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2 정신질환 약물치료 개요 정신과 약제 치료 기전 정신과 약제 선택 기준 흔히 쓰이는 정신과 약제 정신과 약제 부작용
투약을 거부하는 환자에 대한 대처방법

3 정신과 약제의 치료 기전 정신분열증, 조울증은 감각, 생각,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균형이 손상되는 데서 비롯됨.
약을 통해서 손상된 물질 균형을 바로잡아줄 수 있음.

4 정신과 약제의 치료효과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의 경우 80% 정도에서 3개월 안에 치료효과 나타남.
우울증의 경우 70% 정도에서 치료효과 있으며, 3개월 안에 우울증에서 벗어남. 투약을 하지 않으면 재발가능성 높아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요함. 고혈압, 당뇨와 같은 다른 만성질환도 꾸준한 약물치료를 요함. 정신장애인이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을 절망으로 받아들이면 안됨.

5 정신과 약제 선택기준 좋은 약과 나쁜 약이 있는 것 아님. 환자와 잘 맞는 약과 안 맞는 약이 있을 뿐임.
좋은 약과 나쁜 약이 있는 것 아님. 환자와 잘 맞는 약과 안 맞는 약이 있을 뿐임. 신약이라고 꼭 좋은 것은 아님. 치료효과는 대등 소이함. 증상 악화와 재발의 이유는 약이 안 좋아서가 아니라, 환자가 임의로 약을 줄여먹거나 중단하기 때문. 같은 효과를 낸다면 굳이 고가의 약을 선호할 필요 없음.

6 흔히 쓰이는 약제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항우울제 조울증치료약제 항불안제제

7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환청, 망상을 줄여줌. Haloperidol(할돌) Chlorpromazine(CP)
Risperidone(리스페리돈) Olanzapine(올란자핀) Clozapine(클로자핀) Sulpidine(설피딘)

8 우울증 치료약제 우울감, 의욕감소,불면,체중감소, 자살 감소 Fluoxetine(프로작) Sertraline(졸로프트)
Paroxetine(파록세틴) Trazodone(트라조돈) Venlafaxine(이펙사) Mirtazapine(레메론)

9 조울증치료약제 기분이 뜨거나 우울해지는 것을 치료함. Lithium(리튬) Valproic Acid(발프로에이트)
Carbamazepine(카바마제핀)

10 항불안제제 흔히 수면제 혹은 신경안정제라 불림. Ativan(아티반) Valium(바륨) Alprazolam(알프라조람)

11 정신분열증 치료 약제 환청과 망상에 관여하는 도파민, 세로토닌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
클로르프로마진(CP, CPZ)이 가장 먼저 도입된 약제임. 그 다음에 할돌(Haldol)을 비롯한 약제가 도입됨. 기존의 약제가 주로 도파민이라는 물질에 관여했는데, 90년대부터 도파민 뿐 아니라 세로토닌을 비롯한 여러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는 비정형성 약물이 도입됨.

12 정신분열증 치료약제 부작용 추체외로 부작용(Extrapyramidal side effect)
근육을 움직이는 것이 힘들게 느껴짐 혀가 굳고, 몸이 굳는다고 표현함. 심한 경우 이유 없이 초조해지며, 손 떨리고, 음식 삼키는 것 힘들어 함. 초기 급성증상 조절할 때는 나타나지만 증상 호전 후 용량을 조절하면 사라짐.

13 정신분열증 치료 약제 부작용 항콜린성 부작용(Anticholinergic symptoms)
입마름, 변비, 코막힘, 일시적인 시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음. 항히스타민 부작용(Anthistamine effect) 졸리고 어지럽다고 호소하는 수 있음. 때로는 체중증가도 동반.

14 우울증 치료 약제 우울증상에 세로토닌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
이미프라민(Imipramine), 아미트립티린(Amitriptyline) 등의 삼환계항우울제(TCA)계통이 가장 먼저 도입된 약제임. 입마름, 변비,졸림,피곤함등의 부작용과 과다복용시 사망의 가능성이 있어서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음. 세로토닌 이외에도 다른 리셉터에 작용해 자율신경계 부작용을 많이 일으키기 때문.

15 SSRI 계통 항우울제의 등장 Serotinonin 의 재흡수를 막아 세로토닌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약제가 등장.
Fluoxetine이라는 성분이 Prozac이라는 이름으로 1988년에 시판되었고, Blockbuster 약물로 선풍적 인기를 끔. SSRI도 소화불량, 초조함,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삼환계 항우울제에 비하면 그 부작용이 현저히 적음. Fluoxetine,Sertraline, Paroxetine 등이 대표적인 SSRI임.

16 SSRI 그 이후 SSRI는 과다용량 복용해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극히 적은 안전한 약제임.

17 새로운 계통 항우울제 Dopamine-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 -Bupropion (성기능 장애 적음)
Serotonin modulator -Nefazodone (성기능 장애 적음) Norepinephrine-serotonin modulator -Mirtazapine ( 성기능 장애 적음) Serotonin-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 -Venlafaxine (2주 이내에 빠른 반응 가능)

18 투약을 거부하는 환자 입원했던 환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퇴원한 지 2년 안에 투약 중단하고 재발해 재입원.
투약 중단 시 즉시 재발하지는 않지만 대게 수개월 내에 재발함. 증상이 악화되기 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함. 병원에 정기적으로 방문해서 약은 타고, 실제로는 복용 안 하는 수도 있음.

19 투약을 거부하는 이유 자신이 병을 걸렸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음. 병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정신장애 증상 중 하나임.
약을 먹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자신이 정신질환을 가졌다는 것을 부정하고자 함. 심한 망상과 환청 때문에 혼란스러워 약을 제때 챙겨 먹지 못함. 드물게 약에 독이 있다는 망상 때문에 투약을 거부하기도 함.

20 투약을 거부하는 이유 약의 부작용을 이유로 투약을 거부하기도 함. 특히 생각이 안되고 머리가 멍하다고 투약을 거부하는 수가 있음. 이는 약의 부작용이 아닌 정신분열증 음성증상임. 투약 중단하면 더 악화되는데 환자들은 인정하지 않음. 약에 의존하게 될까 두려워하는 환자도 있음. 약을 안 먹고 스스로 증상을 조절하겠다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함.

21 투약거부를 대처하는 요령 약물과 관계된 환자의 걱정,두려움, 불편함을 주의 깊게 들어준다.
약물 부작용을 무시하지 말고, 약물로 인한 이득이 부작용으로 인한 불편함보다 크다는 것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약물의 효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한다.

22 투약거부를 대처하는 요령 가급적 환자가 선호하는 약을 사용한다. 하루 한 번 내지 두 번 간단한 투약방식을 적용한다.
약을 빼먹지 않았는지 남아 있는 약과 투약일 수를 비교해서 체크 한다.( 달력표시 혹은 약통을 사용한다.) 매일 약을 먹는 것을 칭찬해주고 격려한다.

23 맺음말 현재로서는 지속적 투약을 통한 재발방지가 정신장애의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임.
지속적인 투약을 위해서는 항상 긍정적으로 환자를 대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

24 희망을 잃지 말자 하지만 향후 보다 완치에 가까운 방법이 나올 것이라는 희망을 포기하면 안됨.
매일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 괴로운 일이기는 하지만, 약으로 증상이 조절 된다는 것을 다행스럽게 가족들이 받아들여야 함.


Download ppt "정신장애인의 약물치료 정신과 전문의 최명기."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