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2012. 07. 06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주관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를 위한 중독 연수교육 니코틴 의존 I: 흡연이 중독인가?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2
Neurobiology of Smoking
Contents 흡연의 개관 금연의 필요성 Neurobiology of Smoking Summary
3
흡연의 개관
4
우리나라의 흡연 현황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44%가 흡연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 여성은 2.3%
흡연으로 연간 4만명 이상 사망 연간 약 10조원 이상의 사회경제적 손실 발생
5
흡연의 이유 (보라매병원 직원 흡연 현황 조사, 2009)
6
흡연하는 상황들 (보라매병원 직원 흡연 현황 조사, 2009)
7
금연이 마음먹기 달렸다? 흡연자 ~70% 금연 원함1 ~30% 금연 시도2 ~2–3% 금연 성공3
1. Bridgwood et al. General Household Survey 1998; 2. West. Getting serious about stopping smoking 1997; 3. Arnsten, Prim Psychiatry 1996.
8
금연이 어려운 이유 그러나, 중독에 대한 인식은 부족 (보라매병원 직원 흡연 현황 조사, 2009)
9
흡연도 중독이다 흡연은 니코틴 중독성 뇌질환!! 전문가 도움아래 치료 받아야
“최근 저(低)니코틴, 저타르 담배를 피우거나 슬림형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늘었다고 한다. 담배는 끊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건강에 피해가 덜 가는 것을 찾는 심리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바람일 뿐이다.” - 조선일보
10
니코틴은 강력한 중독물질 뇌의 쾌락중추(측좌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활성화시켜 쾌감을 유발하는 강화 효과
섭취 후 쾌락중추 도달시간 위장(30분), 구강 점막(4분), 정맥(20초) 니코틴 흡연은 7초 물질 전달 회수 하루 20개피를 각각 10번 흡입하면, 하루 200번, 일년은 7만 3천번
11
니코틴의 다른 약물들과의 중독성 비교 4 3 2 1
12
순한 담배는 덜 해롭다? 뇌의 쾌락중추(측좌핵)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니코틴의 양이 필요하다. 개피를 줄이면 더 깊이 더 오래 피게 되고 순한 담배는 양이 늘거나 흡연 양상이 변하게 됨
13
술과 함께 담배 피우기 술과 병용 때는 자살행위 알코올과 니코틴의 쾌락중추 자극에 시너지 효과를 추구하려 함.
후두암; 담배(7.4배), 술(5.8배) ⇒ 36배
15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I
16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II 간접흡연 - 암, 심혈관계 질환, 소아 호흡기 질환
17
Nicotine dependence의 DSM-IV-TR
12개월 동안에 적어도 다음의 세 가지가 있어야 한다. 내성;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용량을 올리거나 같은 용량으로 효과가 감소한다. 금연 뒤에 금단증상이 나타난다. 의도한 것보다 훨씬 많은 기간 동안 혹은 많은 양을 흡연한다. 끊으려는 노력에 실패하고 지속적으로 담배를 피우려는 욕망이 있다. 담배를 얻거나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사회적, 직업적, 혹은 여가선용을 담배 때문에 포기하거나 손해 본다.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것을 알고도 흡연을 계속한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18
Nicotine withdrawal의 DSM-IV-TR
진단 기준 II Nicotine withdrawal의 DSM-IV-TR 니코틴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끊은 뒤 24시간 내에 나타나는 증상 중 적어도 4가지가 있어야 한다. 불쾌한, 혹은 우울한 기분 불면 짜증, 좌절감 또는 분노 불안 집중력 저하 안절부절 못함 심박동수 감소 식욕과 체중의 증가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19
금연의 필요성
20
금연으로 인한 이득 I 금연 이후의 신체적 변화 20분 후 심박수 및 혈압 강하 1일 후 일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떨어짐
2일 후 미각 및 후각 호전 2~3주 후 폐, 순환기 호전, 운동이 쉬워짐 2주~3개월 심장마비의 위험이 감소 1~9월 후 기침, 호흡곤란 감소 5년 후 뇌졸중과 심장질환의 위험이 비흡연자와 동일 수준 10년 후 폐암의 위험도가 비흡연자와 동일 수준, 구강, 목, 식도 부위의 암 위험도 역시 감소
21
금연으로 인한 이득 II 금연 이후의 수명 연장
22
금연으로 인한 이득 III 담뱃값 금연 이후의 경제적 이득 2500원 x 365일 x 20년 = 18,250,000원
하루 1갑 피우던 김씨 20년간 금연을 했을 때 저축할 수 있는 담뱃값은 얼마? 2500원 x 365일 x 20년 = 18,250,000원 신체적 질환으로 인해 들어가는 의료비용
23
Neurobiology of Smoking
24
Meso-limbic dopamine system
Runner’s High Meso-limbic dopamine system 중뇌 변연계의 도파민 시스템 은 우리 뇌의 보상과 관련된 작용 보상, 성취와 연관되어 있고,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만, 인위적(약물)으로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음
25
Reward Circuits 3 2 1
26
Mechanism of action of nicotine in CNS
b2 a4b2 Nicotinic Receptor Nicotine binds preferentially to nicotinic acetylcholinergic (nACh)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primary is the 42 nicotinic receptor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VTA) After nicotine binds to the 42 nicotinic receptor in the VTA, it results in a release of dopamine in the Nucleus Accumbens (nAcc) which is believed to be linked to reward
27
Evidence on neurobiological process in smoking
Reward Cue reactivity Impulsivity Neuro cognition
28
1. Reward processing 돈을 따는 것에 대한 기대감 Decreased brain activation in the ventral striatum during reward anticipation in smokers (Peters et al., 2011)
29
2. Impulsivity: Go/NoGo task
Deficits in inhibitory control during Go/NoGo task in smokers: an ERP study (Luijten et al., 2011) N2 amplitude in non-smoker N2 amplitude in smoker Smokers have decreased N2 amplitude, suggestive of difficulties in response inhibition
30
3. Cue reactivity Cue reactivity and bupropion effect (Weinstein et al., 2010) Smoker: N=11 Abstinent: N=11 After 2M Tx with bupropion
31
3. Cue reactivity striatum thalamus midbrain
Cue reactivity and bupropion effect (Weinstein et al., 2010) striatum thalamus midbrain Successful treatment with bupropion reduces cue-induced urges to smoke and attenuates smoking cue-induced brain activations
32
3. Cue reactivity The effect of repeated virtual nicotine cue exposure on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Choi et al., 2011) 1 Virtual Bar 3 생체반응신호의 변화 2 이완 영상 가상환경을 통한 흡연욕구 자극 - 초기 주관적 흡연욕구 및 근전도, 피부전도도 등의 생체반응지수 상승 - 반복 경험을 통해 흡연 자극에 대한 반응성 감소
33
Summary
34
Summary 니코틴은 매우 강한 중독성 물질 흡연은 니코틴에 의한 중독성 뇌 질환
뇌의 쾌락중추, 혹은 보상신경회로를 구성하는 주요 뇌 부위는 ventral tegmental area, nucleus accumbens, frontal area 흡연자에서는 알코올이나 다른 물질중독에서처럼 reward system, impulsivity, cue reactivity, cognitive dysfunction 이 관찰됨 따라서, 흡연은 의지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약물을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함
35
문의 사항: 최정석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