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옛날 과학기기 천문우주학과 대학원 홍 경 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옛날 과학기기 천문우주학과 대학원 홍 경 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옛날 과학기기 천문우주학과 대학원 홍 경 수

2 차 례 해 시 계 (앙부일구) 물 시 계 (자격루) 첨 성 대 관 천 대 혼 천 의 간 의 혼 의

3 해시계 (앙부일구) 앙(仰) : 우러를 앙 부(釜) : 가마(솥) 부 일(日) : 해 일 구(晷) : 그림자 구
해 그림자로 시간을 보는 솥 모양 해시계

4 앙부일구의 쓰임새 하루의 시각 24절기 쓰임새 : - 시기별 농사에 중요하게 사용. - 전쟁이 많았던 시대에 전쟁터??
- 이몽룡과 춘향이와 약속시간??

5 각 부분의 명칭 영침 시반 영침은 바늘 끝이 북극을 가르키며, 시간과 절기를 표시
시계 바닥의 역할을 하며 앙부일구를 읽을 수 있도록 절기선과 시각선을 그려 넣은 청동 그릇 받침대 시반을 단단하게 고정시켜주고 수평을 맞추게 해줌

6 왜 솥 모양일까? 솥모양으로 시반을 만들어 태양의 그림자를 나타내게 되면 각 절기의 특징을 살려 그림자 표시가 쉽다.

7 시각 표시 오후1시~3시

8 시차보정표 우리나라는 동경 135˚ 를 표준시로 사용
서울을 지나는 자오선 127˚는 135도와 비교하여 8˚의 차이로 시간상 약 30분의 차이가 있다.

9 24절기 계절의 변화(태양) -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 : 태양 의 운동을 표시하여 주는 24절기를 도입
- 음력(태음태양력) : 달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 -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10 절기선은 앙부일구 시반에 하나의 절기선 양쪽으로 짝으로 표기 하여 13개의 선으로 1년의 절기 표기
24절기 절기선은 앙부일구 시반에 하나의 절기선 양쪽으로 짝으로 표기 하여 13개의 선으로 1년의 절기 표기

11 절기선의 폭이 왜 다를까? 지구의 공전이 케플러 법칙에 따라 태양에서 먼 지점(원일점)을 돌 때보다 가장 가까운 지점(근일점)을 돌 때 휠씬 빠르게 돈다. 이런 현상에 의해 동지에서 하지로 이어지는 절기선의 폭이 달라진다. 2000년 조사기록으로 하지에서 추분까지 지구의 공전일수는 93.65일이고 추분에서 동지로 가는 일수는 89.84일로 약 4일 정도 차이가 있었다.

12 해시계의 종류 해시계 평면해시계 막대해시계

13 해시계 앙부일구(조선후기) 앙부일구(17세기후반) 앙부일구(1713년이후-2)

14 평면해시계 신법지평일구(1713) 석각평면해시계 평면해시계(1881) 평면해시계(19세기말~20세기초) 신법지평일구(1636)
간평일구,혼개일구

15 현주일구 양경규일의 평면해시계(1636년 이후) 선추해시계 평면해시계(조선말기) 신법지평일구(조선후기)

16 물시계(자격루) 세종께서 장영실에게 명하여 사람이 일일이 잣대의 눈금을 보지 않고도 정해진 시각을 알릴 수 있는 자동 물시계를 만들도록 하였다.

17 자격루, 어떻게 생겼나? 자격루는 시간이 되면 저절로 소리가 났고 시패를 든 12지신 인형 가운데 시각을 알리는 지신이 나타났다 없어졌다. 1일을 12시 100각과 밤 시간인 5경을 측정하는 물시계 부분과 지정된 시각을 자동적으로 알려주는 시보장치 두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시보장치는 12지시 -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12간지) 밤 시간인 5경 25점을 시각과 청각으로 자동으로 알 수 있게 설계 움직이는 부분은 모두 감추어져 있고 정해진 시간이 되면 종, 북, 징소리만이 들리고 시패만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

18 자격루의 구조 대파수호 물을 흘리는 항아리 소파수호 물을 흘리는 항아리 수수통 물을 받는 항아리

19 물시계를 바라보면서 왼쪽 세트는 1일 12시 시계이며 오른 쪽 세트는 밤시계이다.

20 물시계의 기본원리 물시계는 대부분 떨어지는 물방울 양의 규칙성을 이용해서 시간을 측정
물통에서 떨어지는 물의 규칙성은 물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오차가 발생 오차를 줄이기 위해 물통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보통 물시계는 3∼5개 정도의 물항아리로 이루어짐

21 자격루의 동작 순서 소파수호에 물이 일정하도록 만듬 부력의 원리 이용

22 잣대의 기능 오른쪽에 5경 표시 왼쪽에 12지시 표시 밤을 주관하는 잣대는 12개로 여기에 맞춰 모두 12개의 판이 있는데 절기에 따라 바꿔쓴다. (계절에 따라 밤길이가 달라지기 때문) 작은 쇠구슬이 나와 시보장치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23 구리통 작은 쇠구슬이 들어와 시간 제어를 하고 큰쇠구슬을 움직이게 한다.

24 자동시보장치 큰 쇠구슬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12지시를 알리는 종 경점을 알리는 북과 징

25 12지신으로 시간 표시 12지신의 모습으로 현재 시간을 알려준다.

26 자동시보장치

27 자격루와 자동시보장치

28 자격루의 복원도

29 자격루의 복원 노력 남문현 교수(건국대 교수)

30 측우기 비가 내린 양을 재는 기구. 조선 세종 23년(1441년)에 세계에서 가장 먼저 발명했고, 그 뒤 개량에 힘써 세종 24년(1442년)에 측우기라고 이름하였다 조선 세종 이후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쓰인 기구.

31 수표 큰 비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강이나 개울의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구로 수표교와 함께 1958년 청계천을 콘크리트로 덮는 공사 때 장충단 공원으로 옮겼다가, 지금은 서울 동대문구 홍릉에 있는 세종 대왕 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다.

32 규표 24절기를 자세히 측정할 수 있는 관측기기

33 혼천의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여 천문시계의 구실을 하였던 기구. 혼의 혼의, 또는 옥형이라고도 한다. 하늘의 적도· 황도· 자오선 등에 해당되는 여러 개의 둥근 테를 구형으로 짜맞춘 것으로, 기원전 2세기경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우리 나라에서는 1433년(세종 15년)에 이천· 장영실 등이 감독하여 처음 만든 뒤로 천문역법의 표준 시계와 같은 구실을 하게 되어, 물이나 추를 동력으로 한 시계 장치를 갖춘 정교한 작품도 만들어졌다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여 천문시계의 구실을 하였던 기구

34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관측의기(天文觀測儀器)
간의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관측의기(天文觀測儀器) (혼천의를 간소화 한것.)


Download ppt "옛날 과학기기 천문우주학과 대학원 홍 경 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