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대치(substitution), 도치(metathesis), 삭감(subtraction) HSK ch. 58,59,60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대치(substitution), 도치(metathesis), 삭감(subtraction) HSK ch. 58,59,60"— Presentation transcript:

1 대치(substitution), 도치(metathesis), 삭감(subtraction) HSK ch. 58,59,60
발제: 유희정

2 대치(substitution) 대치란 자음이나 모음의 변이를 겪은 어간 형태소에 의해 의미가 전달되는 형태론적 현상이다
의사-음운론적 과정처럼 보이지만, 접사 첨가, 중첩, 합성 등과 유사한 형태론적 기능을 갖는다. 대치의 종류 모음 변이(umlaut, metaphony) 모음 교체(ablaut, apophony) 자음 변이와 자음 교체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전통에서, 모음과 자음의 변이와 교체는 교체 형태(replacive morph)로 빈번하게 기술되었다

3 모음 교체의 특징 및 속성 Umlaut: 이웃하는 모음에 의해서 공시적 또는 역사적으로 초래된 모음의 교체
Ablaut: 상이한 의미나 기능을 표시하는 어간 모음의 변이와 관련된 현상 모음 변이는 촉발시키는 형태론적 요소를 선행하는 모음에서, 어간 초 모음에서, 어간 말 모음에서, 또는 모든 관련된 어간 모음에서, 유일 어간 모음에서 나타날 수 있다 모음 변이(mutation)는 어기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독일어의 움라우트: kurz ‘short’ Kürze ‘shortness’ 만주어의 전설화: haha ‘man’ hehe ‘woman’ 한국어의 모음 변이: /siŋkɯl/ - /sɛŋkɯl/ /tuŋkɯl/-/toŋkɯl/

4 자음 교체의 특징 및 속성 자음 변이는 광범위한 분절음의 교체를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변별적인 형태론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어휘적 어간이 첫 자음이나 마지막 자음에서 서로 다른 형식들을 보이는 형태론적 현상이다. 자음 변이의 유형: 유성음화, 지속성, 비음성 그 외 구개음화, 순음화, 성문음화, 유기음화 등이 있음 자음 변이는 대개 주변적인(marginal) 분절음에서 나타나며 비어말 자음이나 어간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드물다 Fula 어의 명사 부류: waa ‘monkey(11부류)’, baa ‘monkey(25부류)’, mbaa ‘monkey(6부류)’ Chaha 어의 명령법: /nəkəs/ - /nəkəsʲ/ ‘bite!’ 자음 변이는 특정한 이웃하는 형태소의 존재 또는 특정한 통사적 배치(configuration)에 의해 촉발되기도 한다

5 대치(substitution)의 의미와 기능
대치는 광범위한 의미를 부호화한다 일부 변이는 굴절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영어의 모음변이는 복수(foot-feet) 및 과거시제, 분사 형식(sing-sang-sung)을 부호화 함 만주어 바스크 어, 자바 어 등에서는 남성형-여성형, 지소사, 형용사의 강조형을 만든다 독일어에서 움라우트는 다수의 굴절과 파생 환경에서 나타난다 대치는 음성 상징을 나타내기도 한다:ideophone, echo word 한국어: /piŋpiŋ/ /p’iŋp’iŋ/ /pʰiŋpʰiŋ/ 대치에서 일부 현상들은 형태론적이기보다는 통사적인 특징을 갖는다 아일랜드 어에서 연음화(lenition)는 후행하는 특정 전치사, 후행하는 관사 an, 특정 수사 뒤, 합성어의 두 번째 요소, 고유 명사의 속격형 등에서 나타난다.

6 대치(substitution)의 범위 및 분석
Gemination이나 length를 포함한 형태론적 과정은 변이의 한 종으로 취급할 수 있지만, 영어의 명사-동사 전환과 같이 강세 이동에까지 적용할지는 덜 분명하다 대치는 과정모델(IP) 또는 접사 첨가로서 분석된다 과정 모델에서 대치는 형태론적 환경에서 작동하는 의사음운론적 규칙으로 분석된다 대치를 접사 첨가로 다룰 경우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 replacive morph: men ‘stem’ /m...n/, replacive morph /ӕ→ɛ/ Portmanteau morph: men {man}+{PLURAL}

7 도치(Metathesis) 도치란 언어체계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나타나는 분절음의 전위이다.
분절음의 전위로 인해 두 가지 변별적인 형태론적 부류가 표시되는 것을 형태론적인 전위라고 한다. 형태론적 도치의 예 로투만 어: 비한정성: [tife]-[tyɔf] 사니치 어: 실제상(actual aspect): [t’sə]-[t’əs] Mutsun 어: 명사-동사: [to:her]-[tohre] 튀니지 아랍 어: 행위명사: [fhəm]-[fəhm]

8 도치의 이론적 문제점 전세계 언어에서의 주변적인 지위에도 불구하고 형태론적 도치의 이론적 중요성은 상당하다.
규칙으로 metathesis를 설명하려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노력을 통하여 형태론적 구조에 대한 상당히 명료한 도식적 표상을 나타낼 수 있었다. CV 연쇄가 도치된다는 것에서 힌트를 얻어 셈어 계통의 비연쇄적 형태론이나 운율 형태론을 응용하여 도치를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셈어의 교체되는 모음과 달리 도치는 구조적인 요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9 삭감(subtraction) Subtraction은 단어의 형상(shape)을 짧게 만드는 과정
Deletion, truncation, minus formation, disfixation 또는 subtractive와 negative와 같은 형용사와 process, rule, operation, affixation과 같은 명사를 같이 조합하여 달리 일컫기도 함 Minus feature, minus morpheme, subtraction morph, subtractive morpheme의 용어는 삭감을 초래하는 요소보다는 삭감된 물질에 적용되었음 Subtraction은 도출의 방향성에 대한 문제와 더 나은 음운론적 분석에 의해 도전을 받아 왔음 프랑스 어 형용사의 성 교체: faux /fo/ - fasse /fos/ 사모아 어의 피동 형성: tao(active) – taomia(passive)

10 Subtraction의 범주 설정 고립된 subtraction은 (약) 보충법으로 분류한다
아일랜드 어: mór ‘great’ - mó ‘greater’ 역형성은 통시적인 줄이기 과정에 속하므로 공시적인 형태론적 과정이라고 볼 수 없다 Editor에서 유추적으로 형성된 edit 그러나 빈번하게 발생하는 역형성은 subtraction 규칙으로 발달할 수 있음. 절단(truncation)이나 중음 탈락(haplology)은 subtraction과 구분되어야 한다 Subtraction은 문법적인 과정으로 clipping, 혼성, 약어와 같은 문법 외적인 축소 과정은 배제되어야 한다

11 Subtraction의 범주 설정 Subtraction은 보통 음운론적 재료에 적용되는 것으로 의미에 적용될 수 없다
러시아 어: serdit' ‘make angry’ → serdit'sja ‘be angry’ 삭감은 접사의 존재가 접사의 부재와 대조를 이루는 예와 구분되어야 하며, 파생적 관계는 어근이나 어간의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러시아 어: kniga ‘book’ – knig ’속격 복수형’ -a는 굴절접사이지 어근의 일부가 아님

12 Subtraction의 개념 Subtraction은 외현적인 형태배열적 기호가 감소되는 문법적인 형태론적 과정으로, 어기의 오른쪽 끝에 있는 한 음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한 음소 삭제 앨라배마 어 /salat-li/ ‘slide once’ → /salaa-li/ ‘slide repeatedly’ 덴마크 어 명령법: bade [bæ:ðə] ‘to bathe’ → bad! [bæʔð] ‘bathe!’ 하나 이상 음소의 삭제: 운, 음절 상실 파파고 어 /huɖuni/ (IMPF) ‘descend’ → /huɖu/ (PRF) 앨라배마 어 /batat-li/ ‘hit once’ → /bat-li/ ‘hit repeatedly’ 음소보다 작은 단위의 삭제: 단음화, 모라 상실 독일의 East Franconian 방언: beerig(sg)-berig(pl) 원형적으로 삭감된 음소는 형태론적으로 정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접미사가 삭감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비 원형적인 예.

13 삭감(subtraction)의 특징 삭감을 겪은 것은 최소의 것이며(단일 음소나 운이나 음절), 항상 어기말의 것이며, 보통 형태론적으로 정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삭감 규칙은 비생산적이며(ex.독일어 방언에서의 복수형) 통시적인 과정에 의해(ex. 폴란드 어의 증대사 형성) 창출되었다. 삭감은 형태론적 불투명성을 많이 지니는 언어에서 나타나며, 제한된 범주에 한해서 나타난다. 굴절의 예: 명사의 복수형이나 동사의 복수형, 동사의 상 변별, 호격어나 명령법 파생의 예: 동사 파생 행위 명사, 증대사, 라틴어의 직업명과 관련된 행위주 명사, 지명에서 형성된 형용사나 거주자 명칭 삭감은 IA 모델이나 형태론적 작용이 형태나 형태소의 연쇄로 구성된다는 가정에 대한 반대와 IP 모델에 대한 지지를 위한 주된 증거로서 언급되어 왔다.

14 Subtraction의 특징 Subtraction을 겪은 것은 최소의 것이며(단일 음소나 운이나 음절), 항상 어기말의 것이며, 보통 형태론적으로 정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삭감 규칙은 비생산적이며 통시적인 과정에 의해 창출되었다. 삭감은 형태론적 불투명성을 많이 지니는 언어에서 나타나며, 제한된 범주에 한해서 나타난다. 삭감은 IA 모델이나 형태론적 작용이 형태나 형태소의 연쇄로 구성된다는 가정에 대한 반대와 IP 모델에 대한 지지를 위한 주된 증거로서 언급되어 왔다.


Download ppt "대치(substitution), 도치(metathesis), 삭감(subtraction) HSK ch. 58,59,60"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