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A phenomenological Theory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A phenomenological Theory"— Presentation transcript:

1 A phenomenological Theory
Carl Rogers: A phenomenological Theory

2 1. 개관 <Rogers의 성격이론 현상학적 이라는 이유> Rogers는 현상학적 심리학의 대변자 중 한 사람.
◦ 현상학: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 및 사적인 개념(private concept)을 연구하는 것. <Rogers의 성격이론 현상학적 이라는 이유>  성격과 행동을 이해하려면 체험을 파악. 기술해야 함.  *체험: 어느 한 순간에 잠재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유기체 안에서 진행 되는 모든 것       * 체험의 주체는 유기체(organism)= 생물체= 몸.

3 유기체와 자기(self)가 Rogers이론의 근본 개념.
* 유기체: 현상적 장 과 자기 둘 다 포함. * 체험: 몸 안의 일들, 외부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지각. · 의식하거나 못하는 체험 전체가 현상학적 장.  순간순간 체험을 실현 경향을 준거로 좋고 나쁨 평가⇒ 유기체적 평가 과정 (organismic valuing process)임.

4  * 자기: 유아기- 유기체 차원에서 생존.  아기는 자신의 체험이
곧 현실- 시간이 지나서 엄마와 내가 분리= 즉 현상학적 장의 일부가 “나”와 연결.         자기체험이 조직화→ 자기형성.    자기= 지각된, 의식에 나타나는 나. 즉 현상적 자기. 인간의 행동은 그 개인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달려있음 → 이러한 면에서 Rogers의 성격학은 self 중시.

5 < 로저스 >

6 2. 생애 · 1902년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 파크(Oak Park)에서 6남매 중 넷째로 출생 · 엄격하고, 애정적인 기독교
6남매 중 넷째로 출생 · 엄격하고, 애정적인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 · 그의 가족들은 독립적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서로 의존적, 정직한 감정은 표출하지 않는 가족. 종교적․ 윤리적 규율이 매우 엄격, 비타협적 분위기.  교회활동을 적극적 → 리더.

7 · 1919년 위스콘신 대학에 입학 · 대학 3년 북경 세계 기독 학생연합 참석 ⇒ 중요한 경험. · 1924년 위스콘신 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모의 강력반대에도 불구 하고 어린시절부터 알아온 대학동창생 헬렌(Helen)과 결혼 · 그해 목사로서의 진로를 위해 유니온 신학교에 입학 · 신학을 포기하고 콜롬비아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공부하면서 임상심리학자로서의 경험과 자신감을 얻음

8 · 로저스의 그 다음 직장은 로체스터(Rochester)의
어린이 지도 임상실험 · 그는 정신 분석학이 적절하지 않는 점이 자주 드러난다고 생각하여 정신분석학에서 벗어나고자 하였음 · 1940년 오하이오 주립대학 심리학 교수 · 1945년부터 1957년까지 시카고 대학에서 가르치면서 상담센터를 운영 · 1963년에는 캘리포니아의 라 졸라(La Jolla) 에서 인간 연구센터를  설립

9 · 그의 인생 마지막 15년 동안 정책입안자, 지도자, 갈등집단을 훈련함으로써 정치에 인간중심적 접근을 적용 · 1987년 2 월 낙상하여 허리에 골절상을 입은 후 성공적인 수술이었으나 그날 밤 생을 마감

10 3. 주요개념 1) 긍정적 지향의 경향 ① 반사회적인 행동을 나타내기도 하며, 파괴적이고 미성숙하며
퇴행적이고 위험한 방법으로 행동할 수 있다고 봄 ② 인간의 유기체란 분화, 자기책임감, 협동과 성숙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선천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봄. ③ 미래의 목적과 자기지시적인 목적의 방향으로 에너지를 지향시킬 수 있는 활동적인 존재로 봄.

11 3. 주요개념 2) 자아실현의 경향 ① 인간은 선천적으로 자신을 유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 : 자아실현 은 더욱 능력 있는 사람이 되는 과정 ② 유기적평가과정 : 각자 잠재력을 실현하는 체험과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하는 체험 간의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타고난 신체적 지혜 ③ 자아실현을 경험하게 해 주는 것에는 접근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회피한다.

12 * 자아개념의 발달 ① 주요 단계의 구체적 시기는 언급 안함. ② 유아기나 아동초기에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자아상이 발달함. ③ 인생초기에는 자아는 존재 안함. ④ 자아구조는 결과적으로 환경

13 * 유기체적 평가과정 ① 선천적 ② 자아실현을 경험에 주는 것은 접근 그렇지 않는 것은 회피.
③ 유아의 욕구 충족의 적절한 과정을 유지시켜 주는 모니터링 시스템

14 3. 주요개념 3) 주관적 경험과 행동 ① 경험과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의 중요한 주제임.
② 과거 경험에 대한 현재의 해석으로 인간의 행동이나 성격은 현재-미래의 틀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입장임.

15 3. 주요개념 4) 긍정적 관심에 대한 욕구 ① 모든 인간은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따뜻한 존경, 사랑 그리고
수용을 얻고 싶은 기본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음. ② 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이 지속되면 그것이 아동에게 내면화 되어 규범과 기준이 되며, 자신의 행위를 제한시키고 현실을 왜곡하기도 함. ③ 자기경험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아를 이룩하고 자신이 자기 행동의 통제자로서 통일된 유기체적 평가과정을 회복해야함.

16 3. 주요개념 5)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① 건강한 성격발달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
② 아이가 부모로부터 한 인간으로서 존중해 주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받을 때 그 아이는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판단하며, 자신의 욕구와 자아개념에 따라 행동하게 되므로 최대한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봄 .

17 3. 주요개념 6)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 ① 그는 자신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능력과 자질을 발휘하여
자신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는 것이라고 봄. ②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이 공통적 중요한 성격 특질 1. 경험에 대하여 개방적이다. 2. 실존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다. 3. 유기체적인 신뢰가 있다. 4. 경험적 자유를 지니고 있다. 5. 사람은 창조성을 지니고 있다.

18 <위협과 방어> ① 인간이 그의 경험과 자아개념 사이의 부조화 인식할 때 생김 ② 부조화 상황에서 개인이 하는 반응
→ 긴장과 내적 혼란 반응 ③ 불안: 자아구조와 위협적인 경험 간의 갈등이 의식되어 체계화된 자아구조가 분해 될 위험이 있음을 알려주는 위협에 대한 정서적 반응. ④ 위협에 대한 유기체의 행동적 반응 → 방어의 과정 ⑤ 방어목적: 현재 자기구조를 유지

19 < 방어기제 > (1) 지각적 왜곡(distortion): (or 합리화).
< 방어기제 > (1) 지각적 왜곡(distortion): (or 합리화). (2) 부정(denial): 위협적 경험의 의식적 인식을 완벽하게 피함 → 자아구조 통합 유지

20 < 성격파탄과 정신병리 > ① 건강한 사람도 주기적으로 자아개념을 위협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음
< 성격파탄과 정신병리 > ① 건강한 사람도 주기적으로 자아개념을 위협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음     → 그 경험을 왜곡하거나 부정 → 불안은 현대인의 필수 → 대부분의사람은 불안을 대처하는 적합한 방어수단 지님. ② 자아가 위협적 경험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없을 때.

21 < Rogers의 인간본질에 대한 견해 (기본가정) >
① Rousseau의 성선설 반영 ② 인간은 합목적적(Purposive)이며 전진적(forword-moving)이고, 건설적, 현실적이고 신뢰할만 하다. ③ 인간은 미래의 목적과 자기 지시적 목적을 향하는 에너지를 가진 활동적인 존재다. ④ 자아실현경향(self-actualization tendency)을 가짐⇒ 욕구를 만족시키는 목표과정. 교과서 페이지 참조   

22 5. 로저스이론의 평가 클라이언트를 위한 독특한 관점을 개발시켜야 함을 인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비지시적 치료방법을 개발
인본주의 이론은 자기에 관한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현상학적 이론 또는 자아실현 이론이라고 불림. 현상학적 이론 : 개인이나 생활사건에 대한 자기 인식은 성격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준거틀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강조. [성격발달] 현상학적 자기에 초점을 둠 유아는 내적 평가중심을 지니고 있어 부모의 도움이 없이도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안다고 믿음. 유아의 유기체적 가치과정이나 신뢰가 융통성이 있고 개방됨

23 그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주고 받는다면 그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발전하고 건강한 자아구조가 발달하게 됨. 치료자가 공감, 무조건적 관심, 진실성을 보일 때 과거에 부정하고 억압해 왔던 감정들을 경험하여 자아개념을 재조직화하게 됨. 치료자는 허용적이며 비위협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비지시적인 태도를 나타냄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에 인식을 하고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신의 역량과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 [로저스 이론의 한계점] * 교과서 142페이지 참조


Download ppt "A phenomenological Theory"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