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2장 원예식물의 분류 오 명 민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2장 원예식물의 분류 오 명 민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2장 원예식물의 분류 오 명 민 교수

2 식물의 분류 식물의 분류 여러 가지 식물을 식별하고 명명하며 유연관계를 근거로 가깝고 먼 관계를 따져 분류체계를 확립하는 일
분류의 의의 1. 원예식물은 종류가 다양함: 식용식물뿐만 아니라 관상용 식물도 다룸, 현재 재배되는 식물도 많지만 야생식물도 원예화되고 있음(예: 이끼류, 양치식물의 고사리) 2. 분류집단의 속성을 알 수 있음: 서로 특징이 비슷함(예: 호온성/호냉성)

3 식물의 분류 3. 정보를 종간에 교차 적용가능: 한 작물에서 얻은 연구 성과를 같은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작물에도 적용 가능함 (예: 가지과 연구팀, 배추과 연구팀으로 조직을 구성) 4. 재배와 이용이 실용적 도움을 줌: 생태적 분류는 작물의 생육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자연분류에 근거한 학명을 통해 속명이나 작물의 외국명, 식물학적 특성을 파악함

4 분류의 방법 자연분류 식물적인 유연관계, 특히 생식기관(꽃)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
유전자나 생화학적 특성 등이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함 인위분류 원예적인 이용 편의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 행정적, 생태적 특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기도 함

5 식물적 분류 학술적 분류방식 - 자연분류를 근간으로 함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 스웨덴 과학자, 꽃의 형태를 기준으로 식물을 분류하고 식물의 학명을 명명하는 체계를 제안 식물의 분류체계

6 식물계의 상위 3계급-문,강, 목 예: 피자식물문단자엽/쌍자엽식물강벼목,구과목, 은행나무목,소철목 등/아욱목, 진달래목, 장미목, 통화식물목 등

7 단자엽과 쌍자엽식물 자엽(떡잎): 종자의 배에서 처음 생기는 잎
식물의 따라 주로 1개(단자엽), 2개(쌍자엽)의 자엽이 발달함 단자엽식물 옥수수, 양파, 바나나, 대나무, 야자나무, 난초, 백합, 용설란 등 유관속은 흩어져 분포, 엽맥은 평행상이며 뿌리는 섬유근계, 꽃잎은 3의 배수, 단구형 화분 쌍자엽식물 - 유관속은 환상 배열, 엽맥은 망상이며, 뿌리는 주근계, 꽃잎은 4 또는 5의 배수, 3구형 화분

8

9 식물계의 하위 3계급-과,속, 종 실용적으로 큰 의미를 갖음 국제적으로 학명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종의 개념과 학명
종(Species): 최하위의 분류군, 동일한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 같은 종은 상호간의 교잡이 가능하고 다른 종과는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음 종의 명칭 - 보통명, 학명(scientific name), 종소명(specific name) *보통명: 지방명, 국명, 외국명, 향명 *종소명: 학명에서 속명 다음에 쓰는 명칭

10 학명 국제식물분류학회에서 규정한 식물명명규약에 따라 명명 주요 규정 - 린네가 제안한 이명법에 따라 속명과 종소명으로 구성함
- 라틴어를 사용하거나 라틴어화해야 함 - 속명은 명사이며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소명은 형용사이고 소문자로 시작함 - 종소명은 속명의 성과 일치시킴(남성-us, 여성-a, 중성-vum) - 이탤릭체로 쓰거나 밑줄을 그어 구별함 - 반복해서 사용할 때는 두 번째부터는 속명의 첫머리 대문자만을 사용할 수 있음 - 잡종명은 종소명 사이 또는 속명 사이에 X를 사용함 - 끝에는 명명자를 정체로 넣되 대문자로 시작

11 학명의 명명 명명자의 약칭 - Linne는 L. 또는 Linn.으로 표기 원명자가 있을 경우 괄호 안에 표시: (L.)
명명자가 2인일 경우 et 또는 &를 넣어 표시: A et Z 삼명법 아종(ssp.), 변종(var.), 재배품종(cv.)를 표시할 때 예) 색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spp.와 sp. spp. : species의 복수로 속 내의 전체 종을 의미 sp. : 속 내의 1종만 의미 예) Brassica spp. : 배추속에 속하는 모든 종을 의미

12

13 원예적 분류-채소 채소: 원칙적으로 신선한 상태로 이용되며 주로 간식 또는 부식으로 쓰이는 수목 이외의 초본성 재배식물
47과 225종이 소개되고 있지만, 약 50여종만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음 원산지에 따른 분류: 서양/동양채소 식용부위에 따른 분류: 근채류, 엽채류, 과채류 행정편의에 따른 분류: 근채류, 엽채류, 과채류, 조미채소, 양채류

14

15 원예적 분류-과수 과수: 생식하거나 가공하여 먹을 수 있는 과실을 생산하는 나무
37과 235종이 소개되고 있으며 약 40여종이 재배되고 있고, 주요 재배 종은 10여종에 불과함 과실의 특성에 따른 분류:인과류(과심), 핵과류(딱딱한 핵), 각과류(딱딱한 껍질), 장과류(액즙이 많고 과립이 덩어리짐), 준인과류 원산지와 기후 적응성, 수목 특성에 따른 분류: 온대, 아열대, 열대 과수

16

17 원예적 분류-화훼 화훼: 꽃과 녹색바탕을 의미, 즉 꽃과 함께 녹색의 잎을 보고 즐기는 관상식물
채소나 과수에 비해 종류가 많으며 분류방식도 다양함 용도에 따른 분류: 절화용, 분식용, 화단용 기후형에 따른 분류: 지중해, 열대성, 사막성 기후형 행정편의에 따른 분류: 절화류, 분화류, 초화류, 관상수, 화목류, 종묘류, 구근류 실용적 분류: 일년초화, 숙근초화, 구근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난초류, 화목류, 관상수

18


Download ppt "제 2장 원예식물의 분류 오 명 민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