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2 사찰건축 화엄사 각황전 불교 건축물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불전(법당)
- ‘금당’으로 불림(금빛 불상을 모신 곳이기 때문) - 법당의 사방으로 부속 건물을 조화롭게 배치 - 불전의 장엄함을 강조하기 위해 2층, 3층으로 조성하기도 (화엄사 각황전 2층, 금산사 미륵전 3층) 화엄사 각황전

3 금산사 미륵전 3층 금산사 미륵전

4 지붕의 재료 너와지붕 초가지붕 굴피지붕 *초가지붕은 서민들의 살림집에서 흔하게 사용했던 지붕
- 새(草)라고 하는 추수 후의 볏대로 이엉을 엮었으며 - 1년에 한번 정도는 새로 이엉을 이으며 - 새(草)가 날리지 않도록 井자형으로 새끼줄로 잡아맨다 *너와지붕은 얇고 넓은 판재로 이은 지붕을 말한다. - 강원도 산간의 까치구멍집이 너와집인 경우가 많다. - 가로 20㎝, 세로 30㎝ 정도의 송판을 1치 정도의 두께로 판재 이은 지붕 - 너와를 만들 때는 도끼로 빠개서 만드는 것이 원칙 *너와지붕 및 굴피지붕의 구성은 같다 *굴피지붕은 굴피나무 껍질을 벗겨 너와 처럼 이은 것이다. - 굴피나무는 껍질이 크게 잘 벗겨져서 산간에서 가끔 굴피나무 껍질로 지붕 *’나무너와’와 ‘굴피집’은 강원도 ‘신리’와 ‘대이리’에 가면 볼 수 있다 굴피지붕

5 지붕의 형태 팔작(합각) 지붕 맞배(박공) 지붕 우진각 지붕
*전통 지붕은 맞배와 팔작, 우진각, 모임지붕(사모, 육모, 팔모) 등으로 나눈다. *맞배(박공)지붕 : 건물 앞뒤로 경사진 지붕이고 구조가 제일 간단하다. - 박공 : 지붕과 지붕이 만나 생기는 측면의 삼각면을 말한다. - 책을 엎어놓은 것과 같은 형태의 지붕 = (석종사 오화각, 수각 참조) *우진각 지붕은 처마가 사면으로 내려간 지붕이다. = 일반 살림집의 경우 안채는 우진각 집이 압도적으로 많다 *팔작지붕(합각) : 우진각 지붕 위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것과 같은 형태 - 작은 박공부분이 만들어지는 지붕 형태 - 위계질서 상으로는 가장 높다고 생각하여 크기와는 관계없이 - 중심건물은 팔작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 *지붕형태를 정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지역의 기후 조건’이다. - 적설량과 강우량에 따라 지붕의 물매(경사)와 처마 길이가 달라진다. - 집이 앉은 자리, 비바람의 방향과 풍속 등은 지붕의 경사면과 방향을 결정 - 이에 따라 맞배로 할지, 사방면 지붕경사를 가진 우진각으로 할 지가 결정 - 처마의 길이는 해가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맞배(박공) 지붕 우진각 지붕

6 맞배 지붕 우진각 지붕 맞배지붕 (석종사 오화각) 우진각지붕 (일반주택 지붕) 팔작지붕 (석종사 대부분 건물) 팔작 지붕

7 박공과 풍판 박공(牔栱) 풍판(風板) *박공은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합각부분에 ‘人’자 모양으로 걸린 판재이다
- 넓은 판재가 필요해 대들보감을 구하는 것만큼 신경써서 골라야 한다. - 맞배 쪽으로는 창호를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 박공을 이중으로 대거나 풍판을 대어 부재와 내부공간을 보호한다 *풍판은 맞배지붕에서 측면에 대는 비바람 막이 판 - 얇고 긴 판재를 세로로 붙여대는데 사이사이는 졸대로 연결 - 풍판은 주로 조선시대 등장 - 이전 건물은 측면부분의 지붕이 밖으로 많이 빠져 나와 비바람 막아줌 - 조선시대에는 지붕을 많이 빼지 못해 - 건물측면을 비바람으로부터 막아주는 방편으로 풍판이 생겨남 박공(牔栱) 풍판(風板)

8 합각벽 *팔작지붕의 합각벽은 지붕 폭에 따라 넓어져 그냥 내버려두기엔 밋밋하다.
- 염원을 표현한 그림이나 추상적인 문양 등으로 장식했다. - 다락이 놓인 경우에는 통풍을 위해 구멍을 뚫기도 했다

9 지붕의 형태2 모임지붕(사모, 육모, 팔모) 사모 지붕 육모지붕 팔모 지붕
*모임지붕 : 용마루가 없고 각 면의 지붕이 한 곳에 모인다. - 지붕을 나눈 수에 따라 사모, 육모, 팔모지붕 - 주로 정자에 많이 사용된다 사모 지붕 육모지붕 팔모 지붕

10 사모 사모지붕, 육모지붕 육모

11 내부 구조 한옥모형 - 내부구조

12

13 처마 홑처마 겹처마 (부연) *홑처마 : 서까래만 있고 부연이 없는 지붕 *겹처마 : 부연까지 갖추어진 지붕
- 부연 : 겹처마에서 처마 끝에 걸리는 방형 서까래 - 처마를 깊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장식적인 효과도 있다 *추녀 : 지붕의 형태가 팔작·우진각 또는 모임지붕일 경우 - 건물 모서리에 45°방향으로 걸리는 사각형 부재 *사래 : 추녀 끝에 설치하여 겹처마를 이루게 하는 굵은 부재(部材). 겹처마 (부연)

14 서까래 선자연(扇子椽) 평연(平椽) 마족연(馬足椽) * 선자연 : - 지붕 중간에서는 서까래가 나란히 걸리지만
- 추녀 양쪽에서는 마치 부채살과 같이 서까래를 건다. - 이를 부채살과 같다고 하여 선자서까래, 선자연(扇子椽)이라 * 평연 : - 일본에서는 선자연기법이 사라지면서 추녀 옆쪽 서까래도 - 평연과 똑같이 나란히 걸리는데 - 나란히서까래, 평연(平椽)이라 * 마족연(馬足椽) 또는 말굽서까래 - 뒷뿌리가 하나의 꼭지점에서 모이지 않고 추녀 옆에 엇비슷하게 붙음 - 선자연을 제대로 걸 수 없는 서민들의 살림집이나 - 추녀가 긴 우진각지붕에서 사용 선자연(扇子椽) 평연(平椽) 마족연(馬足椽)

15 활주(活柱) 활주와 활주초석 추녀 밑을 받친 보조기둥이다. - 우리나라 건물은 처마가 깊기 때문에
- 처마 모서리에 걸리는 추녀도 기둥 밖으로 매우 많이 빠져나간다. - 이 경우 추녀가 처지기 때문에 - 추녀 끝에서 보조기둥을 받쳐주는데 이를 활주(活柱)라고 한다. 활주는 대개 추녀 끝에서 기단 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 경사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활주 밑에는 초석을 따로 받친다. - 이를 ‘활주초석’이라고 한다 Cf) 석종사 공양간과 종무소 쪽에 있음! 활주와 활주초석

16 기둥의 형태 *원기둥과 각기둥은 기둥의 단면형태에 따른 분류이다. - 각기둥에는 사모기둥과 육모기둥, 팔모기둥이 있으나
- 원기둥과 함께 사모기둥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사모기둥보다는 원기둥이 격이 높다고 생각해서 - 주요 정전이나 큰 건물에는 원기둥이 사용되었고, - 사모기둥은 부속채나 작은 건물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조선시대에는 살림집에서 원기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금지

17 흘림기둥 배흘림기둥(부석사 무량수전) * 흘림기둥은 기둥 위아래의 지름을 달리하는 것
- 모양에 따라 다시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으로 나뉜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라는 책] * 배흘림기둥은 기둥하부에서 1/3지점이 가장 굵고 - 위아래로 갈수록 얇아지는 곡선적인 흘림을 갖는 기둥을 말한다. - 민흘림기둥은 기둥하부가 기둥상부보다 굵은 사선흘림을 갖는 기둥 * 대개 배흘림기둥은 원기둥이 많고 민흘림기둥은 사모기둥이 많다. - 흘림기둥은 주로 큰 건물이나 정전건물에서 사용했는데 - 이유는 기둥이 안정되어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 서양의 그리스, 로마 신전건물에서도 배흘림기둥을 사용(엔타시스 Entasis) - 한국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건축도에서 배흘림기둥이 묘사되어 있음 배흘림기둥(부석사 무량수전)

18 공포 부석사 무량수전 주심포 다포 익공 * 공포 : 지붕 처마의 무게를 기둥이나 벽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둥에 댄 부재
- 건물의 구조적 역할 뿐만 아니라 장식의 역할도 함 * 주심포 양식 : 공포가 기둥의 위에만 있는 형식 * 다포 양식 : 공포가 기둥 위 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여러 개 있음 - 주심포에 비해 다포는 구조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전달하는 효과 - 기둥끝 관통하는 창방 위로 공포를 얹을 평방이 설치됨 (평방의 유무로 주심포식 건물과 다포식 건물은 구분 되기도 함) * 익공형식 : 살미 부재가 새 날개처럼 만들어진 공포형식 [살미(山彌) : 첨차와 직교하여 보방향으로 걸리는 공포부재를 통칭하여 부르는 명칭] 주심포 다포 익공

19 주심포 주심포, 다포, 익공 (예시) 다포 익공


Download ppt "2016년 석종사 불교대학 『 불교문화』 1부 불교미술 (제2장 불교건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