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오존층 (Ozone Layer) 강윤호 박지흠
2
목 차 1. 오존(O3)이란? 2. 인간에 의해 발명된 물질 3. 오존층 파괴 및 그 피해 4. 오존 홀(Ozone Hole)
5. 오존층 보호를 위한 노력 6. 몬트리올 의정서 7. 오존층 보호제도의 영향 8. 의정서 체결 경위 요약
3
오존(O3)이란? 지구의 대기권 구성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오존층은 성층권에 존재
오존은 이롭기도 하지만, 해롭기도 하다. 지구의 보호막, 하지만 너무 얇다! 8km 순수 오존만이 존재하는 두께는 겨우 3mm~!!
4
인간에 의해 발명된 물질 CFCs(염화불화탄소)의 탄생 -‘프레온 가스’ 미국과 서유럽에서 집중적으로 생산
메틸브로마이드, HCFCs(수소염화불화탄소), 할 론 하나의 오염원자가 최대 10만개의 오존을 파괴 시킨다.
5
오존층의 파괴 및 그 피해 자외선의 종류 장파장 자외선 (UV-A), 중파장 자외 선(UV-B), 단파장자외선(UV-C)
설맹, 암, 백내장 동식물에 영향 – 먹이사슬에 큰 영향 을 끼친다. 플라스틱, 고무 같은 합성물질에도.. 대류권의 화학활동과도 밀접한 관련 기후 변화 초래
6
오존 홀(Ozone Hole) 극지방에서 생기는 오존층 구멍 남극이 제일 심하다 ㅡ 특이한 남극의 기상현 상 때문
겨울의 구름이 봄이 되면 사라져…활성 염소, 브롬 방출 대기의 순환으로 인해 CFCs는 극지방까지 이 동 1998년 9월 남극 오존홀은 유럽의 2배 반 크 기 2000년 9월 남극 오존홀은 미국의 3배 크기 만약 오존홀이 우리 머리 위에 있다면?
7
안나와 지구 (일본 공익광고 시리즈 #4) x?media_id=V
8
하지만…CFCs생산량은 소비수준을 넘어섰다.
오존층 보호를 위한 노력 1.초기의 대응 유엔환경회의의 문제 제기(항공기의 배기가스) 워싱턴 회의, 공공캠페인 1980년대 유럽공동체 합의 ㅡ CFC-11, -12 감소 및 동결하기로... 하지만…CFCs생산량은 소비수준을 넘어섰다.
9
오존층 보호를 위한 노력 BUT, 오염물질의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고 본 협약은 강제력 및 구속력이 없었다. 2.비엔나 협약
1985년 3월, 오존층 보호를 위한 28개국의 노력 연구와 모니터링에 있어 당사국들간의 긴밀한 협 력 요구 CFCs생산과 배출에 관한 정보 공유 BUT, 오염물질의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고 본 협약은 강제력 및 구속력이 없었다.
10
오존층 보호를 위한 노력 3.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1987.09.16 (46개국 서 명)
3.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46개국 서 명) 1999년까지 5가지의 주요 CFCs 생산량과 소비량 을 1986년 수준의 50%로 감축할 것을 요구 3가지의 주요 ‘할론’의 생산량과 소비량은 1993년 부터 1986년 수준으로 동결
11
오존층 보호를 위한 노력 주요특징 의정서를 개정할 수 있도록 융통성 보장 90’ 런던 개정서 92’ 코펜하겐 개정서
97’ 몬트리올 개정서 99’ 베이징 개정서
12
몬트리올 의정서 (Montreal Protocol)
오존층 파괴물질(ODS)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규제조치 마련 무역규제조치 ㅡ 오존층 파괴물질 수입 및 수출 금지 제도와 절차ㅡ 당사국 총회에 실질적인 권한 부 여 개발 도상국과 다자기금
13
규제물질 선진국 개발도상국 (5조 국가들) 프레온(CFC) (부속서 A-1) 냉장고,에어컨,냉매, 전자제품,세척제 할론
1986년 생산소비량 기준 ’96년 이후 전폐 95~97년 평균생산량 또는 1인당 생산소비량 0.3kg 중 낮은 수치 기준 ’99년 7월 이후 동결 -2005년 이후 50% 감축 -2010년 이후 전폐 할론 (부속서A-2) 소화제 1986년 생산 기준 94년 이후 철폐 95~97년 평균생산 소비량 기준 02년 이후 동결 -2005년 이후 50%감축 기타 CFCs (부속서B-1) - 1989년 생산기준 -94년 이후 75% 감축 96년 이후 전폐 -2003년 이후 20% 감축 -2007년 이후 85% 감축 사염화탄소 (부속서B-2) CFC 원료 1989년 생산량 기준 98~2000년 평균생산소비량기준 -2005년 이후 85% 감축 메틸클로로프롬 (부속서B-3) 금속세정,드라이,클리닝 용제 1996년 이후 전폐 -03년 이후 동결 -05년 이후 50% 감축 -2010년 이후 70%감축 -2015년 이후 전폐 수소염화불화탄소 (부속서C-1) CFC 대체품 -96년 이후 동결 -2015년 이후 90% 감축 -2030년 이후 전폐 2015년 평균생산량기준 -2016년 이후 동결 -2040년 이후 전폐 HBFC (부속서C-2) 할론 대체품 (필수 용도는 제외) 메틸브로마이드 (부속서 E) 검역 및 선적전 처리 -99년 이후 25% 감축 -03년 이후 70% 감축 -05년 이후 전폐 -2002년 이후 동결 -2005년 이후 20% 감축
14
몬트리올 의정서 (Montreal Protocol)
오존층 파괴물질(ODS)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규제조치 마련 무역규제조치 ㅡ 오존층 파괴물질 수입 및 수출 금지 제도와 절차ㅡ 당사국 총회에 실질적인 권한 부 여 개발 도상국과 다자기금
15
오존층 보호제도의 영향 1985년 비엔나 협약에 비준 (176개국 )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비준 (175개국)
1985년 비엔나 협약에 비준 (176개국 )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비준 (175개국) 1990년 런던 개정서 (141개국) 1992년 코펜하겐 개정서 (109개국) 1997년 몬트리올 개정서 (40개국) 1999년 베이징 개정서 (1개국) CFCs생산량 95% 감소, 할론 생산량 99.8% 감소 대체 화학물질의 사용의 증가…오존층 파괴활동 은 낮아지는 추세…
16
의정서 체결 경위 요약 1928년 : 최초의 프레온 가스(CFCs) 개발.
1970년 : 고공 비행하는 항공기와 비료 사용 시 배출되는 질산이 오존층 파괴 할 수 있 다고 지적. 1974년 : CFCs가 오존을 파괴할 것이라고 두 개의 논문이 제시. 또한 질산이 오존 파괴 의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시. 1975년 : 유엔환경계획(UNEP) 집행위원회는 오존층 위협 요소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 발족. 1977년 : 32개국은 오존층에 관한 세계행동계획을 유엔환경계획이 주도하는 것에 합 의. 유엔 환경계획은 오존문제 조정위원회 구성. 미국정부 CFC에 대한 경고 표시 요 구 및 CFCs 규제 의도 표명. 1978년 : 선진국들이 CFCs의 사용 감축 권고. 1979년 : 선진국들 CFC 생산과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 시작. 1980년 : 7개 선진국과 유럽공동체는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 필요성 주장. 1981년 : 유엔환경계획의 제9차 집행위원회는 오존층보호를 위한 법적 기본 협약을 구체화하자고 제안. 이러한 목적을 법적, 기술적 전문 자로 구성된 특별 실무그룹 발족. 1982년 : 유엔환경계획의 실무그룹은 오존층보호를 위한 협약 구체화하기 시작. 1983년 : 유엔환경계획의 조정위원회 CFC 배출률 3~5%까지 낮출 것을 요구. 하지만 유럽공동체는 이러한 규제에 반대 입장 표명.
17
의정서 체결 경위 요약 1985년 :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 협약 28개국에 의해 채택.
1986년 : CFCs 규제하기 위해 비엔나 협약 의정서에 관한 국제 협상 계속 이루어짐. 1987년 : 여러 차례에 걸친 협상 끝에 46개국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1988년 : 유엔환경계획이 주관하는 국제평가 패널 발족. 1989년 : 몬트리올 의정서 발효. 1990년 : 런던총회에서 1차 개정서 채택. CFCs와 할론 완전 제거 합의. 당사국들 다자 기금 비롯해 개발도상국들에게 재정적, 기술적 지원 위한 메커니즘 설립 합의. 핀란드 는 비당사국들을 위한 기금 발족. 1991년 : 임시 다자기금이 3년간의 예산인 2억 4천 500만 달러로 운영. UNEP ‘오존행 동 프로그램’에 착수. 1992년 : 코펜하겐총회 (2차 개정서)에서 몬트리올 의정서 당사국들은 이미 규제되고 있는 물질에 대한 규제일정을 가속화시켜 선진국에 대해 새로운 물질(HCFCs, HBFCs, 메 틸브로마이드)규제해야 한다는 데 합의. 1993년 : 코펜하겐에서 합의한 규제물질 전폐한 이후 할론의 생산에 대한 어떠한 예외 도 허락하지 않는다고 합의. 1994년 : 선진국 할론 완전히 규제
18
의정서 체결 경위 요약 1995년 : 비엔나 총회에서 당사국들은 선진국에 대한 HCFCs와 메틸브로마이드 규제일정 강 화 동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모든 물질 규제 일정 채택. 1996년 : 선진국 CFCs, 사염화탄소, 메틸클로로포름의 전폐 이루어짐. 모든 국가에서 HBFCs 가 완전히 규제. 몬트리올 의정서 당사국들 다자기금 3차 기부 동의. CFCs의 불법거 래문제 논의. 1997년 : 당사국총회 메틸브로마이드 규제일정 앞당김. 모든 오존층 파괴물질에 대한 수 출 입 허가제도 도입하는 동시에 몬트리올 3차 개정서 채택. 1998년 : 당사국들 오존층 파괴물질 사용에 대한 예외 조항 줄일 방법 논의. 비 이행 문제 논 의하는데 시간 오래 걸림. 1999년 : 몬트리올 의정서 성공적이라는 증거 나타났음. 모든 개발도상국들은 CFCs 규 제 에 대한 목표 달성. 베이징에서 열린 당사국 총회에서 4차 다자 기금 기부 동 의. 베이징 4차 개정서 채택. 규제일정에 새로운 물질 브로모클로로메탄 추가. 2000년 : 비엔나 협약 15년 기념일. 2002년 : 선진국, 개발도상국에서 브로모클로로메탄 전폐. 2005년 : 개발도상국 메틸브로마이드의 전폐. 2010년 : 개발도상국 CFCs, 할론, 사염화탄소 전폐. 2015년 : 개발도상국 메틸클로로포름과 메틸브로마이드의 전폐. 2030년 : 선진국 HCFCs의 전폐. 2040년 : 개발도상국 HCFCs 전폐.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