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Presentation transcript:

1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2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학습 목표 • 국학 연구의 내용을 파악한다.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국학 연구의 내용을 파악한다. • 문학, 예술 등에 나타난 조선 후기 문화의 변화를 이해한다. • 서민 문화가 발달하게 된 배경을 이해한다. 학습 목표

3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1. 국학 연구와 과학 기술의 발달 ◈ 생각 열기 실학자 중 일부는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연구하여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가 만주 일대를 통치하였다고 강조하였다. 발해고 실학자들이 고구려와 발해를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민족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 높이고 고대사의 연구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11

4 국학 발달의 배경 1 ◈ 되짚어 보기 - 국학이란 무엇일까? 우리 역사, 지리, 언어에 관심을 갖는 학문 국학 발달의 배경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되짚어 보기 - 국학이란 무엇일까? 우리 역사, 지리, 언어에 관심을 갖는 학문 11 국학 발달의 배경 1 국학 발달의 배경 ①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대한 반발 ② 우리 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관심 → 우리의 역사, 강토, 언어 등을 연구

5 국학 발달의 배경 1 (2) 조선 후기 역사 연구의 경향 역사가 저서 특징 이익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국학 발달의 배경 1 (2) 조선 후기 역사 연구의 경향 역사가 저서 특징 이익 중국 중심의 역사관 비판 → 민족에 대한 주체적 자각 고취 안정복 “동사강목” 중국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려 함 한치윤 “해동역사”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기록 활용 이긍익 “연려실기술” 조선 시대의 정치와 문화 정리 이종휘 “동사” 고대사의 연구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 유득공 “발해고” 11 11 11 11

6 국학 발달의 배경 1 (3) 조선 후기 국어 연구와 금석학 ① 한글 연구: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 유희의 “언문지”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국학 발달의 배경 1 (3) 조선 후기 국어 연구와 금석학 ① 한글 연구: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 유희의 “언문지” →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문화적 자아 의식 고양 ② 금석학: 김정희의 “금석과안록” → 북한산비가 진흥왕의 순수비임을 밝힘

7 ◈ 한 걸음 더 - 조선 후기 국학의 발달 Ⅰ. 조선 사회의 변동 ▲ 동사강목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한 걸음 더 - 조선 후기 국학의 발달 ▲ 동사강목 단군 조선 이전부터 고려 말까지 연대에 따라 기본 사실을 먼저 밝히고 그 아래에 세부 사실을 기록하였다.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립중앙박물관)

8 지리서와 지도 제작 2 배경: 국토에 대한 관심 증대 (2) 지리서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지리서와 지도 제작 2 배경: 국토에 대한 관심 증대 (2) 지리서 ① 이중환의 “택리지”: 각 지방의 특색을 자세히 서술하여 지리에 대한 지식 확대 ②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3) 지도 ①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② 특징: 산업과 문화에 대한 관심 반영 → 산맥, 하천, 포구, 도로 망을 정밀하게 표시

9 천문, 역법, 의학의 발달 3 (1) 천문: 홍대용, 김석문이 서양 과학의 영향을 받아 지전설 주장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천문, 역법, 의학의 발달 3 (1) 천문: 홍대용, 김석문이 서양 과학의 영향을 받아 지전설 주장 (2) 역법: 청에서 사용하고 있던 시헌력 도입 (3) 의학 ① 허준: “동의보감” → 의학 발전에 공헌 ②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 체질에 따른 치료법 정리

10 ◈ 한 걸음 더 - 지전설과 시헌력 지전설 시헌력 지구가 자전한다는 학설이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한 걸음 더 - 지전설과 시헌력 지전설 시헌력 지구가 자전한다는 학설이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태음력에 태양력을 일부 채용하여 만든 역법으로, 김육의 주장에 따라 1653년에 채택되어 1895년 태양력이 채택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11 ◈ 숨은 역사 찾기 - 동아시아의 의학 교과서, 동의보감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숨은 역사 찾기 - 동아시아의 의학 교과서, 동의보감 허준은 선조의 명으로 편찬하고 있던 “동의보감”을 15년의 노력 끝에 총 25권으로 완성하였다(1610). “동의보감”은 “향약구급방”,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등 우리나라 의학서와 중국의 의학서 86종을 참고하여 우리 풍토와 체질에 맞는 처방을 정리한 책이다. 그리고 단순한 치료법만 제시한 것이 아니라 정신 수양과 건강 관리를 잘하여 병의 근원을 다스리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광해군은 이 책이 완성되자 인쇄하여 널리 보급하였다. 이후 “동의보감”은 일본, 중국에서도 출판되어 동아시아의 중요한 의학 교과서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유네스코에서는 2009년 7월 “동의보감”의 독창성, 허준(1539~1615) 세계사적 중요성 등의 가치를 인정하여 초판 완질본(보물 제1085호)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하였다.

12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2.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생각 열기 조선 후기 한양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돈을 받고 소설책을 빌려주는 세책점이 등장하였다. 지방에서는 사람들이 장시에 모여 세상 물정에 대한 정보를 서로 나누었다. 세책점과 장시는 당시 사람들의 의식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서민들의 사회 의식을 확대시켰다. 11

13 서민 문학의 발달 1 배경 ① 농민들의 경제력 향상 ② 서당 교육의 보급 ③ 농민들의 사회 의식 확대 (2) 특징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서민 문학의 발달 1 배경 ① 농민들의 경제력 향상 ② 서당 교육의 보급 ③ 농민들의 사회 의식 확대 (2) 특징 ① 문예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 ② 사회의 부정과 비리를 신랄하게 고발 → 한글 소설과 판소리 발달 11 11 11 ▲ 서당도(김홍도)

14 서민 문학의 발달 1 (3) 한글 소설 ① 허균의 “홍길동전”: 서얼 차별 철폐와 탐관오리의 응징 주장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서민 문학의 발달 1 (3) 한글 소설 ① 허균의 “홍길동전”: 서얼 차별 철폐와 탐관오리의 응징 주장 ② “춘향전”: 상민이나 천민도 양반과 동등한 인격을 소유하였음 을 제시 ③ 야담, 민담의 소설화: “사씨남정기”, “구운몽”,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등

15 서민 문학의 발달 1 (4) 판소리와 탈춤 ① 판소리: 한편의 이야기를 광대들이 가창과 아니리로 엮어나 가는 것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서민 문학의 발달 1 (4) 판소리와 탈춤 ① 판소리: 한편의 이야기를 광대들이 가창과 아니리로 엮어나 가는 것 ② 작품: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등 ③ 탈춤: 주로 양반 사회를 풍자하 는 내용 ▲ 평양도(작자 미상)에 나타난 판소리하는 모습

16 ◈ 탐구 활동 - 봉산 탈춤으로 본 사회상 말뚝이: 쉬이, 양반 나오신다! 양반이라고 하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탐구 활동 - 봉산 탈춤으로 본 사회상 말뚝이: 쉬이, 양반 나오신다! 양반이라고 하 니까 노론, 소론, 호조, 병조, 옥당을 다 지 내고, 3정승, 6판서를 다 지내고, 퇴로 재상 으로 계신 양반인 줄 알지 마시오. 개 잘량 이라는 양자에 개다리 소반 반자를 쓰는 양 반이 나오신다는 말이오. 양반: 야, 이놈 뭐야? - 봉산 탈춤의 대사 ▲ 말뚝이

17 ◈ 탐구 활동 - 봉산 탈춤으로 본 사회상 말뚝이의 말을 통해 서민들이 하고 싶었던 말이 무엇이었을지 생각해 보자.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탐구 활동 - 봉산 탈춤으로 본 사회상 과제 말뚝이의 말을 통해 서민들이 하고 싶었던 말이 무엇이었을지 생각해 보자. [활동 Tip] 조선 후기 농민의 경제력과 사회 의식이 향상되고 신분 질서가 무너지는 상황에서 서민들이 양반에게 하고 싶었던 말이 무엇일지 생각해보자. 11 [ 예시 답안 ] 과거처럼 양반으로서 위세만 강조하지 말라. 11

18 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2 Ⅰ. 조선 사회의 변동 ▲ 광진(정선, 현재의 아차산 일대)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정선은 한양의 아름다운 경치를 진경 산수화로 그렸다. ▲ 집짓기(김홍도) ▲ 대장간(김홍도) ▲ 뱃놀이(신윤복) ▲ 청화 백자

19 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2 (1) 진경 산수화 ① 특징: 조선 후기 사실적으로 산수를 그리는 독자적인 기법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2 (1) 진경 산수화 ① 특징: 조선 후기 사실적으로 산수를 그리는 독자적인 기법 ② 정선: 진경 산수화의 창시자,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2) 풍속화 ① 특징: 조선 후기의 사회, 경제적 변동으로 나타난 새로운 현 상 표현 ② 김홍도: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소박하고 재미있게 묘사, ‘밭 갈이’, ‘추수’, ‘집짓기’, ‘대장간’ 등 ③ 신윤복: 도회지 양반의 풍류 생활과 부녀자의 풍습, 남녀 간 의 애정 묘사

20 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2 (3) 민화 ① 특징: 민중의 복을 기원하는 마음 반영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2 (3) 민화 ① 특징: 민중의 복을 기원하는 마음 반영 ② 소재: 해, 달, 나무, 꽃, 동물, 물고기 등 → 예술적 감상보다는 는 생활 공간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 (4) 청화 백자: 흰 바탕에 푸른 색깔로 그림을 그려 넣은 것 → 청아한 정취

21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자료 1 문자도 자료 2 모란꽃‧물고기‧게‧백동자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자료 1 문자도 문자도에는 일상생활의 도덕이나 윤리 규범이 담겨 있다. 문자도는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보급되어 당시 서민 대중을 유교적 도덕관으로 교화시키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 자료 2 모란꽃‧물고기‧게‧백동자 모란꽃이나 알을 많이 낳는 물고기와 게, 그리고 백동자 등이 많이 그려진 것은 부귀영화나 자손 번성과 같은 민간의 소박한 염원을 표현한 것이다.

22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자료 3 책거리 자료 4 화조화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자료 3 책거리 책이나 벼루, 먹, 등의 문방구류를 그린 책거리 그림에는 학문 존중의 뜻이 담겨 있다. 자료 4 화조화 장식 용도로 많이 그려진 화조화는 꽃이나 새를 그린 것으로, 화려한 채색이 특징이다.

23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1. 조선 후기에 민화가 널리 보급된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깊이 알기 1. 조선 후기에 민화가 널리 보급된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민화는 조선 후기 민중 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경제적 부를 축적한 새로운 계층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운데 널리 보급되었다. 11 2. 민화를 그린 화가들은 주로 어떤 신분의 사람인지 알아보자. 민화는 대부분 제대로 그림 수업을 받지 못한 떠돌이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다. 11

24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 심화 학습 - 민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민화 넓게 알기 3. 민화 외에 서민 문화가 발달했음을 보여 주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 예시 답안 ] 한글 소설, 판소리, 사설시조, 탈춤, 풍속화 등의 유행이 서민 문화가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11 더 많은 민화 감상하기 조선민화박물관


Download ppt "Ⅰ. 조선 사회의 변동 0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