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재활 7장 음식섭취기능
2
Ⅰ. 구조와 기능 1. 음식물을 먹고 삼키고 마시는 능력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달라짐.
Ⅰ. 구조와 기능 1. 음식물을 먹고 삼키고 마시는 능력 1) 그 사람의 적절한 체위와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달라짐. 2) 먹고 삼키는 중요한 구조는 구강, 인두, 후두, 식도를 포함하는데 음식물의 섭취 는 구강에서부터 시작됨.
3
Ⅰ. 구조와 기능 2. 먹고 삼키는 7단계 과정 2) 음식준비단계 3) 음식을 입에 넣는 사전운동단계
Ⅰ. 구조와 기능 2. 먹고 삼키는 7단계 과정 1) 음식을 선택하고 마련하는 단계 2) 음식준비단계 3) 음식을 입에 넣는 사전운동단계
4
Ⅰ. 구조와 기능 단계 5) 음식덩어리가 가운데로 모여 구강인두 뒤로 밀어 넣어지는 혀 단계
Ⅰ. 구조와 기능 4) 음식이 입 안에서 저작되는 구강준비 단계 5) 음식덩어리가 가운데로 모여 구강인두 뒤로 밀어 넣어지는 혀 단계 6) 음식덩어리가 연하반사에 의해 인두를 통과하는 인두 단계 7) 음식덩어리가 위로 가도록 연동운동이 일어나는 식도 단계
5
Ⅰ. 구조와 기능 관여. 눈은 음식물의 위치와 선택에 중요하며 음식물에 대한 시각적인 자극
Ⅰ. 구조와 기능 이중 첫 세 단계는 눈, 뇌, 손과 다리가 관여. 눈은 음식물의 위치와 선택에 중요하며 음식물에 대한 시각적인 자극 으로 식욕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손과 다리는 음식물을 마련하고 준비하는 일을 하며 먹고 마시게 한다.
6
Ⅰ. 구조와 기능 적절히 통합하게 됨을 의미한다. 소뇌 - 지식을 보유하고 감각 운동기능 조절
Ⅰ. 구조와 기능 뇌가 적절히 기능하면 모든 체계가 적절히 통합하게 됨을 의미한다. 소뇌 - 지식을 보유하고 감각 운동기능 조절 뇌간 – 반사를 능동적으로 조절하고 많은 감각 운동신경의 통로
7
1. 구조와 기능 심각한 생리적 장애와 관계없이 돌보는 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나머지 단계는 그렇지 않다.
1. 구조와 기능 먹고 마시는 과정의 첫 세 단계는 심각한 생리적 장애와 관계없이 돌보는 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나머지 단계는 그렇지 않다.
8
Ⅰ. 구조와 기능 또는 삼키는 활동이라 하는데 이 과정을 완벽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Ⅰ. 구조와 기능 먹는 과정의 마지막 단계를 삼키는 작용 또는 삼키는 활동이라 하는데 이 과정을 완벽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일단 음식이 구강 내로 들어가면 삼키는 작용이 시작된다. 삼킴 기능은 어려움이 거의 없는 복잡한 반사작용으로서 정상적으로 5~10초 내에 이루어진다.
9
Ⅱ. 구강인두기능 변화 1. 신경근육계 손상 1) 신경근육계 손상은 일반적으로 신체 여러 부분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구강
인두기능의 여러 단계에도 영향을 준다.
10
Ⅱ. 구강인두기능 변화 2) 구강준비단계의 장애가 있으면 입 안에 있는 음식물의 위치와 양에 대한
지각장애가 초래된다. 그 결과 저작과 혀의 조절이 잘못되어 결과적으로 음식물을 잘 씹지 못하거나 음식물이 구강 내 한쪽에 머물러 있을 수도 있다.
11
Ⅱ. 구강인두기능 변화 2. 구조적 손상 1) 토순과 구개파열은 어린이에게서 볼 수 있는 구조적 손상으로 외과적
교정이 필요하다. 외과적 교정이 완벽해질 때까지 빨고 삼키는 일이 코로 역류되기 때문에 힘들어진다.
12
Ⅱ. 구강인두기능 변화 2) 식도암의 초기증상으로 흔히 연하 곤란의 어려움이 나타난다.
3) 머리와 목 수술을 받은 환자도 흔히 삼킴 작용의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어려움 정도는 수술범위에 따라 다르다.
13
Ⅲ. 사정 1. 사정은 대상자의 먹는 과정을 검토하고 세부적인 결함을 밝히는 데 중요하다.
2. 사정 시 먹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 하는지에 관한 과거력과 병력, 음식과 수분섭취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 신체 사정이 필요하다.
14
Ⅲ. 사정 3. 문진 식품을 구입하고 준비하는 능력과 음식 의 적절성 그리고 음식섭취 시 어려움이
있는지, 특히 연하 시 통증이 있는지, 연하장애가 있는지, 음식을 먹을 때 딸꾹질을 하는지 등
15
Ⅲ. 사정 * 연하곤란의 원인 (1) 심인성 : 공포, 흥분 (2) 병리적 : 식도게실, 암종, 식도매복, 종양
(3) 신경인성(뇌간손상) : 뇌졸중, 외상, 종양, 신경학적 질환
16
Ⅲ. 사정 연하장애가 있으면 음식을 먹기 힘들고 먹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섭취량이 감소 되어 결과적으로 영양결핍이나 탈수가
될 수 있다.
17
Ⅲ. 사정 4. 시진 입술의 색깔, 대칭성, 구강의 악성종양 유무, 정맥상태, 인두의 색깔, 부종,
궤양, 의치를 한 경우 잘 맞는지 등
18
Ⅲ. 사정 5. 사정의 목표 (1) 수분량을 유지, 증진함. (2) 환자와 가족은 적절한 음식 섭취를 위한 정보를 가짐.
(3)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함.
19
Ⅳ. 재활중재 1. 재활중재의 목표 2) 적절한 영양을 유지 3) 연하기능을 극대화 4) 삶의 질을 극대화
Ⅳ. 재활중재 1. 재활중재의 목표 1) 질식의 위험을 감소 2) 적절한 영양을 유지 3) 연하기능을 극대화 4) 삶의 질을 극대화
20
Ⅳ. 재활중재 2. 연하과정 증진을 위한 재활단계 1) 간접적 재활 ① 신경근 촉진 : 압력, 얼음, 진동, 저항 ② 반사자극
21
Ⅳ. 재활중재 ① 자세 : 목 40도 앞으소 숙이기, 고관절 90도 굴곡 ② 음식의 굳기 :
Ⅳ. 재활중재 2) 직접적 재활 ① 자세 : 목 40도 앞으소 숙이기, 고관절 90도 굴곡 ② 음식의 굳기 : 정상식이, 기계로 갈아 부드러운 것, 된 음료, 맑은 음료
22
Ⅳ. 재활중재 사용하지 않는다. 빨대는 구강 근육 조직 의 복잡한 기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안면
Ⅳ. 재활중재 * 연하곤란 환자에게 빨대는 짧게 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빨대는 구강 근육 조직 의 복잡한 기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안면 마비가 있을 때 사용하기 어렵다.
23
Ⅳ. 재활중재 ③ 구강식사 : 연하반사 자극, 음식을 넣어주는 위치, 보조기구
24
Ⅳ. 재활중재 ① 음식을 삼컸는지 확인함. ② 환자에게 냅킨으로 입술을 닦도록 함. ③ 흡입징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례
Ⅳ. 재활중재 3) 음식 섭취 후 간호 ① 음식을 삼컸는지 확인함. ② 환자에게 냅킨으로 입술을 닦도록 함. ③ 흡입징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례 들리는 응급상황이 발생되면 흡인을 하도록 함. ④ 음식 섭취 후 30분 정도 80~90도로 앉아 있게 함.
25
Ⅳ. 재활중재 ① 수의적인 연하를 강화하기 위해 ‘입에 음식을 넣고 그대로 있으세요, 다시 삼키세요’와 같이 환자에게 말함.
Ⅳ. 재활중재 4) 연하과정 촉진을 위한 방법 ① 수의적인 연하를 강화하기 위해 ‘입에 음식을 넣고 그대로 있으세요, 다시 삼키세요’와 같이 환자에게 말함. ② 연하과정을 도와줌. ③ 필요하면 입술 조절, 혀 조절과 저작 능력을 도와주는 감각운동자극을 함.
26
Ⅳ. 재활중재 ① 한번에 1/3 또는 1/2 티스푼 정도의 음식을 줌. ② 음식을 주기 전에 입 안에 음식이
Ⅳ. 재활중재 5) 식사량과 식사속도조절 ① 한번에 1/3 또는 1/2 티스푼 정도의 음식을 줌. ② 음식을 주기 전에 입 안에 음식이 남아 있는지 확인함.
27
Ⅳ. 재활중재 ① 혀의 조절이 어려운 경우는 음식물을 혀의 뒤쪽에 놓아 줌. ② 음식을 먹여 줄 때 고형 음식과 액체
Ⅳ. 재활중재 6) 식사제공 및 보조 ① 혀의 조절이 어려운 경우는 음식물을 혀의 뒤쪽에 놓아 줌. ② 음식을 먹여 줄 때 고형 음식과 액체 음식을 한꺼번에 같이 섞어 주지 않음.
28
Ⅳ. 재활중재 ① 눈금이 있거나 작은 컵을 사용함. ② 팩으로 된 음료는 마시지 않음. ③ 빨대는 짧게 하거나 사용하지 않음.
Ⅳ. 재활중재 7) 식사기구 ① 눈금이 있거나 작은 컵을 사용함. ② 팩으로 된 음료는 마시지 않음. ③ 빨대는 짧게 하거나 사용하지 않음. ④ 음식을 먹여 줄 때 찬 스테인리스 스틸스푼을 사용함.
29
Ⅳ. 재활중재 ① 반고체형 음식물 : 삼키기 위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삼키기가 가장 쉬운 음식임. ② 질감이 있는 음식물 :
Ⅳ. 재활중재 8) 음식물 선택 및 준비 ① 반고체형 음식물 : 삼키기 위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삼키기가 가장 쉬운 음식임. ② 질감이 있는 음식물 : 씹는 것을 자극하며 저작은 연하 반응을 자극하는데 도움을 줌.
30
Ⅳ. 재활중재 ③ 물이나 주스 등 액체음식 : 질감이 없고 특히 물은 맛도 없기 때문에 삼키기 어려움.
Ⅳ. 재활중재 ③ 물이나 주스 등 액체음식 : 질감이 없고 특히 물은 맛도 없기 때문에 삼키기 어려움. ④ 체온보다 뜨겁거나 찬 음식은 감각자극을 주므로 좋음.
31
Ⅳ. 재활중재 ① 음식을 먹기 전에 의식이 있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함. ② 식사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준비함.
Ⅳ. 재활중재 9) 음식 섭취를 위한 준비 ① 음식을 먹기 전에 의식이 있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함. ② 식사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준비함. ③ 음식 먹기 좋은 자세를 취해 줌.
32
Ⅳ. 재활중재 * 음식 먹기 좋은 자세 ① 식사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준비한다. ② 음식 먹기 좋은 자세를 취해 준다.
Ⅳ. 재활중재 * 음식 먹기 좋은 자세 ① 식사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준비한다. ② 음식 먹기 좋은 자세를 취해 준다. ③ 침대 머리쪽을 90도 정도 올려 준다. ④ 턱이 아래로 가도록 목을 약간 구부린다.
33
Ⅳ. 재활중재 ⑤ 적절한 체위는 인두의 개방을 증진 시켜 흡입을 방지하고 목이 약간 굴곡되면 음식을 삼키기 쉽다.
Ⅳ. 재활중재 ⑤ 적절한 체위는 인두의 개방을 증진 시켜 흡입을 방지하고 목이 약간 굴곡되면 음식을 삼키기 쉽다. ⑥ 만일 90도로 앉는 자세가 어려우면 60도 정도를 유지해 준다.
34
Ⅳ. 재활중재 3. 재활 시 다른 재활요원과의 협조 다른 재활요원과 협조하여 치료 1) 물리치료사와의 협조
Ⅳ. 재활중재 3. 재활 시 다른 재활요원과의 협조 음식 섭취에 대한 복잡한 특성 때문에 다른 재활요원과 협조하여 치료 1) 물리치료사와의 협조 먹는 것과 관련된 근육, 그리고 팔 다리 머리 목 근육의 긴도 강도와 조정 능력에 도움.
35
Ⅳ. 재활중재 2) 작업치료사와의 협조 보조기구사용과 손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운동, 음식준비를 도울 수 있는 역할
36
Ⅳ. 재활중재 3) 식이요법사와의 협조 식단계획과 적절한 식이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