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인간중심치료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3016 이경진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03027최진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인간중심치료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3016 이경진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03027최진아."—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간중심치료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정보학과 이경진 보건복지정보학과 최진아

2 1 정의 2 인간관 4 상담목표 5 상담과정 6 상담기법3가지

3 1 정의

4 인간중심치료? Person-Centered Therapy
Person-centered therapy is an approach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at places much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treatment process on the client, with the therapist taking a nondirective role.

5 2 인간관

6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 경험 실현화경향성 선하게 태어남 잠재력 인간 = 가치덩어리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인간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성 좌절을 겪고 있다 하더라도 단지 가능성과 잠재력을 발견하지 못한 것 상담자는 (전문적 기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님) 내담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촉진 함 선하게 태어남 잠재력

7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 *“여기”와 “지금”의 중요성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 :
지금, 여기에서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가 행동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 현재의 자기 속 가치/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 원래부터 가지고 태어난 실현 경향성과 발전 가능성을 중시 심리적 문제의 발생 과정 : 가치의 조건 욕구≠ 현실 자기≠ 경험 1. 과거는 중요하지 않음 3. 현실과 실현 경향성의 불일치가 심리적 문제를 만듦 * 긍정적 존중에의 욕구와 현실과의 괴리 – 긍정적 존재로 여기려는 욕구가 주변의 부정적 평가로부터 억압받음 2. 가치의 조건-자기 개념 형성과정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강압에 의해 형성됨 3.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외적으로 부여된 가치 조건과 자기 경험간의 불일치를 통하여 자신의 의미를 부정 예) 자신의 경험(화가의 꿈)과 외부적 자기 개념(의사가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간 불일치를 통해 심리적 문제가 생김

8 4 상담목표

9 인간중심치료의 상담목표 step1 step2 step3 step4 step5 내담자가 자기를 실현하도록 도움
내담자 중심으로 성장 과정을 촉진 step3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을 왜곡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 step4 현실의 경험에 대한 올바른 인식 인간중심치료는 문제해결과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이 인간중심이라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상담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가정도 인간중심치료의 기본적인 철학적 신념에 근거한다. step5 자기 개념 확장, 융통성 있는 변화

10 인간중심치료의 상담목표 A. 어른이 아동에게 대하는 태도로 인해 그가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가‘만약~하면 그러면 ~한다.’는 가정 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칭찬이나 비난을 받게 되어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내담자는 변화한다’ ‘만약 상담자가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내담자에게 보여주면 예를 들면 당신이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만약 네가 공부를 잘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좋아한다.’혹은 ‘만약 네가 공부를 못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싫어한다’는 식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상담관계를 ‘만약~하면 그러면~한다’는 가정으로 표현하면

11 5 상담과정

12 인간중심치료의 상담과정 01. Pathological gambling 첫째, 두 사람(내담자와 상담자)이 심리적 접촉을 한다.
둘째, 내담자는 불일치 상태에 있고 상처받기 쉬우며 초조해 한다. 셋째,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일치성을 이며 통합적이다. 넷째, 상담자는 내담자를 위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경험한다. 감정의 반영-내담자의 대부분은 자신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감정들을 명확히 자각하지 못하므로 상담자가 내담자의 내면 감정을 거울처럼 드러내요 보여주는 감정반영을 하여야함 가치 조건의 해제 – 가치 조건과 경험간의 불일치 속에 왜곡되거나 부인하는 감정들이나 생각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공감해 주어야 한다. 즉 무조건적인 수용과 존중이 되어야한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 진솔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이러한 세가지 태도를 일괄적으로 유지해 나간다면 내담자의 긍정적인 성격변화는 반드시 일어난다고 본다. 다섯째,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적 참조 틀을 바탕으로 한 공감적 이해 를 경험하고 내담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전달하려고 시도한다. 여섯째, 내담자는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상담자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및 공감적 이해를 지각하고 경험한다.

13 6 상담기법 일치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14 01.일치성 1. 정의 2.일치성의 동의어 일치성은 상담관계에서 상담자가 순간순간 경험하는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를 있는 그대로 진솔하게 인정하고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2.일치성의 동의어 진솔성, 사실성, 개방성, 투명성, 현재성

15 01.일치성 3.일치성의 상담기법 느낌 사고 행동 내담자에게 드는 감정을 자각해야 한다.(부정적이라도)
이 감정이 내담자의 것인지 상담자의 것인지를 생각 (역전이의 가능성이 있음) 개방의 여부를 판단한다.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가? 아닌가? 기준으로 함) 일치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담자는 높은 수준의 자각, 자기수용, 자기신뢰를 갖는 게 필요하다. 일치성 태도를 가진 상담자는 경험하는 유기체로서 내담자와 인간 대 인간의 만남이 되도록 개방적으로 직면해야 한다.

16 02.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1. 정의 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상담기법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가치의 조건화를 버리고 조건 없이 내담자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함. 즉, 가치판단이 없는 수용 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상담기법 - 로저스는 무조건적 존경을 내담자에게 완전한 감정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함(결론을 강요X) 상담자는 내담자의 갈등의 부조화, 좋은점, 나쁜점을 모두 갖춘 그대로의 개인으로 수용 ex) 정서, 사고는 수용하되 행동은 수용X 로저스가 보는 긍정적 존중을 추구하는 인간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볼 때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이미 형성되어 인간성장을 방해하는 가치의 조건화 태도와 대립된다. 우리는 쉽게 타인의 행동을 우리의 판단에 따라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인간을 보는 근본적인 태도와 신념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때려죽이고싶다 (0) 때려 죽였다(X)

17 03.공감적 이해 1. 정의 2. 공감적 이해의 상담기법 공감적 이해는 상대방이 공감적 이해는 상대방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사적 세계를 정확하고 민감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 내담자가 자기 자신과 친밀해지고, 자신의 감정을 더 깊고 강하게 경험하며, 자신에게 존재하는 불일치를 인식하고 해결하도록 격려하기 위함이다 2. 공감적 이해의 상담기법 일치성이 내담자를 대하는 데 있어서 상담자가 유지해야 할 기본적인 자세나 태도와 관련된 것이라면, 공감적 이해는 그것들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과 관련됨. 즉, 상담자는 일치성과 수용을 유지하되, 거기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와 소통한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공감적 이해는 인간중심치료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정의)- 즉, 내담자의 현재의 내면적감정을 자신의 감정인 것 처럼 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 특히 지금과 여기에서의 경험을 감지하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상담기법) - 이 과정에서 상담자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들이 개입된다면 공감적 이해가 힘들어질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이것은 공감적 이해라기 보다는 상담자의 일반적인 의견절달에 불과할 것이다. 또한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 세계에 동참한다고 해서 상담자로서의 주체성이나 본연의 자세를 잊어버리는 것도 공감적 이해는 아니다. 이렇게 되면 내담자와 같은 감정은 느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내담자를 변화시킬 수는 없다. 내담자의 입장에서 서보는 것이 중요함 상담자로서는 자신의 처지와 입장은 그대로 유지하며, 내담자의 입장에서는 거기에서 보고 느낀 것의 의미를 내담자에게 전달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접촉과 이해를 넓혀나감으로써 진정한 자기를 있는 기대로 발견할 수 있음

18 Thank you


Download ppt "인간중심치료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3016 이경진 보건복지정보학과 200903027최진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