데 그보다 더 좋은 것은 도로의 교차점으로 코너가 되는 대지이다. 풍수지리에서는 물이 만나는 주위에 혈이 있는 것으로 본다. 그런데 양택에서는 도로를 바로 그러한 물로 보기 때문에 도로가 만나는 곳에 양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하여 실제로 코너 땅과 그 옆의 땅과는 가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상업지역일수록 그 의미는 크다. ⑤ 집앞의 전경이 좋아야 한다. 활동의 근원지이며 성장의 요람인 주택의 전경은 그 집에 사는 인간에게 정신적인 안정과 정서적으로 좋은 영향을 주어 건전한 사고를 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건전한 사고의 인간은 정신적 질환이 없어 건강하고 오래 산다. 집터나 주택에 있어 북쪽이 좋으면 가운데 아들이 잘되고 생식기와 신장·귀 등이 건강해지나 북쪽에 흠이 있으면 가운데 아들의 생식기와 신장·귀 등이 건강치 못하며 운세가 나빠진다고 한다.

43 풍수지리상 좋은 집터 ** 배산임수 남향 집은 햇빛을 가장 많이 받는 집으로서 주택의 대표적인 배치 방법 중 하나이다. 평탄하고 넓은 대지에서나, 대지의 경사가 북쪽은 높으면서 남쪽이 낮은 땅, 즉 대지 형태가 남과 북으로 길게 늘어진 경우에는 남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배산임수(背山臨水) 배치 방법은 한국의 전통 건축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 궁궐과 사찰은 물론 소규모 주택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건물은 배산임수 배치 방법을 적용했으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가장 이상적인 배치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배산임수’란 말 그대로 산을 등지고 물이 있는 쪽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즉 지면에서 약간이라도 높은 부분에 건물을 짓고, 지대가 낮은 쪽에 마당을 설치함으로써 내려다보도록 하는 배치 즉, 등고선에 의한 배치를 말한다. 그리고 지면의 고저가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거나 강이나 바다 등이 직접 보이지 않는 지세에서는 빗물이 흘러 내려가는 방향을 낮은 쪽으로 하여 마당을 설치함으로써, 건물에서 빗물이 내려가는 쪽을 바라보도록 배치한다. 생기는 강물과 육지가 음과 양으로 조화를 이루는 낮은 지역에서 발생되어 바람을 타고 지상으로 옮겨진다. 생기 있는 바람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집이 생기가 불어오는 쪽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물이 내려가는 낮은 쪽을 향해 집이 들어선 경우가 바로 생기를 많이 불러들이는 형태이다. 남쪽 지면이 높고 북쪽 지면이 낮은 대지에서는 지면이 높은 남쪽이 건물 후면이 되고 지면이 낮은 북쪽이 건물의 전면이 되는, 북향 배치가 배산임수에 따른 배치 방법이다. 북향으로 배치를 해야만 북쪽에서 불어오는 생기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이런 지세에서 남향 집을 짓는다면 남쪽의 햇빛을 많이 받아들이는 장점은 있지만, 지대가 낮은 건물 후면을 석축이나 콘크리트로 받치고 집을 짓기 때문에 집이 뒤로 넘어지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건물에서 앞을 보면 정면에 높은 산이 가로막고 있어 중압감을 느끼게 되고, 산이 하늘을 가로막아 넓은 하늘을 바라볼 수 없다. 물론 하늘로부터 마당을 통해 들어오는 생기의 양도 부족해 주택 내부에는 불행한 기운으로 가득 차게 된다.

44 풍수지리상 좋은 집터 **집터의 높낮이 동쪽편이 높고 서편이 낮으면 생기가 융기(隆起)하고, 서쪽이 높고 동편이 얕으면 부자는 되나 대단하지 못하며, 앞쪽이 높고 뒤가 낮으면 집안에 좋지 못한 일이 잦고, 뒤편이 높고 앞이 낮아 트였으면 재산이 늘고 세세에 영호(英豪)를 낳는다 하며, 사방이 높고 가운데가 낮으면 부자일지라도 결국에는 가난해지나 국면이 넓고 평탄하면 아주 좋다. ** 집터의 방향 정서(正西, 卯酉之居)나 정북(正北, 子午之居)을 향하였으면 아주 나쁘다. 남북이 길고 동서가 짧은 터전은 좋고, 동서가 길고 남북이 좁으면 처음에 흉하나 차츰 좋아진다. 오른쪽이 길고 왼쪽이 짧으면 부자가 되고, 왼쪽이 길며 오른쪽이 짧으면 자손이 적다. 앞이 넓고 뒤가 좁으면 가난하며, 앞이 좁고 뒤가 넓으면 부귀를 다 누린다. **집터와 물,언덕 집터의 왼쪽으로 물이 흐르면 이를 청룡(靑龍)이라 하고, 오른편에 능선이 있어 장도(長途)가 되었으면 이를 백호(白虎)라 하며, 앞에 못이 있으면 이를 주작(朱雀)이라 하고, 뒷편에 언덕이 있으면 이를 현무(玄武)라 하니, 이런 터전을 일컬어 최귀지(最貴地)라 한다. **마땅한 집터 집터가 궁궐·사찰·신선이 사는 부근에 있으면 그 주인은 익수연령(益壽延齡)하고 가족이 평안하며 재산이 넉넉해진다.

45 풍수지리상 좋은 집터 **마땅치 않은 집터 신전(神殿), 불후(佛後), 고악(古嶽), 싸움터, 제구(祭坵), 대장간, 방앗간, 기름방, 오래된 무덤, 떨어진 바위의 벼랑, 동망(童罔), 물골이 합치는 곳, 교통이 번잡한 곳, 큰 길가, 절터, 서낭터 등에는 집터 잡는 일을 피해야 한다. 또 큰 고을의 성문(城門)앞이나 옥문(獄門)의 맞은편, 활터에서 과녁이 있는 부근, 흐르는 물결을 바라다보는 자리, 하수구가 모이는 곳, 초목이 나지 않는 자리, 허물어진 절터의 탑 부근, 무덤 근처, 사당에 이웃한 자리, 제방 아래의 자리도 마땅히 피하여야 한다. ** 집터의 조사 집터의 좋고 나쁨을 지기(志氣)로 살피려면, 먼저 정한 집터, 지표의 부식토를 걷어내고 생 땅을 평정하게 고른 뒤에 한 변이 1.2척 되는 정방형을 설정하고 파내되 깊이도 역시 1.2척으로 한다. 파낸 흙은 잘 부셔서 덩어리 없게 하고, 파낸 구덩이에 다시 메운다. 다지지 않은 채 두었다가 이튿날 아침에 살펴본다. 메운 흙이 푹 꺼져 있으면 좋지 못한 터이고, 만일 그것이 불쑥 솟아 있으면 좋은 터전이라 판단할 수 있다.

46 풍수지리상 좋은 집터 **물로써 살피는 방법 물은 명당수와 함께 점치되 법(法)을 얻은 것은 길하고 그렇지 못하면 나쁘다. 대체로 물은 양양(洋洋)함을 좋아하며, 유유하여 머물되 가득 찬 연후에야 흘러내림이 마땅하니, 첩첩한 논의 물이 해조(海潮)에 따라 머물고 흐르며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을 만큼 조당(朝堂)에 합당하고, 또 흘러내리는 물이 이윽히 계속되면 최귀격(最貴格)이라 한다. 만약에 늪에 물이 차서 넘치며, 물줄기에서 옆으로 새거나 터져 물길이 생기거나 물이 빠르게 흘려 내리고 맡거나 땅으로 스며들며 말랐다 젖었다 반복되면 모두 흉하다. 또 흐르는 물소리가 명랑하면 길하나 처연하여 소름끼치면 불길하다. **수구(水口) : 수구는 주밀함을 숭상하고 물이 고이며 얼른 흘러내리지 않음은 수구에 둥근 둔덕들이 있기 때문인데, 이들을 나성(羅星)이라 부른다. 흙은 돌과 같지 않아서 물길이 닿으면 나성들은 씻기고 깎여서 그 모양이 여러 가지로 형성되는데, 그 중에 기사괴석(奇砂怪石)이 새 같기도 하고 짐승 같기도 하여 그 머리가 물을 거슬러 오를 듯이 역지상향(逆之上向)하고 꼬리가 흐르는 물에 잠긴 듯이 형용되면 대길할 징조이다. 또 나성들이 수구를 바라다보면 좋고, 반대로 집이 있는 쪽을 보면 불길하다. 수구가 집과 가까우면 해롭고 떨어져 있으면 무방하다

47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1. 제 작 2. 가조립 및 분해 3. 운 반 4. 기 초 5. 조 립 6. 조 립 2 7. 지붕 만들기
8. 벽체 시공 9. 벽체 시공2 10. 완 성

48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1) 제작 통나무 원목을 가공․제작하는 과정으로 모든 부재를 설계도면에 준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특히 Post & Beam 공법으로 통나무집을 지을 경우 제작 과정이 매우 중요한 공정이 되므로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작도와 가공이 요구되는 공정이다. 차후 조립에 어려움이 없도록 제작 시 각 부재별로 상하 및 번호 표시 등의 넘버링에 주의한다.

49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2) 가조립 및 분해 부재의 제작과 동시에 가조립을 하게 되며 이는 현장에서의 본 조립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비하고자 함이다. 가조립 된 통나무는 최소 6개월 이상 외기에 노출 된 상태로 두는 것이 좋은데 이는 가공된 통나무가 자연 상태에서 미리 수축하여 마감 공사 후의 수축율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현장 조립을 위해 분해를 할 때는 또 다시 각 부재의 조립 상태와 넘버링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50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3) 운반가조립 분해 후 운반을 위해 상차를 할 때 주의할 것은 가능하면 하차하여 조립되는 순서를 미리 생각하여 상차하는 것이다. 또 실제 현장의 도로 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운송 차량의 크기(차폭, 길이 등)를 가늠하는 것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기초 통나무를 제작하고 가조립하여 골조를 세우는 동안 현장에서는 기초공사를 하게 된다. 집의 규모와 현장 여건 등을 감안하여 줄기초, 온통기초,말뚝기초 등 여러 기초 중 한 가지를 선정하여 기초 공사를 하는데 주의할 것은 필히 동결심도를 지켜 기초 공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51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5) 조립 현장 기초의 레벨을 확인한 후 Sill-Log와 Haif-Log를 설치하고 각 부재의 위치를 찾아서 현장 조립한다. 기능공 5~6명이 약 7~8시간의 작업으로 40여 평의 통나무집 골조를 완성한다. 6) 지붕 만들기 마감공사의 일부분으로 통나무집의 경우 대부분 지붕사를 먼저 완료한 후 벽체 및 내부 공사를 진행한다. 용마루와 처마 밑의 벤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장과 지붕 사이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지붕 공사 시 방수에 대한 문제는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 중에 하나이다. 특히 지붕과 벽체 등이 만나는 죠인트 부위에 대한 방수는 늘 주의를 해야 한다.

52 통나무집의 전체 공정 7) 벽체 시공 경량 목구조의 2*4 공법 거의 같은 방법으로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2*4 또는 2*6의 경량 목재로 틀을 만들고 한쪽 면을 합판 등으로 막은 후 유리 솜 등의 단열재를 밀실히 채우고 다른 한 쪽 면에 다시 합판이나 석고보드 등으로 막고 기타 마감재를 시공한다. 8) 완성 벽체 시공이 끝나면 내, 외부 마감공사를 진행한다

53 기초하기 가장 힘든 문제이기도 하고 가장 중요한 부문이다. 이 기초공사를 손수 하고자 한다면 먼저 시간과 인내심, 그리고 어느정도 인력동원이 불가피하다. 왜냐하면 콘크리트일이란 것이 그만큼 힘들기 때문에 초반 기초공사에 모든 힘을 쏟아 버리면 지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기초공사는 이렇게 하면 된다라고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집 지을  땅의 조건에 따라서 결정 될 문제이지 안전만을 생각하다가 기초하는 데에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것을 보아왔다. 예를 들어 지반에 돌이 많은 땅이라든가, 밭이지만 예전부터 집터였던 자리라든가, 논이라든가,성토한 땅이라던지 아무튼 땅을 잘 살펴보아야 하며 어떤 형태의 집을 지을 것인가에 따라 기초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무조건 동결선 밑으로 깊이 파서 많은 돈이 들이는 것도 또 하나의 낭비요인이 된다. 기초공사는 그 지역에서 공사를 많이 해 본 업체와 잘 상의해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그 지역의 지반상태를 그래도 다른 사람보다 잘 알고 공사를 해 보았기때문이다. 또 하나는 직접 손수 해 보겠다면 정확하게 자재와 인건비, 장비동원 등등을 계산 해 보면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기초공사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남에게 주건 직접 해 보건 간에 기초공사가 어떻게 진행되고 최소한 업자들과 원활한 대화를 위해서도 알고 있는 것이 좋다. 독립기초, 줄기초, 온통기초 로 분류 되는데...

54 기초하기 1. 독립기초 기둥 아래에 각각 독립된 (따로 떨어진) 기초가 형성 된 것을 말함. 대표적인 경우로 기둥 하나에 기초 하나로 된 구조입니다. 2. 줄기초 상부 구조가 벽으로 된 경우 벽체 하부에 벽체를 따라 연결된 줄처름 형성된 기초를 말함. 담장의 기초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3. 온통기초 (MAT 기초라고도 합니다) 건축물 바닥 전체가 기초로 되어있는 구조 입니다. 기둥, 보, 옹벽 등 상부 구조와 큰 관계없이 건축물 바닥 전체가 기초로 되어있고 1) 기초 지반의 지지력이 적어 독립 기초로는 상부 구조물 지지가 어려운 경우 2) 독립기초나 줄기초 등 여러 종류의 기초로 공사를 할 경우 공사기간이 많이 걸려 공사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거나 3) 온통기초로 할경우 작업이 단순하여 재료비는 많이 들지만 인건비가 적게 들어 결과적으로 공사비를 절약할수 있을 경우 4) 고층건물이나 초고층 건물의 경우 많은 지지력이 요구되어 기초가 커지게 되어 대부분 온통 기초로 설계됩니다.

55 마음으로 지은집 잘 지어진 집에 비나 바람이 새어들지 않듯이 웃는 얼굴과 고운 말씨로 벽을 만들고 성실과 노력으로 든든한 기둥을 삼고, 겸손과 인내로 따뜻한 바닥을 삼고, 베품과 나눔으로 창문을 널찍하게 내고, 지혜와 사랑으로 마음의 지붕을 잘 이은 사람은 어떤 번뇌나 어려움도 그 마음에 머무르지 못할 것이다. 한정되고 유한한 공간에 집을 크게 짓고 어리석은 부자로 살기보다 무한정의 공간에 영원한 마음의 집을 튼튼히 지을 줄 아는 사람은 진정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진실한 마음으로 지은집은 변할리 없습니다.. 어리석은 부자로 살기보다는 마음의 지경을 넓혀 영원한 마음의 집을 짓고 진정 행복하고 싶습니다.


Download ppt "통나무 집짓기교실 강사: 김 정 렬 다음 카페: 통나무집 을 사랑하는 모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