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Humanities : Driving Force of the 4th Industr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이석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Humanities : Driving Force of the 4th Industr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이석영"— Presentation transcript:

1 Humanities : Driving Force of the 4th Industr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이석영
4차 산업의 성장동력은 인문학 Humanities : Driving Force of the 4th Industr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이석영 발표 내용 : - <4차 산업> 개념정리 <4차 산업혁명> - 패러다임 변화를 불러온 <시대적 배경> 고찰 - 인문학 : 인문학의 두 얼굴 : 인문학의 危機 vs. 인문학이 大勢 - <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의 연결 소 주제 - 연결의 시대에 단절된 개인 : untact, call-phobia - 통합의 시대 : 會三歸一 - 4차 산업 : 기회인가, 위기인가 : Big Data와 Big Brother - 4차 산업과 포스트모더니즘 - 不二的 통합체로서의 뫔 - 4차 산업 : 경제적 민주화 - 문명사적 會三歸一 : 사람중심시대 - 인문학과 민주주의 - 인문학의 두 얼굴 -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네비게이션 : 인문학 - 개인의 위기 : 고슴도치 딜레마 - 인공지능시대 : 인문학의 역할

2 4차산업(산업 분류) 1차 산업: 자연 생산 (농업·목축·임업 ) 2차 산업: 가공 생산 (제조·건설·광업 )
1차 산업: 자연 생산 (농업·목축·임업 ) 2차 산업: 가공 생산 (제조·건설·광업 ) 3차 산업: 서비스 (상업·금융·운수통신) 4차 산업: 지식집약 (정보·의료·교육) 5차 산업: 오락 (패션·레저 ·관광) 산업의 中心 移動으로 3차 산업 비대해지자 4, 5차 산업으로 分化 4차 산업 : <정보와 지식>을 자본으로 하는 산업. 미국 GNP 1/3 창출. 6차 산업: 오미자+발효액제조+블로그판매 (네이버블로그 80만) 4차 산업 (산업적 분류) + 4차 산업혁명과의 관련성 (패러다임의 변화)

3 4차산업(산업 혁신) 1st IR : Motorization(動力化 ← 증기기관)
2nd IR : Mass Production(大量化 ← CB/전기) 3rd IR : Automation(自動化 ← IT) 4th IR : Personalization(個人化 ← ICT/AI) - 생산 혁명 → 소비자 혁명 (물질 → 사람) - 대중 시대 → 개인 시대 (1인 메이커, 1인 미디어) - 산업구조·사회시스템·생활방식·가치구조 혁신 1차: 1783, 제임스 와트 → 부르조아 → 資本主義 2차: 1913, 헨리 포드 → 분업화 → 大量生産 3차: 1970년대, IT → 자동화 → 生産革命 4차: 소비자 혁명 : On-demand 경제 (수제맥주, 맞춤구두) 小품종 大量 → 多품종 少量생산 (개성 중시, 포스트모더니즘적 多元主義) 연결과 통합 : IoT, Big Data, AI → 사람.사물.공간 연결+지능화 디지털/물리/생물세계 경계 해체 + 기술 융합 인간/개인에겐 기회/위기: George Orwell의 <1984>, Big Brother

4 20세기: 분석·분열의 시대 선도 학문 : 物理學 (自然科學) 分析의 정도 :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
선도 학문 : 物理學 (自然科學) 方法 : 分析, 道具 : 현미경, 成果 : 전자문명 分析의 정도 :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 딜레마 : The whol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Aristotle) 변화의 機微 : 미세지향(atomism) →거대 지향(holism) Chomsky : Micro-analysis → Macro-analysis 물리학,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에 도달 전공과목: 동양철학 (음양론) Aristotle 저서 Metaphysics (형이상학) : 部分은 알게 되었으나 全體는 더욱 멀어져 버린 아이러니 장난감을 분해했는데 다시 조립은 못하는 아이의 딜레마 Atomism (원자론): 부분의 합 = 전체 Holism (전체론) : 부분의 합 ≠ 전체 <거대지향>은 微細를 모르던 예전의 <낭만적 거대지향>이 아니라, <프랙탈 구조>처럼 미세와 거대가 共存하는 전체 Noam Chomsky ( ) : 음운·통사구조 미세분석 → 거대문제로 관심 이동 (철학·국가정책·국제문제·민주주의 등)

5 21세기: 통합·융합의 시대 패러다임 : 분석→통합, 부분→전체 선도 학문 : 物理學 → 生物學 (경계 해체)
21세기: 통합·융합의 시대 패러다임 : 분석→통합, 부분→전체 선도 학문 : 物理學 → 生物學 (경계 해체) 시대 흐름 : EU, FTA, WWW → Global Village 가치 중심 : 물질→사람 · 대중→개인 주도 철학 : Modernism → Post-modernism 배경그림: 會三歸一 시대정신/융합 상징 [物理→生物] 생물 컴퓨터 : 생체인지 인터페이스/ Apple의 bionic chip, neural engine (i-phone에서 인공지능 구동하는 processor chip) 4차 인간 : 뇌와 컴퓨터 연결 (기술과 인간의 統合) 腦波 분석 (뇌에 대한 물리학적 분석) 물리학과 생물학의 경계 해체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다보스포럼> ‘차세대 글로벌 리더’ 선정) : 카이스트 물리학과 학/석/박사, 예일대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 물리학과 연구교수, 콜롬비아대 의대 정신과 교수 역임 대중→개인: 개인과 세상의 연결 (hub of hyper-connected society) 모더니즘 (monism) → 포스트모더니즘 (pluralism) - 4차 산업의 특징: personalization, customization - victory of humanism over materialism, individualism over collectivism - 4차 산업 : (一元→多元, 集團→個人) 포스트모더니즘의 산업적 구현 - 20세기 후반 <이즘>으로 떠돌던 포스트모더니즘 <생활문화>로 정착

6 심신의 통합 : 몸+맘→뫔 Mind-Body Medicine : Deepak Chopra
- 뉴델리 生 / 하버드대 의학박사 : 철학과 의학의 융합 不二 - Holistic medicine → 冥想·음악·미술·문학치료 Mindfulness : 틱낫한 (釋一行 : 몸과 맘의 一行) - mind-body disintegration → mind-body integration - Think with Heart; Feel with Head. → 水火旣濟 Sati : John Kabat-Zinn (공학박사 / 매사츄세츠대 의대교수) - MBSR Program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1979) - 念 (← 今心) : Here and Now. Carpe diem. Seize the Day. <인식의 틀> : 분석 → 통합 <인간>에 대한 인식도 통합 ; 물질과 정신의 융합 몸-맘-얼 Mind-Body Disintegration → Mind-Body Integration Deepak Chopra : 아유르베다+현대의학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타임지> - 현재 《Chopra Well-being Center》 운영 틱낫한 : 1928년생, 佛 Plum Village, 美 Green Mountain 설립 - 物質主義와 科學主義에 의해 분리된 몸과 마음의 융합 운동 John Kabat-Zinn (1944- ): 구조화된 프로그램 + white-gown effect → 마음치료 스타 - Sati (위빠사나) = Mindfulness (몸과 맘의 일치) / 생각과 감정 그대로 인정/수용 KAIST 명상과학연구소 을 “Mindful Revolution의 해”로 명명(Times) 종말의 날, 마야력 최후의 날, 새로운 천지가 전개되는 날.

7 4차 산업: 플랫폼 산업 Platform: 현대판 Agora (시장) Big Data의 역량 :
Google이 당신의 관심사를 알고, Facebook이 당신이 누군지를 안다면, Amazon은 당신이 무엇을 살지 이미 알고 있다. (Financial Times) Jeff Bezos : “고객 중심주의는 아마존의 일관된 원칙” - Apple 이어 시가총액 1조 달러 달성 ( ) - 취급품목 (4억 종) : 실용주의 (store) + 사람중심주의 iriver (2004, 점유율 60%, 주가 12.5만원→최저3900원)와 애플의 iPod (점유율 75%) 독점 vs. 공유의 차이 플랫폼 기업 <싸이월드> : 1999년 KAIST 석박사과정 창업동아리 수익모델 : 사이버머니 <도토리> : 플랫폼산업 원칙위배 직원 700 → 30명 아고라 → 정치적 민주화, 플랫폼 → 경제적 민주화: 경제 주체 (자본 → 사람/개인) Alibaba 광군절(2017), 초당 32만 건 주문처리 아마존 프라임데이 1억개(34억 달러) 판매 Big Data 덕분 미리 알고 준비 “Kakao Taxi는 부르면 오고 Uber Taxi는 이미 와 있다” (Uber Algorithm) Data scientist : the sexiest job of the 21st century. 한국 정부: Big Data 기반구축 : 2019년 예산 1조원. 데이터 규제혁신 통해 데이터의 개방과 공유 확대, 활용도 제고. Amazon : 1994년 시애틀 차고에서 온라인 서점을 연지 24년

8 사람중심 사조 : 문명사적 맥락 古代 : 天 (宗敎)(137억년) 近代 : 地 (自然科學)(46억년)
사람중심 사조 : 문명사적 맥락 古代 : 天 (宗敎)(137억년) 近代 : 地 (自然科學)(46억년) 現代 : 人 (人文學)(10만년) 三 不三 현대는 사람이 중심이 되어 天地人을 통합하는 시대 하늘/땅, 종교/과학, 정신/물질 등 이원적 <인식의 틀>을 통합하는 시대. 빈센트 반 고흐 <씨 뿌리는 사람>(1888) 밀레의 동명작품(1850) 농부의 역동적 자세: 중세 農奴의 모습이 아니라 하늘과 대지를 이어주는 영웅의 모습. 天 : 二人 會三歸一 : 이해를 위해 셋으로 나누었던 인식 방법을 다시 하나로 통합하는 시대 (번개, 가지, 핏줄, 신경도 셋으로 갈라짐 天地人 三極 한글 모음: · ㅡ ㅣ) <셋이 셋으로 합쳐진 모습>이 아니라, <셋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셋인 모습> 소용돌이치는 우주, 생명의 세포분열 . . . 개별성과 다양성을 수용하는 통일이 아닌 통합. 4차 산업: 이러한 시대정신이 산업적으로 구현된 것.

9 인문학 Humanitas : 종교와 구분되는 人間的 학문 Trinity of Humanitas : 史學·哲學·文學
-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哲學]이 인문학의 중심 - 르네상스 이후 [史學]과 [文學]이 추가 Trinity of Humanitas : 史學·哲學·文學 19세기에는 自然科學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 2차 대전 후 人文-社會-自然 科學으로 鼎立 Humanitas : L. 인간다움. 史學.哲學.文學: 過去-現在-未來 → “너 자신을 알라.” 20세기를 풍미한 <科學主義>(scientism: 과학적 인식을 유일한 인식방법으로 삼는 입장)의 영향으로 한때 <인문과학> <사회과학>이란 용어가 쓰였으나, 科學의 <科>자에는 <나누고 분석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통합과 융합>을 지향하는 인문학에 <과학>이란 용어는 자기모순적임.

10 인문학과 민주주의 古代 민주주의 : 그리스·로마 近代 민주주의 : 英 (1688), 美 (1776), 佛 (1789)
古代 민주주의 : 그리스·로마 - Humanitas : 주인이 되는 학문 - 비극의 등장 : 인간중심적 인식 近代 민주주의 : 英 (1688), 美 (1776), 佛 (1789) - Liberal Arts : 중세 자유시민 소양교육 (문법/수사학/논리학) - 셰익스피어 비극 : 자유인의 고뇌 → 小說의 등장 (1740) 現代 민주주의 : 대중 민주주의 → 개인 민주주의 - 추상적 대중 → 구체적 개인 - 인문학 → 모순극복의 지혜 고대비극은 비록 운명비극이지만, “사람 중심의 세계관”이 비극의 전제. “To be or not to be?”는 <노예의 고뇌>가 아닌 <자유인의 고뇌> 정치적 민주혁명(1688) 한 세기 앞서 사람 중심의 세계관이 이미 유행. 植字工 Samuel Richardson <Pamela> : 하녀 Pamela와 귀족 도령의 결혼 민주주의 : 기독교 → 징기스칸 (인쇄술-나침반-화총) → 금속활자(1440), 신대륙 진출(1492)) → 르네상스(15-6c) → 민주혁명(17-8c) <나와 우리>을 양립시키는 지혜 똑똑한 바보(egoistic altruist) . . . 배는 부르나 “마음이 출출한” 현대인의 비극 고대민주주의 극복대상은 하늘, 근대에는 왕과 귀족, 지금은 우리 자신이 바로 극복의 대상 체제의 개혁이 아니라 의식의 진화로 모순을 극복해야 함.

11 인문학과 4차 산업 사람의 시대 : Human Renaissance 인문적 素養 → 4차 산업의 핵심역량
- 노동 변화 : 육체 → 기계, 머리 → IT·ICT·AI - 인간 기능 : 創意力(geek)·洞察力(shrink) → 인문학 영역 인문학의 과제 : 會三歸一·返本還源 - 후마니타스 칼리지 : 중핵교과 (人-地-天) (인간의 가치탐색/ 우리가 사는 세계/ 빅뱅에서 문명까지) 人文蟲 / 서점가 대세: 인문학 인문학 두 얼굴 전과희망 에피소드 AI / 바둑, 변호사, 의사, 잠수함, 면접관 Big Data 축적될수록 AI 역량 확대. AI 두뇌(Deep Learning)는 Big Data에 최적화된 알고리즘. 클린턴정부 노동부장관, 로버트 라이시 : 미래인재 <기크>(괴짜)와 <슈링크>(꿰뚫어보는 사람) 세기 대학은 기크와 슈링크를 마녀사냥 Thomas Frey : “2030년까지 세계대학의 절반이 사라진다.” 대학 살아남으려면 university → diversity 會三歸一 / 返本還源 : 이해를 위해 셋으로 나눈 인식방법을 하나로 통합 - 자연과학/사회과학/인문학 <자>와 <사>의 성과를 바탕으로 歸一 - 역사/철학/문학 <인간이해>라는 원래의 기능으로 환원 - 部分을 이해하는 知識 → 全體를 통찰하는 智慧 (장님 코끼리 ) Humanitas College : 경희대 교양학부, - 중핵교과: 문명전개의 지구적 문맥 추구 - 특별전형: 네오르네상스(의미심장) 전형

12 인문학과 지식산업 Joanne Rowling : Harry Potter
- Exeter 대학 佛文學, 대학원 古典學 전공 - Harry Potter 77개 언어 번역, 4.5억 권 판매 - 판타지 세계를 창조한 상상력 → 인문학의 힘 Oprah Winfrey : Oprah Winfrey Show ( ) -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방송인 - 세계 500대 부자(3.5조원), 대통령 후보 거론 - Oprahism : 독서 → 통찰력 → 인문학의 힘 Apple은 4차 (platform) / MS는 3차 산업 (ware) (지식O, 플랫폼X) 인문학 : Steve Jobs(哲學 중퇴), Zuckerburg(心理學 중퇴), 마윈(영문학과) Joanne Rowling ( ) : - 포르투갈에서 영어교사(1991), 27세에 결혼, 28세 이혼 (딸 하나) - 정부보조금으로 생활, 대학원 진학 (고전학), 小說 집필 - 32세 Harry Potter 1 “마법사의 돌”(1997) . . . - Series 7권, “마법사의 돌”(1997) - “죽음의 성물”(2007) 모두 영화화 - 영화수입 8조원, 로열티 10억원/日 Oprah Winfrey : - 黑人 私生兒로 출생/ 10세 전 性暴行 / 15세 未婚母로 死産/ 마약으로 구속 → 세계 500대 부자(재산 3.5조원), 미국 대통령 후보 거론 - 1986년부터 2011년까지 25년간 Oprah Winfrey Show 진행. - Oprahism : “성공 여부는 자신에게 달려 있다.” // “인생이 나아지기를 원한다면, 잠자리에 들기 전 한 페이지의 책이라도 읽고 자라.”

13 불확실성 시대: 인문학적 통찰 Chicago Plan : 삼성경제연구소 설문조사 : CEO 500명 대상
- 인문교양도서 100권 읽기 프로그램 (1929부터) - 성과 : Nobel 상 최다 수상 (90명) - 信念 : 인문학적 소양 →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 - 不確實性의 시대 : 人文學的 創意와 洞察이 필요 (Robert Zimmer) 삼성경제연구소 설문조사 : CEO 500명 대상 - 98% : “인문학 소양이 기업 경영에 도움” - 80% : “인문학 소양이 풍부한 인재 우선 채용” Steve Jobs : “Apple은 인문학과 기술의 교차점에 서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 <인문학이라는 Navigation>이 필요 Nobel Prize : 시카고대 90 > MIT 76 > 하버드 47 - 물리.경제 각29명,화학16명,의학12명,평화1명(Obama),문학3명(솔 벨로) - 하버드, 예일, 캠브리지, 옥스포드 중핵교과: 인문학+기초과학 - 명문대: 인문학기반 학부대학 + 전공 (타대학 대학원) - Edward Witten (<초끈이론> 주창한 세계 최고 이론물리학자) : Brandeis 歷史學(20세) – Princeton 物理學 박사(25세) – 同大 교수 Steve Jobs ; <인문학 시대> 도래 예측 세. 췌장암 인문학자로 환생하기 위해? - Bill Gates는 기술자 (하버드 응용수학 중퇴) - Steve Jobs는 인문학자 (Reed College 哲學 중퇴) Reed College: 명문사립 Liberal Arts College, 고전.인문학 필수) Bill Gates의 MS는 software, 즉 ware에 머물렀지만, Steve Jobs는 Human으로 눈을 돌렸다 Apple은 MS를 누르고 2018년 8월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넘어섰다.

14 개인 시대 : 개인의 위기 개인 시대 : Individual Renaissance 시대적 아이러니 : 연결과 단절
- 개인과 세상의 연결 → 개인의 부활 - 대중시대 → 개인시대 (정치·경제적 주체) 시대적 아이러니 : 연결과 단절 - 자기 안에 갇힌 개인 : Untact, 닌텐독스, 증발사 . . . - 고슴도치 딜레마 : 개인의 위기 WWW : 개인+연결 - web : 거미 or 거미밥 - 함께하는 혼자 : 따로 또 같이 - 똑똑한 바보 (oxymoron) : 入廛垂手 개인 시대 : 대중→개인 구체적 개인 → 빅데이터 생산자 (All the world connected with individuals → hub of connected society) 미디어까지 개인화 인 미디어 (You-Tube, PodCast): 매스컴→인디컴 1인 maker: idea + cloud funding + 시제품(3D프린터) + 엑셀러레이터(창업지원) <Maker Fair, Seoul 2018> 500년 전의 르네상스가 <인간의 부활>이었다면, 지금은 <개인의 르네상스> : “개인의, 개인에 의한, 개인을 위한” 시대적 아이러니 : 연결과 통합의 시대에 단절된 개인 - smart phone 보급→ 우울증.공황장애 급증 (call phobia) (stupid phone) - 연결 통해 진화할 好機에 <자기 안에 갇힌 사람들> (smombie) - 히키코모리(100만), 고독사(유품정리 업체), 증발사(2만), 애견인(1000만) 자연인 7만, 1인 가구 30% (500만/1500만 가구) 고슴도치 딜레마(쇼펜하우어): 가까이하면 아프고 멀리하면 외로운 딜레마 네델란드 톤 텔레헨 <고슴도치의 소원>: 혼자 있고 싶은데 혼자이긴 싫은 현대인의 딜레마 혼밥 먹으며 SNS 사진 올리고 <좋아요> 기다리는 아이러니 “함께하는 혼자” (박노해 사진에세이 ‘다른 길’) 危險과 機會의 共存

15 인문학 역할 : 자기 구원·인간 진화 인문학 : Human Salvation 인간 진화 : 물질의존 정체성→관계중심 정체성
인문학 역할 : 자기 구원·인간 진화 인문학 : Human Salvation - Liberal Arts : 노예 → 自由人 인간 진화 : 물질의존 정체성→관계중심 정체성 - 관계지향적 가치 : 사랑·慈悲·仁·玄同·入廛 - 天地人 관계통찰 → 進化 : 人間 → 地間 → 天間 (판타지 장르의 유행과 관련성) AI 시대에, ‘물질의 노예’에서 ‘기계의 노예’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Human Intelligence의 진화가 필요 科學主義 (物質化) 탈피 : 인문학의 반본환원 : 小學 (지식) → 大學 (진리) 인간의 지식은 진리에 비하면 극히 작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뉴턴) 지식은 외부에 있지만, 진리는 내 안에 있다 내 안의 진리를 찾아가는 네비게이션이 인문학. (방향전환 : 外學 → 內學) 關係洞察 통해 우주적 존재로 인식전환 과학적 지식 → 인문학적 지혜 - 나-너, 70%水-3%미네랄, 365일과 36.5도 雲在靑天水在甁 - 天地人 관계인식 → 뫔의 회복 → mindfulness, sati - AL (Edison 1880) → 우리가 진화하지 않으면 AI가 아닌 AH 등장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 <개미>(1991), 1억년 : 300만년 인간의 오만 경고 - <인간>(2003): 우주인에 납치된 최후 인간의 이야기 - <고양이>(2018): 고양이 피타고라스 눈으로 본 인간의 미래 - 인간중심적 시각 해체 지구적, 우주적 문맥에서 인간 이해 - <노인과 바다> : 자연, 우주와의 교감 통해 자아를 모색하는 주제. 환타지 장르가 유행하는 이유 : <Harry Potter Series> (소설(4.5억권 판매)과 영화(8조원 수입)), <신과 함께> (주호민의 웹툰)( 만, 만, 3-4편 제작계획) 만남의 포옹일까, 작별의 포옹일까 ?

16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이 석 영


Download ppt "Humanities : Driving Force of the 4th Industr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이석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