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2007.3.30.
제4강 소리의 세계를 찾아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2 핵심어 핵심어로 복습하기 문자, 그림문자, 표음문자, 표의문자, 음절문자, 음소문자, 차자표기, 향찰, 구결, 이두, 차음, 차훈, 훈민정음, 언문, 국문, 한글, 표음주의 표기, 형태주의 표기 오늘의 핵심어 채워 볼 것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 음성학과 음운론 음성학(phonetics) 음운론(phonology)
음성을 자연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어떤 발음기관의 어떠한 작용에 의하여 生成되며, 그것이 만들어내는 音波의 특성은 어떠한가 등을 관찰함. 음운론(phonology) 그 음성들이 그 언어에서 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파악함.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 언어의 소리: 음성학 음향과 음성 음성 바람 소리, 재채기 소리, 휘파람 소리, 코 고는 소리, 헛기침 소리
‘엄마, 아빠, 안녕’ 음성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생성되어, 실제 말에 쓰이는 소리 ‘분절적인 소리로 인지’ 음성도 연속적이지만, 사람들이 음성은 그 소리가 나뉘어 있다고 인식  연속적인 음의 흐름을 불연속적인 것으로 받아들임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 음성학의 하위 분야: 조음, 청취, 음향 음성학(phonetics) 말소리의 연구
음성(phone, speech sound), 즉 말소리를 다루는 이론 언어학의 하위분야 말소리의 연구 조음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 음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음성을 발음될 때의 발음기관의 모양에 따라 분류, 발음 과정을 기술 청취음성학(auditory phonetics)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음성으로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 신경학/의학/언어병리학 음향음성학(acoustic phonetics)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 음향음성학 (acoustic phonetics)
일종의 파동 파동의 일반적 요소인 주파수, 파장, 진폭이 있음. 소리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 [i] [a] [u]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 음성의 생성에 관여하는 신체 기관 음성 생성 신체 기관 발동 기관 발성 기관 조음 기관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 발동 기관 폐 날숨 소리 들숨 소리 기류를 생성 음파의 생성에 필요한 기류를 일으키는 작용
폐에서 기류가 생성 안 되는 경우, 발성을 못함 날숨 소리 날숨을 이용해 내는 소리 거의 대부분의 음성 들숨 소리 들숨을 이용해 내는 소리 놀라거나 어이없을 때 내는 ‘헉’ 소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9 발성 기관 성대 폐에서 발동된 기류가 후두를 통과하면서 성대 작용에 의해 변형되어 말소리의 성격을 띠게 된다. ‘발성’
후두에서 성대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기류 조정 작용 ‘후두(喉頭)’ 기관지 상단에 위치한 연골로 된 조직 후두 안에 위치한 두 개의 얇은 막 성문(聲門; glottis) 성대의 두 얇은 막 사이 간격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0 발성 기관 [성대 진동 동영상 보기]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1 발성 기관 유성음과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따라 해 보기] – [s]와[z]
폐로부터 올라오는 기류가 후두를 통과하는 동안 성문을 좁히고 성대를 빠른 속도로 진동시키는 음 무성음 성문을 활짝 열어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을 때 생성되는 음 [따라 해 보기] – [s]와[z] 손가락을 목(갑상연골)에 대고 성대 진동을 느껴보자 손으로 귀를 막고 성대 진동을 느껴보자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2 조음 기관 조음 기관 기류의 2차 변형이 이루어지는 곳 성대 위의 성도(聲道; vocal tract)를 이루는 기관
기류는 성대 위의 성도를 통과할 때 성도가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냐에 따라 말소리의 음가가 결정된다. 비강(nasal cavity)과 구강(oral cavity) 인두 윗부분에서 갈라짐 [따라 해 보기] 손으로 코를 막고 콧소리 [n], [m]를 내 봅시다. 비강으로 공기가 흐르는 진동을 느껴 봅시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3 조음 기관 조음 기관 – ‘고정부’와 ‘능동부’ 구개(입천장) 혀 고정부 능동부 ‘윗잇몸(치조)’에서 목젓 앞까지
윗입술, 윗니, 구개, 인두벽 등 능동부 아랫입술, 아랫니, 혀, 성대 구개(입천장) ‘윗잇몸(치조)’에서 목젓 앞까지 경구개, 연구개 혀끝(설단), 혓몸, 혀뿌리(설근)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4 조음 기관 – 발음 기관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5 자음과 모음 (consonants & vowels)
자음과 모음의 구분 자음 (consonant) 공기의 흐름이 구강 내에서 어떤 장애나 차단이 수반되면서 나는 소리 모음 (vowel)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따라하기] 혀를 아랫니에 고정시키고, [n, t] (‘ㄴ’, ‘ㄷ’) 소리를 내 보도록 하자. (가능한가?) 혀끝을 윗니 뒷부분(치조)에 고정시키고 모음 ‘ㅏ’를 발음해 보도록 하자. (가능한가?)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6 자음의 분류 자음은 다음 세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영어의 [d]에 대한 명칭 성 (聲; voicing)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식 (manner of articulation) 영어의 [d]에 대한 명칭 voiced alveolar plosive (유성 치조 파열음) voiced (유성) – ‘성’에 따른 분류 alveolar (치조) –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plosive (파열) –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7 자음 : 성(voicing)에 따른 분류 성(voicing) 유성음 (voiced) 무성음 (voiceless)
기류가 폐에서 후두를 통과하는 동안 성문을 좁히고 성대를 빠른 속도로 진동시킨 음 모음, 유성자음 한국어 ‘ㄴ’, ‘ㄹ’, ‘ㅁ’, ‘ㅇ’ 모음 사이 ‘ㄱ’[g], ‘ㄷ’[d], ‘ㅂ’[b] 등 ‘아가’, ‘나다’, ‘아버지’ 무성음 (voiceless) 성대가 울리지 않는 소리 모음 사이가 아닌 ‘ㄱ’[k], ‘ㄷ’[t], ‘ㅂ’[p] 등 ‘가다’, ‘달리다’, ‘바위’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8 자음 :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성도(vocal tract)에서 소리가 산출되는 지점 능동적인 조음 기관(능동부)과 수동적인 조음 기관(수동부)의 접촉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양순음, 순치음, 치음/치간음, 치조음/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19 양순음 양순음(兩脣音: bilabial) : [p], [m], [b]
[p] : pat, tap, pit, spit, appear, 밥, 비 [b] : bat, tab, bit, 가보 [m] : mat, tam, 물 ‘성(voicing)’과 조음위치 [p] : 무성 양순 - voiceless bilabial [b] : 유성 양순 – voiced bilabial [m] : 유성 양순 – voiced bilabial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0 순치음 순치음(脣齒音 – labiodental) : [f], [v] [f] : fat, fish, flat
[v] : dove, victory 한국어에는 없음 ‘성(voicing)’과 조음위치 [f] 무성 순치음 - voiceless labiodental [v] 유성 순치음 – voiced labiodental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1 치음(치간음) 치음/치간음(齒音, 齒間音 - dental) [θ]: through, think, teeth
무성 치간음 – voiceless dental [ð]: the, their, then, breathe 유성 치간음 – voiced dental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이지만, 유아의 발성, 또는 신체적 결함으로 이런 소리를 내기도 함. ‘했어요~’ 아이들의 소리, 또는 혀짧은 소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2 치조음/치경음 치조음(齒槽音 – alveolar) : [t], [d], [n], [s], [z], [l], [r]
[t], [s] 무성 치조음 voiceless alveolar [n], [z], [l], [r] 유성 치조음 voiced alveolar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3 경구개음 경구개음(硬口蓋音 – alveo-palatal 또는 palato-alveolar)
[ʃ], [ʒ] , [ʧ], [ʤ], 한국어의 [ㅈ], [ㅊ] [ʃ] : shoes, shy [ʒ] : measure, vision [ʧ] : chalk, church [ʤ] : judge 한국어의 ‘ㅈ’, ‘ㅊ’ 한국어 ‘ㄴ, ㄹ, ㅅ’이 구개음화 된 경우 ‘녀, 려, 셔’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4 연구개음 연구개음(軟口蓋音; velar) : [k],[g],[ŋ],[x] 연구개와 후설면
[k] : kit, cat, 키, 기린, 감기 [g] : guard, longer, 아가 [ŋ] : sing, long, 강, 상 [x] : Buch, auch, Achtung, Nacht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5 성문음 성문음(聲門音; glottal) [h], [ʔ] 두 성대 사이에서 나는 자음
[h] : who, hat, rehash, 하늘 [ʔ] : bottle, button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6 IPA (국제 음성 기호)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기호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7 IPA – Consonants (Pulmonic)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8 조음 방식과 기식에 따른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 기식(aspiration) 비음(鼻音, 콧소리; nasal)
파열음/폐쇄음(破裂音/閉鎖音; stop, plosive) 마찰음(摩擦音; fricative) 파찰음(破擦音; affricative) 유음(流音; liquid) 기식(aspiration)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29 비음 비음(콧소리; nasal) 비음(nasal) 구강음(oral) 연구개가 개방되어 기류가 비강으로도 나가며 나는 소리
연구개가 개방되지 않아 기류가 구강으로만 나가며 나는 소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0 비음과 구강음 코를 손으로 막고 [n], [m] 소리를 내 보자 ‘나는’, ‘먹습니다’, ‘멍멍’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1 파열음 파열음/폐쇄음(stop, plosive) 기류가 조음기관에서 짧은 기간 동안 완전히 차단되었다가 터져 나오는 소리.
한국어의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등 파열음 조음의 3단계 접촉 (approach) 지속 (hold) 개방 (release) ‘개방’의 과정을 겪지 않고 멈추는 소리를 ‘내파음’이라고 한다. stop의 [p], ‘입’의 ‘ㅂ’, ‘떡’의 ‘ㄱ’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2 파열음 조음의 3단계 ‘아빠’, ‘state’ ‘떡’, ‘stop’, ‘kick’, ‘bit’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3 마찰음 마찰음(fricative) 조음점의 좁은 틈으로 기류가 빠져나오면서 기류를 마찰시킨다.
[s], [z], [h], [f], [v], [θ], [ð], [ʃ], [ʒ], [Φ], [β], [ç], [j], [x], [ɣ], [ħ], [ʕ] 한국어 : ‘ㅅ, ㅆ, ㅎ’ [s], [z] [f], [v] [ʃ], [ʒ]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4 파찰음 파찰음 (affricative) ‘파열음 + 마찰음’의 결합소리 [ʦ], [ʣ], [ʧ], [ʤ], [pf]
한국어 ‘ㅈ, ㅉ, ㅊ’ 독일어 : ‘Pferd’ ‘파열음’이 조음되고 연달아서 ‘마찰음’이 조음된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5 유음 유음(liquid) /ㄹ/ 계열의 소리 한국어 ‘ㄹ’이나 영어의 [l], [r]과 같이 혀 옆으로 숨이 나오며 내는 소리
설측음(lateral) 굴림소리(trill) 혀침소리(tap or flap)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6 유음 : 설측음 설측음 (lateral) 공기가 혀의 옆으로 빠져 나오는 소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7 유음 : 굴림소리 굴림소리 (trill) 혀의 떨림이 한번만 일어나는 자음으로 기류가 구강 가운데로 빠져 나오는 유음 [r]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8 기식음 기식(氣息; aspiration) 성대진동개시시간 (VOT : voice onset time)
‘taste’와 ‘stop’의 ‘t’의 차이를 알아 보자. [th]와 [t] 유기음(aspirated)과 무기음(unaspirated) ‘stop’의 ‘t’를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각각 발음해 보자.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39 기식(aspiration)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0 발음 기호의 명칭 기식여부 + 유성/무성 여부 + 조음 위치 + 조음 방법 [p] [ph] 무기 무성 양순 파열음
unaspirated voiceless bilabial stop(plosive) [ph] 유기 무성 양순 파열음 aspirated voiceless bilabial stop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1 한국어 자음 분류표 ‘한글’을 자질 문자라고 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자음의 분류 방식과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대조해 보자.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2 모음의 분류 기준 모음은 입의 크기와 입의 모양의 변화로 얻어지므로, 혀의 위치(앞뒤의 위치), 입술 모양(원순성), 입의 열고 닫음(개구도) 등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혀의 높낮이 (tongue height) 고모음, 반고모음, 반저모음, 저모음 혀의 앞뒤 위치 (tongue advancement)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입술의 원순성 정도(lip rounding) 원순 모음, 평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3 모음 4각도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4 한국어의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5 모음 발음 1 (전설 평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6 모음 발음 2 (전설 원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7 모음 발음 3 (중설 평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8 모음 발음 4 (중설 원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49 모음 발음 5 (후설 평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0 모음 발음 6 (후설 원순 모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1 음성과 음소(음운) 언어의 음성 연구 음성학 음운론 소리 자체로, 말소리의 조음적 관점과 음향적 관점에서 관찰하고 연구
언어 사용자의 지식으로서의 소리라는 관점에서 연구 예) ‘커피’, ‘계피’ 각각의 음절 /피/ 에서 언어 사용자는 /ㅍ/ 소리를 다른 소리로 인식하는가.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2 음성과 음소(음운) 영어의 [p]와 [b] 언어음 ‘pie’ [p] vs. ‘bye] [b]
즉, 의미를 구분(변별)해 주는 기능을 함. ‘최소대립쌍’ (minimal pair) 하나의 소리만이 다르고 다른 분절음이 모두 같은 단어들의 쌍 최소대립쌍을 성립하게 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소리는 음소이다. 언어음 소리 자체를 음성(speech sound, phoneme) 지식으로서의 언어음을 음소(phoneme) 혹은 음운이라고 한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3 음성과 음소(음운) 변이음(이음, allophone) ‘pie’의 실제 발음 [phai] 영어의 양순파열음
[p] – ‘spy’ [spai] [ph] – ‘pie’ [phai] [b] – ‘bye’ [bai] 영어 사용자들은 [p]와 [ph]를 구별하지 않고 같은 소리로 인식 음성은 [ ]기호로 표기, [p] 음소는 // 기호로 표기, /p/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4 음성과 음소(음운) 우리말의 [p]와 [b] 우리말에서도 무성음 [p]와 유성음 [b]가 대립하는가? [p]와 [b]
대립-의미를 구별해 주는가 [p]와 [b] 음성학적 관점에서 [p]와 [b]는 존재 ‘봄’ [p], ‘가방’ [b] ‘바보’ [pabo] 한국어 화자는 [p]와 [b]를 다른 소리로 인식하는가? /p/의 이음 이음은 최소대립쌍을 구성하지 않는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5 음성과 음소(음운) 상보적 분포 (complementary distribution) ‘지킬박사와 하이드’, ‘헐크’
같은 환경에 나타나지 못하는 언어 요소들이 있을 때, 이것들은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고 한다.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두 개의 음성은 한 음소의 변이음 stop [t], take[th]는 모두 /t/ 소리의 변이음으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변이음 음성적으로 유사할 것 [h](‘ㅎ’)와 ‘ㅇ’은 상보적 분포를 보이지만, 한 음소의 변이음으로 보지는 않는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6 음성과 음소(음운) 양순파열음: 음소와 음성적 실현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7 음소(음운)의 정의 음소의 정의 심리적 정의 기능적 정의 분포적 정의
음소는 언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혹은 아는 소리이다. (즉, 분별해 내는 소리이다) 한국어/한국사람: [p]와 [ph]를 구별하여 인식. [p]와 [ph]는 한국어에서 각각 음소이다. /p/, /ph/ 기능적 정의 음소는 의미 분화의 기능을 한다. 즉, 의미를 변별(구별)해 주는 최소 단위이다. ‘발’과 ‘팔’: 최소대립쌍에서 의미를 구분해 준다. 분포적 정의 비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소리들은 각각 음소이다. 한국어에서 유성음 [b]와 무성음 [p]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며, 이것들은 하나의 음소 /ㅂ/의 이음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8 음소(음운)의 정의 외래어 한 언어에 대한 지식(음운론적 지식)은 그 언어에는 없는 다른 언어의 소리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방해한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59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언어의 소리에 대한 지식 해당 언어의 소리 목록, 즉 음소 목록 음절 구조에 대한 지식
음절(syllable) 한 번에 자연스럽게 낼 수 있는 소리 단위 하나의 모음을 중심으로 앞뒤에 자음(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언어마다 모음의 앞뒤에 허용하는 자음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0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영어 음절 구조의 예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1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일본어의 음절구조 한국어의 음절구조 영어 V, CV V, VC, CVC
/a, e, i, o, u/ 5개 단모음 ん [ŋ] 은 제외(예외) 韓国かんこく /kankoku/ 일본어는 CV 언어 한국어의 음절구조 V, VC, CVC ‘강’, ‘속’: CVC 구조 영어 음절 초, 음절 말 자음 3개까지 가능 ‘strike’ /strike/ ‘asked’ /æskt/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2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음소배열(phonotactics) 제약 영어의 어두 자음군
영어에서 어두 자음이 3개 출현하는 경우 /s/  /p, t, k/  /r, l/ 2번째 위치의 자음에서 /k/는 철자로는 ‘c’로 실현된다. 영어에서 어두 자음이 2개 출현하는 경우 첫 자음이 ‘b’인 경우 /b/  /r, l/ 예) ‘brick’(/brik/), ‘blind’(/blaind/) 예) /blik/ 허용되는 구조이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형태. * /bnik/, /bdik/ - 허용되지 않는 음소배열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3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한국어의 음소배열 제약 음절 초에 올 수 없는 소리 음절 말에 올 수 있는 자음
연구개 비음 [ŋ] 베트남어 등에서는 음절 초에 이 소리가 쓰인다. 음절 말에 올 수 있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ㅇ/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4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음절구조, 음소배열 제약 및 외래어의 수용
복잡한 음절구조의 언어가 보다 단순한 음절 구조의 언어에 차용될 때 삽입 모음 등을 이용한 음절 구조 단순화 한국어 ‘김치’  일본어 [기무찌] CVC 구조  CV 구조로 단순화 영어 ‘blue’ (/blu/)  한국어 /블루/ 어두 자음군을 한국어 화자는 두 개의 음절로 인식. 1음절 영어 단어 ‘crossed’  한국어 /크로스트/ 4음절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5 음소(음운) 배열과 음운 구조 다음 철자를 발음하면…? ‘닭이’/달기/ 그렇다면, ‘뷁’, ‘아햏햏’은?
우리말에서 /ㅎ/은 음절 말 자음으로 올 수 없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6 음운 규칙 음운 규칙 구개음화(palatalization) 음소와 음소가 결합할 때 실제 발음을 결정하는 규칙/지식.
/코/, /키/ : [ㅋ] 소리의 미세한 음성적 차이 /ㅋ/의 /ㅋ/ 소리: 원래의 연구개 위치보다 앞으로 이동하여 경구개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 ‘같이’  [ㄱ ㅏ ㅊ ㅣ] 형태 음운 층위에서의 변화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7 음운 규칙 구개음화 영어 한국어 ‘cook’ [ku:k], ‘case’ [keis], ‘key’ [ki:]
‘key’의 [k]는 ‘case’의 [k]보다 앞쪽에서 발음된다. 한국어 ‘같이’, ‘밭이’, ‘솥이’ 후행하는 모음 /ㅣ/의 영향으로, 치경음 /ㅌ/가 원래의 위치보다 뒤의 경구개에서 발음되어 새로운 소리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기름/  [지름]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8 음운 규칙 비음화 (nasalization) 구강음이 주변의 비음의 영향을 받아서 비음이 되는 현상
“다음 소리를 비교하면서 발음해 보자” [ba]와 [ma] [ab]와 [am] 이제 코를 두 손으로 막고 위 발음을 다시 내 보도록 합시다. ‘한국어’ ‘국물’  [궁물] ‘국난’  [궁난] 비자음 /ㅁ/, /ㄴ/의 영향으로 앞의 /ㄱ/이 [ŋ]으로 발음. ‘걷는’  [건는], 밥물  [밤물] /ㄷ/  [ㄴ]/__/ㄴ/ /ㅂ/  [ㅁ]/__/ㅁ/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69 음운 규칙 음운 규칙과 외래어의 수용 한국어 비음화의 간섭 한국어 한국인의 영어 발음
‘밥물’ /papmul/  [pammul] 한국인의 영어 발음 ‘top model’ [탐모델] ‘걷는’ [건는] ‘Good morning’ [군모닝] ‘bookmark’ [붕마크]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0 음운 규칙 한국어 설측음화 자음동화 /ㄴ/+/ㄹ/  /ㄹ/+/ㄹ/ /ㄴ/+/ㄴ/  /ㄴ/+/ㄴ/ ‘신라’  [실라]
‘곤란’  [골란] 자음동화 /ㄴ/+/ㄴ/  /ㄴ/+/ㄴ/ ‘음운론’  [으문논] (또는 [으물론]) ‘우편료(요)금’  [우편뇨금]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1 음운 규칙 음운 규칙과 외래어의 수용 한국인의 영어 /-nl-/ 연쇄 발음 ‘Henry’ [henri]
한국인의 발음: [헬리, hel(l)i]  설측음화 적용 ‘only’ [onli] 한국인의 발음: [올리] 혹은 [온니] 많은 한국인들이 우리말의 자음동화를 언어지식으로 내재화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 발음에도 무의식중에 그 규칙을 적용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2 분절음과 초분절음 분절음 연속체 운율의 중요성 [반마리요] ([panmarijo]) 중의성 (왜) 반말이요?
(닭) 반 마리요. (쌀) 반 말이요. (학년 말고) 반 말이요. (논 말고) 밭 말이요. 운율의 중요성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3 변별적 자질 분절음 (segment) 자질 (feature) 실제 발음되는 낱소리 [p], [b]
양순, 파열 [p]: 양순, 파열, 무성 [b]: 양순, 파열, 유성 자질/특질 어떤 분절음을 구성하는 음성적 특징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 자질이 소리와 소리를 구별해 주기 때문에 ‘변별적 자질’이라는 용어를 사용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4 변별적 자질 변별적 자질의 목적 및 장점 하나하나의 소리의 음성적 특징을 명확히 보일 수 있음.
음성/혹은 음소의 상호관계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다. 적은 수의 변별적 자질로 여러 가지의 분절음을 구별 음운 규칙의 명시적, 경제적 기술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5 변별적 자질 음성/음소의 상호 관계 [b] : [p], [g] : [k], [d]: [t]
성(voice)의 변별적 자질의 차이 [b], [g], [d] – [+voice] [p], [k], [t] – [-voice] 성([+/-voice])이라는 변별적 자질의 유무 차이만 있을 뿐 다른 자질은 동일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6 변별적 자질 언어 기술의 경제성 적은 수의 변별적 자질로 분절음을 구별 평음, 격음, 경음의 구별 [ㄱ], [ㅋ], [ㄲ]
[기식성(+/-aspirated)], [긴장성(+/-tense)] [ㅂ, ㅍ, ㅃ], [ㄷ, ㅌ, ㄸ], [ㅈ, ㅊ, ㅉ], [ㅅ, ㅆ] 자음의 구분 [+기식성] /ㅋ, ㅌ, ㅍ, ㅊ/는 하나의 부류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7 음운 규칙의 기술: 비음화 변별적 자질을 이용한 음운 규칙의 기술 장점 규칙 기술의 간결화
음운 규칙의 동기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음.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8 음운 규칙의 기술: 비음화 한국어의 비음화 먹는 [멍는] ㄱㄴ  ㅇㄴ 걷는 [건는] ㄷㄴ  ㄴㄴ 잡는 [잠는]
비음 앞의 파열음이 비음화 하는 현상 (아래 자료 참조) /ㄴ, ㅁ/ 앞의 /ㄱ, ㄷ, ㅂ/이 [ㅇ, ㄴ, ㅁ]으로 변함 먹는 [멍는] ㄱㄴ  ㅇㄴ 걷는 [건는] ㄷㄴ  ㄴㄴ 잡는 [잠는] ㅂㄴ  ㅁㄴ 국만 [궁만] ㄱㅁ  ㅇㅁ 맏며느리 [만며느리] ㄷㅁ  ㄴㅁ 밥만 [밤만] ㅂㅁ  ㅁㅁ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79 음운 규칙의 형식 음운 규칙의 형식 A  B / C ___ D
소리 A가 C와 D 사이의 환경에서 B 소리로 변한다는 것을 의미 A  B / ___ A  B / C ___ A  B / ___ D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0 음운 규칙의 형식: 비음화의 예 한국어 비음화 규칙의 기술 (1) 규칙 (6개)
ㄱ  ㅇ / ___ ㄴ ㄷ  ㄴ / ___ ㄴ ㅂ  ㅁ / ___ ㄴ ㄱ  ㅇ / ___ ㅁ ㄷ  ㄴ / ___ ㅁ ㅂ  ㅁ / ___ ㅁ 여섯 가지 규칙이 모두 비음화 현상이라는 한 가지 현상임을 포착하지 못하는 단점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1 음운 규칙의 형식: 비음화의 예 규칙 기술 /ㄱ, ㄷ, ㅂ/ 소리가 [+비음성]([+nasal]) 소리 앞에서 비음화 된다.
변별적 자질을 이용한 규칙의 기술 ㄱ  [+비음성] / ___ [+비음성] ㄷ  [+비음성] / ___ [+비음성] ㅂ  [+비음성] / ___ [+비음성] /ㄱ, ㄷ, ㅂ/은 파열음으로 [지속성(continunant)]을 결여하는 소리 비음화 규칙 [-지속성]  [+비음성] / ___ [+비음성] * 음운 규칙에서 명시하지 않은 자질은 규칙의 적용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2 외래어의 표기 tell me something 텔 미 섬싱 썸싱 섬씽 썸씽 썸딩 http://www.cine21.co.kr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3 외래어의 표기 영어한국어 (외래어 수용 사례) 영어일본어 (외래어 수용 사례) radio coffee beer [라디오]
[라지오] 러시아어 수용 또는 방언 수용 coffee 커피 ‘마찰음 [f]’를 파열음 [ph]로 인식, 수용 영어일본어 (외래어 수용 사례) beer ビール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4 외래어의 표기 외래어 표기법 외국어 혹은 외래어를 한글로 적는 방법에 대한 규정 ‘한글’ 외래어 표기법은,
우리말 음소 체계를 반영하고 있음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의 소리를 우리말의 소리로 받아들이는 원칙에 대한 규정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5 외래어의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기본 원칙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6 외래어의 표기 외래어 표기법 국제음성기호(IPA)와 한글 대조표 포함 영어 표기법 세칙 기타 다른 여러 언어 표기 세칙 규정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7 외래어의 표기 영어의 예 어말 무성 파열음([p, t, k]) 어말 유성 파열음([b, d, g])
짧은 모음(단모음) 뒤에서는 받침으로 표기 ‘gap’갭, ‘cat’캣, ‘back’백 그 외의 경우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gate’게이트, ‘bike’바이크 어말 유성 파열음([b, d, g]) ‘으’를 붙여 적는다. ‘dog’  도그 ‘good morning’  구드 모닝 (?) 제5항 ‘관용을 존중’  ‘굿 모닝’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8 외래어의 표기 영어 마찰음 ‘s, z, f, v, th, sh’
file  ‘파일’ ‘th’ 유성음(this) ‘ㄷ’ ‘this’  ‘디스’ 무성음(thank) ‘ㅅ’ thank  ‘생크’ something  ‘섬싱’ ‘sh’ 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는다. 다음 슬라이드 참조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89 외래어의 표기 영어 마찰음 ‘sh’ 어말  ‘시’ 자음 앞  ‘슈’ 모음 앞  ‘샤, 섀, 셔, 쇼, 슈, 시’
‘flash’  ‘플래시’ 자음 앞  ‘슈’ ‘shrub’  ‘슈러브’ 모음 앞  ‘샤, 섀, 셔, 쇼, 슈, 시’ ‘shine’  ‘샤인’ ‘shall’  ‘섈’ (‘쉘 위 댄스?’) ‘shut’  ‘셧’ ‘show’  ‘쇼’ ‘shoes’  ‘슈즈’ ‘she’  ‘시’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90 외래어의 표기 파찰음 ‘church’, ‘judge’  ‘ㅊ, ㅈ’로 표기 picture ‘픽쳐’ (X) ‘픽처’ (O)
2018/11/12 단국대학교 국어학개론


Download ppt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