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생태계의 능자 기생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생태계의 능자 기생충."— Presentation transcript:

1 생태계의 능자 기생충

2 당신이 기생충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은..?

3 기생충은 능자 생식 능력 생존 생태계 형성 생물 진화

4 생식능력 소낭충 - 게 주혈흡충 - 달팽이 기생벌 - 배추벌레 고치벌 – 박각시 애벌레 선충 - 하루살이
So many examples(역시 외서!)/ 느낀점 말그대로 꼭두각시.. 좀비일뿐..

5 생존 곰팡이 - 파리 (언제,어떻게 죽는지도) 열원충 - 모기 (말라리아) 촌충 - 가시고기 (색, 행동조절)
톡소 포자충 - 인간, 고양이 가시머리 벌레 - 가마루스/쥐며느리

6 생태계 형성 해양(바이러스-박테리아-바이러스) 육지(먹이사슬의 영향력 < 바이러스)
래퍼티의 실험(흡충-송사리-새)  기생충과 최종 숙주 연합 애비의 실험(산호-흡충-나비고기)  중간숙주와 연합

7 진화 숙주+기생충 겨루기는 생명진화의 원동력 숙주와 기생충은 서로를 압박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진화하게 함 성별
수컷의 암컷유혹장치도 동물의 사회구조도 숙주와 기생충은 서로를 압박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진화하게 함

8 1) 성별 - 붉은 여왕의 가설 “자, 여기야. 봤지? 너는 힘껏 달려갔지만, 결국 같은 곳을 지키고 있었을 뿐이야.”
가설의 역설 : 붉은 여왕과 맞닥뜨리면 유성생식이 기생충과 맞서 싸우는데 한결 우세한 작전(다양성이 가져온 보호) 기생충 자신도 건강한 면역체계 내에서는 유성생식을 택함

9 2) 수컷의 암컷 유혹 장치 외모(벼슬,발톱,집 등등)에서 얼마나 기생충과 잘 싸우는지 알 수 있다.

10 3) 사회전체구조 나뭇잎 자르기 개미 : 날벌레(미님이라는 작은개미 이파리 위에 앉아 놀면서 날벌레 쫓거나 죽임)
포유류 : 털 고르는 습관(기생충 때문)  후에는 유대감을 사는 행위  언어

11 기생충 박멸은 무지한 소리.. 모두를 위해 공존의 길로..
12초마다 한 사람씩 말라리아로 죽어간다. 백신 NO(그들도 진화)약? 재감염의 위험 기생충의 박멸 새로운 질병(장염) 기생충을 길들여 공존하기(예를 들어 모기장) – 기생충 단백질 접종(신호물질 화학물질)

12 가이아 이론을 아는가? 숙주 : 기생충 = 지구 : 인간 인간은 기생충만큼의 지혜를 갖추었는가..?
대단히 정밀하게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숙주 변화(필수불가결한 손상만 입히는데 능숙) 자제할 줄 모르는 기생충(인간)은 스스로를 파멸시키고 자신의 숙주마저도 그 대가를 치르게 하고 말겁니다. 우리 인간이 기생충으로서 성공하고 싶다면, 우리는 훌륭한 선배인 그 대가들에게 배울 필요가 있다.

13 번외 이야기- 왜 인간은 기생충을 두려워하는가?
죽음의 공포가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의 의지가 아닌 다른 것에 의해 조절 당하고 있다는 두려움 우리는 여전히 다른 동물들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체 하며 살아가지만, 인간 역시 움직이는 세포들의 집합체, 성스러운 수호천사가 조절해주는 것이 아니라 화학 물질로 된 신호들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어떤 생물체가 그런 신호를 조절 할 수 있다면(기생충처럼) 그것이 바로 인간을 조절하는 것이다. 인간은 그들에게 단지 먹이나 운송수단일 뿐이다. 그래서 그들은 준엄한 자연의 얼굴을 하고 인간들의 위선을 깨치고 나온다. 우리는 왜 기생충 영화를 보며 희열을 느끼는지가?


Download ppt "생태계의 능자 기생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