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문 법 희망을 노래합니다.
2
1.언어와 국어 언어의 기호적, 구조적 특성을 이해한다. 언어와 사고, 사회, 문화의 관계를 이해한다.
국어의 음운, 어휘,문법의 특질을 이해한다. 한글 문화를 이해하고 바르게 가꾸는 태도를 갖는다.
3
1. 언어의 본질 [1] 말과 언어 (1)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음성부호 (2) 사람만이 가진 것
(3) 언어는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로 구분 (4) 일반적으로 광의의 언어보다 협의의 언어를 지칭 (5) 생각을 전달하는 수단인 기호의 일종 [2] 언어의 기호적 특성 ( 언어 기호=내용(의미) +형식(말소리) ) (1) 분절성(分節性): 언어는 물리적으로 연속된 실체를 본질적으로 쪼개어 표현함. (2) 자의성(恣意性):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 약속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3) 역사성(창조성): 언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에 변화가 생기기도 함.(음운 소멸, 격조사 변화, 어휘 변화) 끊임없이 변화하여 생성, 변화, 사멸의 과정을 거침 (4) 사회성: 말소리와 의미 사이의 관계가 사회적으로 수용된 후에는 어느 한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음. (5) 추상성(抽象性): 많은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의 속성만을 추출하는 추상화 과정을 통하여 개념이 형성됨. →추상: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공통적인 요소를 뽑아 일반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
4
[3] 언어의 구조적 특성 언어의 구조 규칙 국어 문장은 일정한 규칙으로 짜여 있음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내고, 비문법적인 문장을 문법적인 문장으로 고치는 과정의 신비로움: ‘직관’ 체계 음운, 형태소, 단어들은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있음 단어의 체계를 잘 활용하면 다양한 표현을 많이 만들어 낼 수 있음.
5
[4]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음성 언어 문자 언어 별도의 학습 과정을 거쳐야 함. (개인별로 숙련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임)
별도의 학습 과정 없이 습득함 (대부분 비슷한 수준의 숙련도 보임) 상황, 몸짓, 억양 등의 주변 요소의 도움을 많이 받기에 정보의 내용이 적고 축약적이며 생략이 많음. 듣는 이의 반응을 참고하여 말할 수 있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음. 말하는 이는 자신만의 억양을 가지고 있음. 문자 언어 별도의 학습 과정을 거쳐야 함. (개인별로 숙련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임) 군말이 없고 구성이 치밀함. 주변 상황이나 맥락의 도움을 받을 수 없으므로 정보의 내용이 많고 설명적이며 생략이 적다. 사전 계획과 사후 수정이 가능함 영구적으로 많은 이에게 동일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음 길이의 제약이 없어 많은 내용을 적을 수 있음
6
2. 언어와 인간 [1] 언어와 사고 -언어가 없으면 사고가 없다는 주장 / 사고가 없으면 언어가 없다는 주장
→언어와 사고는 깊은 관계를 맺으며 서로 에게 영향을 주는 것. “나는 오직 그것에 이름을 붙일 수 있는 한에서만 세계를 통제할 수 있다.” -라이블리, ‘Moon Tiger’ 에서 “장미는 우리가 그것을 장미라 이름 붙이지 않아도 충분히 향기로울 텐데.” -셰익스피어,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언어가 한 인간의 세계관을 결정함(훔볼트)→한 민족의 언어는 곧 그 민족의 정신(언어는 사고, 정신, 얼을 담는 그릇) [2] 언어와 사회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사회 구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다름(지역 방언) -연령, 성별, 직업,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학력, 경제력 등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다름(사회 방언)
7
2. 언어와 인간 [3] 언어와 문화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를 반영함.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를 반영함. ▷ 다른 나라 말로 번역하기가 어려움. 언어 그 자체가 문화적 산물이기도 함 대부분의 문화적 산물들은 언어를 도구로 하여 축적되고 전승됨 ▷ 우리말을 아끼고 소중히 가꾸어야 함. 1. 표기; 1896년 ‘독립신문’ 띄어쓰기가 실현된 이래, 아직 띄어쓰기가 일반화되지 못함 이어적기(연철) 표기가 아직 보편적. 받침에는 근대의 7종성 체계가 유지됨 빗(빛) 2. 모음: 아래아가 1933년 공식적으로 사라지기까지 여전히 쓰임 이중모음이 사용됨(샹등, 죠흔) 3. 자음: 된소리 표기를 아직 ‘ㅅ’계 합용 병서로 함 4. 종결법: ‘하오체’를 사용. 오늘날 하오체는 구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5. 어휘: 빗-빛, 샹등-고급, 벗지도-벗겨지지도 물감-염료 로 바꾸어 사용해야 함.
8
2. 언어와 인간 종성 표기의 변천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훈민정음 예의에 있는 받침 규정.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훈민정음 예의에 있는 받침 규정. -훈민정음 초성17자(ㄱㅋㆁ, ㄷㅌㄴ, ㅂㅍㅁ, ㅅㅈㅊ, ㆆㅎㅇ, ㄹ, ㅿ)를 모두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규 정으로 어원을 밝혀 적는 방법. ㉡ 8초성가족용(8終聲 可足用) : 훈민정음 解例의 終聲解에 있는 규정.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받침으로 사용해도 족하다는 규정. ㉢ 초성종성통용8자(初聲終聲通用8字) : 최세진의 훈몽자회 범례의 규정.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의 8자는 초성은 물론 종성에도 사용할 수 있다. ㉣ 7종성법-17세기말부터 나타나 20세기초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이 제정되기 전까지 적용.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7자만 받침으로 사용되었다. ㉤ 한글 맞춤법 통일안 공포 이후-어원을 밝혀 적는 원칙에 의거, 종성부용초성에 의하여 모든 자음을 받침으로 표기-27종성법-발음상으로는 7대표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을 인정.
9
2. 언어와 인간 P.29 1.표기: 1896년 ‘독립신문’에 띄어쓰기가 실현된 이래, 아직 띄어쓰기가 일반화되지 않았다.
이어적기(연철) 표기가 아직 보편적이었다. 받침에는 근대의 7종성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빗>빛 종성 표기의 변천 ㉠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훈민정음 예의에 있는 받침 규정. -훈민정음 초성17자(ㄱㅋㆁ, ㄷㅌㄴ, ㅂㅍㅁ, ㅅㅈㅊ, ㆆㅎㅇ, ㄹ, ㅿ)를 모두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규 정으로 어원을 밝혀 적는 방법. ㉡ 8초성가족용(8終聲 可足用) : 훈민정음 解例의 終聲解에 있는 규정.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받침으로 사용해도 가히 족하다는 규정. ㉢ 초성종성통용8자(初聲終聲通用8字) : 최세진의 훈몽자회 범례의 규정.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의 8자는 초성은 물론 종성에도 사용할 수 있다. ㉣ 7종성법-17세기말부터 나타나 20세기초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이 제정되기 전까지 적용.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7자만 받침으로 사용되었다. ㉤ 한글 맞춤법 통일안 공포 이후-어원을 밝혀 적는 원칙에 의거, 종성부용초성에 의하여 모든 자음을 받침으 로 표기-27종성법-발음상으로는 7대표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을 인정.
10
3. 국어와 한글 [1] 국어의 특질 (1)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음운 대립이 존재 (2) 마찰음의 수가 적음
(3) 음절 끝 위치에 오는 파열음이 파열되지 않음 (4)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못 오며, ‘ㄹ’이나 ‘ㄴ’이 오는 데 제약이 있음. (5) 모음 조화 현상 있음 양성 모음( ㅏ, ㅗ, ㅐ, ㅘ )은 양성끼리, 음성 모음(ㅓ, ㅜ, ㅡ,ㅣ)은 음성끼리 잘 어울려 발음도 쉽고 청각 인상도 부드럽게 되는 현상 [2] 어휘의 특질 고유어, 한자어,외래어의 삼중 체계 한자어: 고유어의 빈 자리를 메워 주나, 이미 존재하는 고유어를 위축시키기도 함. 외래어: 해방 이후 서양 외래어가 큰 비중을 차지함 고유어: 감각어, 상징어, 의성어와 의태어 발달 친족 어휘의 발달
11
3. 국어와 한글 [3] 문법의 특질 (1) 첨가어(교착어): 조사와 어미의 발달
(2)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비교적 자유로운 어순) (3) 높임 표현의 발달 (4) 단어 형성법이 발달 → 두 용언을 합하여 새로운 용언을 만들기(오르내리다, 검푸르다 등) 용언의 어간과 명사를 합하여 새로운 명사 만들기(늦여름, 덮밥 등) (5) 명사에 성(性)의 구별이 없고, 수(數)의 개념이 없으며, 관계대명사가 없고, 형용사에 비교급과 최상급이 없음. 무생물의 의인화에 따른 성의 구분 : 중성명사인 무생물을 대명사로 받을 때는 it 으로 받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것을 의인화 하면 남성, 여성, 구분이 가능해진다. 1.강력하고 용감, 위대한 것: 남성:he the sun, war, winter, ocean(대양),death, mountain 2.평화스럽고 부드럽고 아름다운것:여성:she the moon,peace, spring,art(예술), ship 3.baby 나 child 등은 보통 it: 성을 알 때는 구분해준다. The baby has a doll in its(her, his) hand.
12
3. 국어와 한글 ※[국어의 일반적 특성] ⑴ 국어는 형태상 교착어(부착어, 첨가어)에 해당한다.
⑵ 국어는 계통상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 ⑶ 국어는 문자의 갈래상 '표음문자'의 '단음문자'에 해당한다. ⑷ 국어의 표준어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 말'로 규정되어 있다. ⑸ 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 '조선어 철자법(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마련된 후 조금씩 개정되다가, 1989년 3월 1일부터 현행의 새로운 한글 맞춤법으로 개정됨. ⑹ "한글"이라는 명칭은 주시경 선생님이 제안하신 것이다.
13
3. 국어와 한글 [2] 위대한 문화 유산, 한글 한글의 독창성 ① 세계적으로 드문 독창적인 문자
한글의 독창성 ① 세계적으로 드문 독창적인 문자 -독창적인 원리(발음 기관/천. 지. 인 상형)로 세종 대왕이 직접 만듦 ② 창제자와 창제 시기가 정확히 알려져 있음. (2) 한글의 과학성 ① 글자의 수는 적으나, 표음성(表音性)이 뛰어남 ② 제자 원리 - 기본자: 상형(발음 기관,천지인) - 가획/병서/연서/ 합용의 원리 - 종성부용초성 ③ 정보화 시대: 컴퓨터나 휴대 전화에 입,출력이 자유로움(정보의 처리 및 전달 속도가 빠름) 훈민정음 창제 원리 음운 창제 원리 사랑합니다. 한글 지식채널(and you?)
14
3. 국어와 한글 1.로마자 표기법의 문제점을 통한 국어의 음운 특질 이해하기
‘ㄱ,ㄷ,ㅂ’을 ‘g,d,b’와 ‘k,t,p’로 표기하는 경우, ‘ㅋ,ㅌ,ㅍ,’의 발음 표기와 구별하기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ㄱ,ㄷ,ㅂ’을 두 가지로 표기하는 이유는 모음 앞에 올 때와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이다.특히 국어의 ‘ㄱ,ㄷ,ㅂ’은 어말과 다른 자음 앞에서 터뜨림이 없고 닫음만이 있을 따름이다. 이런 소리를 적는 데에는 ‘g,d,b’보다는 ‘k,t,p’가 적합하다. 그리하여 모음 앞에 올 때의 ‘ㄱ,ㄷ,ㅂ’은 ‘g,d,b’그대로 적고, 자음 앞에 오거나 어말에 오는 ‘ㄱ,ㄷ,ㅂ’은 ‘k,t,p’로 적는 것이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