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950년대 상황과 정책들 201002601 이재영.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950년대 상황과 정책들 201002601 이재영."— Presentation transcript:

1 1950년대 상황과 정책들 이재영

2 INDEX 0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1) 탄생배경 2) 내용 02 티토의 비동맹 외교정책

3 Part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4 유고연방현실에 맞는 새로운 경제질서 제도 필요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1) 탄생배경 but 사회주의 지식인들의 반체제운동을 낳음 스탈린 체제의 문제점 연구, 막스이론 연구 진정한 노동자들의 민주주의 실현 노력 본래 목적과 괴리 이전의 농업집단화 & 기업집단화 탈피 주요 기업경영을 노동자손에 맡김 유고연방현실에 맞는 새로운 경제질서 제도 필요 1953년 헌법 수립

5 노동자 자주 관리제도 강화에 초점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2) 내용 기 존 변 경 선출방식 명 칭
기 존 변 경 선출방식 명 칭 연방위원회 보통선거 인민위원회 공화국,자치주에서 일정비율 선출 각 노동자위원회에서 뽑힌 대위원들에 의한 간접선거로 선출 대표위원회 중요정책 결정 공화국의회대표 최고위원회 연방의회에서 선출된 38인의 연방집행위원회

6 연대조직명 개칭 자주 관리화된 사회에 맞는 공산주의자들의 Why ? 역할 중시에 따른 것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2) 내용
기 존 변 경 유고연방공산당 (KPJ : Komunistička partija Jugoslavije)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 (SKJ : Savez Komunista Jugoslavie) 인민전선 (NF) 유고슬라비아 노동자 인민 사회주의 연합(SSRNJ : Socijalistička savey radnog naroda Jugoslavije) 자주 관리화된 사회에 맞는 공산주의자들의 역할 중시에 따른 것 Why ?

7 유고연방 노동자 인민사회주의 연합(SSRNJ) - 대중조직과 공무원후보선출, 정부선전활동 등의 역할 담당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2) 내용 활동내용 유고연방공산주의자 연맹(SKJ) - 중앙과 지방에서 지도력을 발휘할 것 유고연방 노동자 인민사회주의 연합(SSRNJ) - 대중조직과 공무원후보선출, 정부선전활동 등의 역할 담당 - 노동자 자주 관리제도에 기초하여 주요요직에 핵심 차지 - 레닌의 민주집중제에 기초 - 과거 스탈린식 국가집중제를 대체할 만한 이론으로 천명 -> 노동자들에 의한 직접적인 민주주의 실현이라고 선언

8 - 53년 헌법에 기초하여 운영활성화 & 비집중화에 중점
1. 노동자 자주관리제도 2) 내용 제 2차 5년계획 - 53년 헌법에 기초하여 운영활성화 & 비집중화에 중점 생산목표, 목표량 보고 연방정부 각 사업단위체 (거시계획) (미시계획)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경제지표 설정 Good – 평균 8.5%의 경제성장, 4년만에 완성 Bad – 심각한 무역 역조현상 발생 – 지역 선정 문제를 둘러싼 공화국과 지역들간의 갈등 증폭 제 3차 5년 계획 – 서구 자본주의 첨가

9 Part 2 티토의 비동맹 외교정책

10 2) 티토의 비동맹 외교정책 소련의 남한침공을 공개적으로 비난 소련의 약소국 침공에 대해 유엔이 막아낼 것을 주장 후르시쵸프의 ‘베오그라드 선언’ 발표 1950.9 1955.5 1949 1953 에드바르드 카르델리, 유엔총회에서 공개적으로 소련의 유고연방박해에 대한 문제를 제기 10월, 유엔 비상임이사국에서의 선출 NATO회원국인 그리스&터어키등과 발칸협정 체결 서구진영들과 무역, 문화교류 확대

11 2) 티토의 비동맹 외교정책 세계 공산당 대회, 티토의 ‘사회주의의 각자의 길’이 있음을 천명 1957 1955 1961.9 티토의 Burma 방문이후 제 3세계 국가들과 가까워짐 4월 반둥회의, 제1,2 세계 어느 블록에도 끌려다니지 않을 것을 천명 베오그라드에서 비동맹회의 개최

12 유고슬라비아 역사 <김철민, 권혁재> 티토의 외교정책, 비동맹주의(Non- alignment)
출 처 유고슬라비아 역사 <김철민, 권혁재> 티토의 외교정책, 비동맹주의(Non- alignment) 수립 배경에 관한 연구 <김철민>

13 PRESENTATION Q&A THANK YOU


Download ppt "1950년대 상황과 정책들 201002601 이재영."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