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고대 그리스의 미적 요소 비극과 카타르시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고대 그리스의 미적 요소 비극과 카타르시스."— Presentation transcript:

1 고대 그리스의 미적 요소 비극과 카타르시스

2 비극 ‘비극적’ - 극심한 고통 - 동정과 비애의 심적 고통 - 본질을 인간의 ‘죽음’에서 찾음
‘비극적’ - 극심한 고통 - 동정과 비애의 심적 고통 - 본질을 인간의 ‘죽음’에서 찾음 but, 어떠한 조건에서 죽음이 비극적 성격을 갖게 되느냐에 대한 이견 1) 인간의 삶이 절대적 가치. 그러므로 죽음 그 자체로서 비극  ‘비극적’ = ‘두려움’ 2) 죽음 그 자체는 비극이 아님. 인간의 이상을 구현하고 그것을 위한 투쟁. 투쟁을 통한 죽음은 존경과 공감 형성  ‘비극적’ = ‘숭고함’

3 비극의 구조 - 주체적 의지로 운명을 극복하는 존재 - 당함의 비극이 아니라 행함의 비극  자유인의 비극
* 인간은 필연적 운명에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존재. 신이 인간을 어찌할 수 없는 구조 안에 놓음. 인간이 어떻게 고통을 견뎌내며 승리에 도달하는? 불가항력적인 힘 앞에 나약한 인간이지만 무작정 끌려가는 존재가 아님. 여기서 행함의 비극 (자유인의 비극)이 시작!

4 비극의 역사성 - 그리스 철학의 전개에 큰 영향 - 그리스 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도움
- 인간 삶을 목욕탕의 냉탕과 온탕으로 비유 - 비극적 영웅: 자신의 끔찍한 운명을 받아들임. 자유의지로서 행함을 통한 비극 - ex. 오이디푸스 &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 인간이 한계가 있는 존재임을 인정 - 인간의 죽음: 삶 안에 함께 있다는 사실을 조상이나 죽은 이를 기리는 ‘제의’을 통해 확인  제의: 죽은 이를 기억하는 것  기억: 인간의 소멸성 극복

5 - ‘역사성’을 가짐 ex. 1) 고대  신에 대적하는 영웅의 고통과 죽음. 되살아남(디오니소스, 예수 등…)  인간과 자연과의 투쟁: 위험과 비극적 몰락 초래(프로메테우스의 비극) 2) 기독교가 지배하던 시절  예수와 제자들의 시련과 죽음, 쟌다르크의 비극적 운명 3) 18세기 낭만주의 시대  환상적 인물들의 죽음 4) 19세기 사실주의 시대  세상의 부조리함으로 인한 소시민의 고통과 죽음 사회적 현실의 모순 5) 20세기 아방가르드 시대  현실 세계와 휴머니즘적 이상의 충돌 속에서의 처절한 패배  주인공의 죽음: 도덕적 승리, 정신적 불멸성, 장차 다가올 승리의 화신 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킴

6 비극의 종류 비관주의적 비극: 18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비극  불가피하고 극복 불가능한 악함은 어쩔 수 없는 것
 선함과 밝음 그리고 고귀함의 생존 불투명  당시 시민혁명에 대한 환멸  인간의 의지, 수고, 투쟁에 대한 가치와 의미 부정  휴머니즘적 이상과 인산 삶을 결코 조화할 수 없음  ‘비극적’인 것에 대한 두려움  주인공의 몰락 = 이상의 몰락  인간의 의지 마비

7 낙관주의적 비극: 고대 그리스, 르네상스, 19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비극
 인간의 사회의식의 깊숙한 토대에 그 뿌리를 둠  적대적 자연을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  사회의 부정적 측면을 척결할 수 있다는 신념  한층 나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확신  고대 그리스: 삶의 모순의 해결을 신화라는 환상적인 형식으로 표현 -> 주인공의 부활: 디오니소스 혹은 예수…  르네상스: 세익스피어의 작품들. 예, 로미오와 줄리엣, 햄릿 등등… -> 이상 구현하고자 투쟁하는 사람의 죽음과 몰락이 이상 자체의 몰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비극은 이성, 정의, 자유로운 가정, 인간의 신뢰의 궁극적 승리라는 강한 신념

8  비극: 이상의 궁극적 승리에 대한 믿음  주인공: 강인한 정신적 강인성  인간 정화, 투쟁의욕 고취, 용감하고 희생적인 투쟁

9 카타르시스 <비극은 ‘포보스’와 ‘엘레오스’를 자극하며 카타르시스를 야기한다.>
- 비극과 불가분의 관계: 아리스토텔레스 - 예술의 기능은? 그 작용은? 이라는 질문에서 중요한 요소 - 일상의 고통과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정서적 안정과 쾌락적 기쁨 그리고 만족감을 얻게 하는 요소 - 인간 생활 깊숙이, 폭넓게 작용 <비극은 ‘포보스’와 ‘엘레오스’를 자극하며 카타르시스를 야기한다.>

10 ‘포보스’  무서운 대상이나 사건을 만 났을 때 갑작스럽게 느끼는 격렬한 감정  강력한 육체적인 반응 동반  ex. 친지나 가족이 무참히 죽음을 당했을 때 보여지는 행동과 기본 감정  공포, 무시무시한 경악, 전율의 의미 ‘엘레오스’  “함께 고통을 감수하다.” 본능적이고 순수한 인간의 자연스러운 기본 감정  “이것은 종종 한탄하고, 외마디 비명을 지르고 비탄과 한숨을 짓는 것과 같은 표현과 결합  타인의 재앙과 고통을 보았을 때의 인간의 반사적 반응: ‘공감’

11  그리하여 인간의 가슴을 유약하게 만들고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비탄’과 ‘감동’의 감정 * ex. 신화에서 “비탄과 통곡이 끝나고 나면 사지가 풀리면서 냉혹한 감정도 눈 녹듯이 사라진다.” 호모 서사시의 영웅들은 “바다와 바위에서 태어난 것처럼 냉혹해서는 안되고 약자에 대해서 감동할 줄 아는 것이 그들에게는 일종의 인간적인 의무였다.”  엘레시오는 윤리나 도덕적 생각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자연스럽게 부과되는 것으로 알 수 없는 가혹한 운명에 대한 인간의 자연스러운 반응으로서의 ‘충동의 윤리’인 것임. ex. 법정의 예: 재판관이 엄격한 법에 따라 냉정하게 행동해야 하지만, 재판관의 마음에 호소하여 부드러운 판결을 내리도록 감동을 줄 수 있음

12 카타르시스의 개념 - 개념: 감정의 정화. 나아가 인간의 영혼 속에 남겨진 해로운 찌꺼기들을 ‘해독’시키는 요소.
 비극의 두 감정, ‘전율이나 경악인 포보스’와 ‘비탄이나 감동인 엘리오스’ 의 작용으로 일어난 감정의 정화  이러한 감정이 예술을 통해서 자극되어지고 고양되어지는 상태 : 강렬한 흥분상태, 황홀한 망아상태 : 머리카락이 곤두서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전신에 소름이 끼치고, 비탄의 소리와 눈물이 흘러나옴. 비극적인 감정인 비탄과 전율이 이렇듯 강렬한 물리적 반응을 동반한다는 것. : 지극이 제대로 진행되어 종말에 이르게 되는 경우 인간은 다시금 정상적인 정서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 : 비극  열광적 망아상태 (카타르시스적 쾌락)     효과: 일상생활로의 복귀

13 카타르시스의 기원 - 종교적 제식에서의 더러운 것을 깨끗이 한다는 의미의 정화
-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거나 배설한다는 치료적 기원

14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과 카타르시스 대중들에게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지 않을까?
“사람들이 실컷 울고 웃음으로써 몇 시간 동안 일상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극을 보거나 문학 작품을 보는 사람들의 감정과 맞닿아 있다.”  이러한 카타르시스는 현대를 사는 일반 대중들에게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지 않을까?


Download ppt "고대 그리스의 미적 요소 비극과 카타르시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