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효과적인 수업과 장학 2019년 5월 16일 이 안 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효과적인 수업과 장학 2019년 5월 16일 이 안 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효과적인 수업과 장학 2019년 5월 16일 이 안 수

2 1. 효과적인 교사의 상 기억 대중매체(텔레비전, 영화, 연급 그리고 문학) 아이들의 교사상-질문
유명인사의 인터뷰(성공)-교사(교훈) 대중매체(텔레비전, 영화, 연급 그리고 문학) ”Stand and Deliver” 아이들의 교사상-질문 만약 내가 교사이면, 나는…… 훌륭한 교사를 만드는 것이 무엇이냐? 많은 교육; 가르칠 전공을 잘 이해; 보호

3 21세기 효과적인 교사 개인 자질(personal qualities)-학생, 부모, 그리고 동료와 인간적인 관계와 학생들을 위한 민주주의 교실 지식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가짐(knowledge)-3가지(전공, 인간 발달과 학습, 그리고 수업 연습) 수업 연습의 축적(repertoire)-학생들의 동기 자극, 학생들의 기본 기술 성취 증진, 그리고 자기 통제된 학습자의 생산 반성(reflection)-일

4 2. 효과적인 수업 1900년대 초 – 효율적인 교사(교사의 개인적 자질, 성격 혹은 특징)
정직, 헌신, 관대, 우호, 그리고 사려 1960년대 – 교사 그리고 학생의 행동 교실 방문-수업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도구 사용(상호작용 빈도, 질문 유형, 그리고 반응 비율) 1980년대 –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환경 효과적인 수업-이 부분의 연구에 근거 5가지 주요 수업 행동 수업의 분명성 교수 전략의 다양성 교사의 과제지향 학습과정에 관련 학생 성공 비율

5 3. 체육수업에서의 효율성 주요 연구 체육 수업의 효율성-결론(Siedentop, 1998) 학생들의 과제 관련 수업 방법
교사 행동 교과과정 시간 할당 교사의 지각 체육 수업의 효율성-결론(Siedentop, 1998) 수업에 대하여 교사가 가지는 주요 기준 지각-설명, 피드백, 예시, 그리고 즐거움 교사의 지각에 의한 수업의 효율성 측정의 어려움 예-교사가 수업의 목표를 학생들의 학습에 둔다면,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을 중요하게 간주

6 4. 체육 수업 효율성에 관한 연구 Placek (1983) – 성공한 체육 수업(busy, happy, good)
학생의 행동과 예측 가능하지 않는 환경이 교사의 계획(체육) 영향 성공적인 체육수업-교사가 학생들에게 수업의 즐거움(happy)을 제공하는 반면에, 최소한의 잘못된 행동(good)을 가지고 과제에 학생들을 참가(busy) 시킴 Schempp (1983) 교생 실습 학생들의 경험 체육수업에서의 만족-학생들을 바쁘게, 즐겁게, 그리고 잘 따라 행동함 Borys and Fishburne (1986) Placek (1983)의 연구 반복 - 같은 결과를 얻음 Hickson and Fishburne (2002) 체육 에서 초보와 경험 있는 교사 비교-성공적인 체육 수업(학생들의 학습이 아니라 학생들을 “Busy, Good, and Happy”

7 5. 효과적인 체육 수업의 특징 Silverman (1991) – 운동 기술
수업 관리와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계획 상황의 기대와 연속되는 계획 개인차 인식과 수업 계획에서 그런 정보의 사용과 모니터 계획에 대한 정보 획득 수업 스타일의 레파토리에 대한 지식과 사용시기 설명과 예시의 정확성과 집중 학생들의 적당한 연습 시간 기다리는 시간 최소 Rink (1993)-교사의 효과적인 수업과 관련한 특징 학습에 대한 의도된 결과의 확인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경험의 학습 계획 분명한 과제 제시 학습 환경의 조직과 관리 환경의 모니터 학생들의 반응에 근거한 수업 내용 발달 수업 과정의 효율성 평가

8 Mawer (1995) 효율적인 계획 새로운 교재 제시 학습 경험의 조직과 관리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교사의 활발한 관련
긍정적인 학습 환경 제공 수업 스타일의 레파토리 획득 수업 내용을 가르칠 능력

9 Teaching as a science or an art
교사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수업에 관하여 과학, 예술, 혹은 두 가지 다로 인식 과학으로의 수업-과학적인 탐구로서 효과적인 수업에 대하여 과학적인 법칙과 원리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함 예술로서의 수업-효과적인 수업은 과학적인 탐구로서 종속되기는 너무나 복잡하며 변인 역시 일반화 하기에는 너무 다양하고 광범위함 현실-두 가지 특징을 결합 비록 광범위한 연구가 효과적인 수업의 일반적인 원칙을 확인할 수 있지만, 교사는 다양한 상황에 이러한 원칙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the art of applying the science of education”

10 Time to learn 효과적인 수업에 두 가지 필수적인 요소를 포함-과제와 성공 기회에 대한 시간
Beginning Teacher Evaluation Study (BTES)-Academic Learning Time의 개념(Denham & Lieberman, 1980) 정의-학생들이 학업 과제와 관련하여 그들이 높은 성공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의 양; ALT가 높을수록 학생들은 학습이 높다

11 ALT의 발전 Beginning Teacher Evaluation Study (BTES)
초등학교 2학년 그리고 5학년의 수학과목과 읽기 과목 초보 교사의 바람직한 자신감을 확인하여 교사 준비 프로그램의 평가를 제공 1973년과 1978년 사이-자극된 회상, 문화기술적 방법, 인터뷰, 교사와 학생의 자기 보고서, 체계적인 관찰, 그리고 시험 교실 수업의 모델-학생들의 학습을 두 가지 방식에서 측정(직접 학습을 측정-시험; 간접 학습을 측정-행동) 양적 측면-할당된 시간과 관련된 시간; 질적 측면-성공 즉, 최적의 할당 시간과 성공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적당한 시간(ALT involves the concepts of allocated time,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high success)

12 ALT-PE Siedentop, Birdwell, & Metzler(1979)-최초
Siedentop, Tousignant, & Parker (1982)-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전 체육에서 ALT 연구 – 낮음(15퍼센트) 체육교사가 인식을 못함-훈련부족 “funnel effect”-어떻게 할당된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지 예) 50분의 체육수업 20분-처음 모이는 시간, 출석 체크, 과 마지막 옷 갈아 있고 샤워 하는 시간등에 소비 30분 과제 관련 시간 중-설명, 그룹 조직, 대형 이동 등에 또 소비 실제 운동 관련 시간은 15분정도

13 Metzler(1989)- ALT-PE에 관한 50편의 논문을 분석
6영역-교사 시간, 학생 시간, 성취 시간, 실험 조작 시간, 코치 시간, 그리고 선수 시간 결론-교사가 너무 많은 시간을 비 교수 관련 시간(management, monitoring, and organization)과 너무 적은 수업 시간에 집중; 학생들은 비 생산적인 활동 시간에 관련(waiting, listening, and off-task) Coaches>teachers: 높은 ALT-PE 비율 Silverman & Zotos(1987) Interval recording technique-부적절 측정의 오차-6초 간격에 하나의 행동 Parker(1989) 운동 관련-다양한 형태(activity-specific dimensions of motor performance)

14 체계적인 장학 효과적인 수업이 체계적인 장학을 통해 향상 Cogan(1973) 장학 모델 개발
관찰 수업 행동, 교수 내용, 그리고 학생 행동 전제 수업은 행동(교사의 행동, 학생의 행동) 수업은 결과와 밀접한 관계(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수업 형태가 학습의 성질에 따라 달라짐 수업 행동이 수정됨 공유된 의사결정-목표, 내용, 교수 방법 결정 8단계의 사이클 단계 1: 교사-감독자 사이의 관계 설립 단계 2: 교사와 계획 단계 3: 관찰 전략 계획 단계 4: 수업 관찰 단계 5: 수업-학습 과정 분석 단계 6: 회의 전략 계획 단계 7: 회의 단계 8: 수정된 계획

15 특징 1) 수업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의 역할 2) 수업 과정의 정교한 개입으로서의 행동 3) 목표 지향-개인 성장 필요
4) 교사와 감독자 사이의 관계를 가정 5) 상호 신뢰 요구 6) 체계적, 그러나 방법에 있어서 유동적 7) 생산적인 긴장을 창출 8) 감독자가 교사보다 수업과 학습에 대해 더 안다고 가정 9) 감독자의 훈련 요구

16 체계적 관찰의 이해

17 1. 체계적 관찰이란? 정의-훈련된 개인이 동일한 사건을 관찰하는 다른 사람과 그 내용이 일치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제시된 지침과 절차에 따라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 기록, 그리고 분석 (Darst, 1983) 관찰과 기록 관찰: 인간이나 기계가 잘 정의된 피험자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조건을 형성 기록: 분석을 목적으로 관찰된 내용을 정확하고 영구적인 자료로 만듬

18 역사 체계적 또는 직접 관찰-인류학, 사회심리학, 임상심리학, 그리고 문화심리학 1960년대 초반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2nd edition, 1973) 효과적인 교수에 관해 밝혀지지 않은 것들을 증명해 준 것은 사실이지만, 유능한 교사와 그렇지 못한 교사를 변별하는 변인들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데에는 한계 교사의 성격적 특성과 효과적인 교수와의 관계를 규명-1950년대 중반까지 연구자들이 현장을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교사들의 교수행동을 실제로 관찰하는 형태의 연구방법-1950년대 학자-Ned Flanders, Harold Mitzel, Donald Medley, and Nathaniel Gage 체육과 스포츠 역사가 짧지만 체육수업 분석에 적합한 관찰기술을 개발 경험적 연구의 출현에 중요한 역할

19 전통적 자료수집 직관적 관찰 어떤 구체적인 내용을 관찰하려는 의도나 형식 없이 교수/코칭 행동을 보고 그것에 대한 주관적 판단을 내리는 것 학교 현장-장학사나 관리자에 의해 평가 체계적 관찰법과 병행해서 사용 교수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발달과정을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기록하는데 한계

20 목견적 관찰 외부관찰자가 교수/코칭 환경에 들어가서 그 활동에 형식적인 기록 없이 관찰한 다음 그 결과를 교사/코치에게 전달하는 형태의 관찰법 어떤 구체적인 사건이나 가치 있는 정보를 교사/코치와 논의하는 데에는 유용 그러나, 교수/코칭 기능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인 방법이 안됨-일반적인 정보 제공 일화적 기록 관찰자가 수업활동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것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상들을 가능한 상세히 사실적으로 기술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술 다양한 행동이나 사건들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사실적으로 기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 상세한 기록으로 엄청난 양의 자료를 의미 있는 정보로 분류하는 데 시간이 필요, 그리고 분석하는 데 고도의 통찰력과 분석력이 요구

21 평정척도 점검표 교수-학습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이나 행동에 관한 질적 판단을 양적으로 기술하는 평가방법
예) 매우 그렇다(1)----전혀 그렇지 않다(7) 신뢰성 확보 어려움 점검표 관찰자가 어떤 사건이나 행동의 발생 여부에 관해서 “예” 또는 “아니오” 라고 대답하는 평가방법 “예” 또는 “아니오” 사이에 가끔, 때때로, 등의 반응을 추가 각 문항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정의 할 경우 매우 유익한 정보를 수집 최종적 평가 도구라기 보다는 학습활동의 점검 도구로서 활용

22 전통적 자료수집의 한계 객관성, 신뢰성 및 구체성의 결여 객관성 신뢰성 구체성
관찰된 사건이나 행동에 관한 관찰자의 개인적 의견을 반영 관찰결과-실제로 무엇이 발생되었느냐 보다는 관찰자가 무엇을 보고 싶어 하는냐 하는 것을 반영 신뢰성 평정척도의 경우-동일한 사건을 관찰하는 두 관찰자 가운데 다른 선택에 대한 정확한 이유를 확인할 방법이 없음 일화적 기록에서 두 관찰자 사이의 차이를 현저하게 발견 구체성 교수/코칭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 또는 자료를 제공할 수 없음

23 체계적 관찰의 기능과 한계 장학 약점 현장에서 교사들의 직업 유지와 관련된 행동적 결정
교사의 학습지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행되는 교사 개발 프로그램 초임 교사나 교생의 지도를 위해 협력교사-초임교사/교생 간의 협력적 노력 교사 교육자들의 효율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함 약점 관찰 가능한 사건과 행동에만 관심을 집중 기술적 정보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다는 것 수집된 자료 그 자체만으로는 교수/코치 행동의 수정을 위한 처방적 정보를 제공 못함 그런 결과를 초래한 환경적 작용을 반영하지 못함

24 체계적 관찰의 과정 관찰내용의 결정 관찰내용의 정의 관찰 도구의 선정 관찰자간 신뢰성의 확립 관찰의 실제 자료의 요약 및 해석

25 비디오 촬영의 장단점 단점 기계적 고장으로 인한 자료 손실 가능성이 높음 장점 반복 관찰하여 정확하게 기록

26 2. 기초적인 관찰법 사건기록 교수/코칭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나 행동들의 반복성의 측면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가장 적합한 전략 하키수업에서 퍽을 때린 횟수, 학생들의 잡담한 횟수, 교사/코치의 비언어적 칭찬 횟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지한 회수, 지각 횟수 등

27 사건기록의 보고 사건기록의 실행 측정단위- 빈도 관찰시간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비율 빈도와 분당 비율과의 비교
사건기록으로 사용 안 하는 경우 매우 높은 비율로 발생하는 사건이나 행동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사건기록의 실행 자료수집, 관찰상황, 자료 요약, 코멘트, 행동범주 관찰의 길이를 정확하게 기록

28

29 지속시간 기록 행동이나 사건 또는 에피소드는 반복성과 더불어 지속성을 가지는 특징, 그러한 차원을 관찰하는 것이 초점
학생들이 운동활동에 소비한 시간, 배구 코치가 선수들에게 오버핸드 패스에 관해서 설명한 시간, 교사가 출석을 점검하는데 소비한 시간, 코치가 일정한 위치에 머물러 있는 시간, 학생들이 농구 시간에 자기 숫 차례를 기다리는 시간 반응간 시간(inter-response time: IRT)-같은 행동에 두 번 이상 일어날 때 두 행동의 발생 사이에 소비한 시간 첫 번째 프리드로 슛과 두 번째 슛 사이에 소비한 시간이나 첫 번째 화살을 쏜 다음 두 번째 화살을 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

30 지속시간 기록의 보고 필요한 하드웨어 지속시간 기록의 실제 분이나 초 관찰시간이 일정치 않을 때에는 퍼센트로 전환
(에피소드에 소비한 시간/전체관찰시간)*100 분모는 수업시간이나 운동시간 등과 같이 어떤 관찰의 전체시간을 의미-전체 수업시간 혹은 전체 운동 학습시간 중 각 에피소드에 소비한 시간의 양 필요한 하드웨어 컴퓨터 프로그램 수동 스톱워치 지속시간 기록의 실제 전체지속시간-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한 전체 시간을 누적적으로 기록 개별사건 지속시간-어떤 행동이 시작되면 초 시계를 작동하고 그 행동이 끝나면 그것을 멈춘 다음 측정된 시간을 기록지에 옮겨 적음(행동의 발생 빈도에 관한 추가적 정보를 제공)

31

32 동간 기록 일정한 간격 내에서 어떤 행동의 발생 여부를 측정하는 체계적 관찰법
전체 관찰 시간을 똑같은 짧은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동간 내에서 어떤 행동이 발생하였는지를 기록 6-30초 한 동간의 크기 신중하게 고려

33 동간 기록의 보고 필요한 하드웨어 동간 기록의 실제 퍼센트 모든 동간의 합을 전체 동간으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함
녹음기와 이어폰 동간 기록의 실제 부분-동간 기록: 각 동간 내에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발생 여부에 관심이 있으며 그 동간의 어떤 시점에서 몇 회 발생하였는지는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음 전체-동간 기록: 어떤 행동이 각 동간의 전 과정을 통해서 발생하였을 때 그 행동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

34

35 순간적 시간표집 전체관찰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분한다는 측면은 동간 기록과 비슷하지만, 관찰의 시점에서 결정적인 차이점을 발견 1-10분 순간적 시간표집 자료의 보고 퍼센트 순간적 시간표집 기록의 실제 한가지 행동을 일정한 크기의 동간으로 관찰을 시작하고 일단 한가지 구체적인 행동의 기록에 익숙 해졌을 때 관찰행동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관찰의 크기를 다양하게 함

36

37 3. 관찰자간 일치 관찰의 타당성과 신뢰성 타당성-어떤 관찰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 신뢰성-하나의 관찰도구로 동일한 상황을 반복 측정한 두 결과가 얼마나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 관찰자간 일치-한 관찰자의 관찰결과와 다른 관찰자의 관찰결과를 비교하여 그 일치 수준을 결정하는 것 관찰자 내 일치-한 관찰자가 일련의 사건이나 행동을 관찰한 다음 동일한 사건이나 행동을 같은 방법으로 재 관찰하여 두 결과들이 얼마나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

38 관찰오류의 원인 관찰자 표류 관찰도구의 복잡성 관찰자의 기대 및 편견 관찰자 반동 관찰자 기만
관찰자가 기록 규칙을 바꾸고 행동에 관한 정의를 다르게 해석하는 것 관찰도구의 복잡성 행동범주나 표적 학생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만큼 정확한 기록이 어려움 관찰자의 기대 및 편견 관찰자가 행동에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그의 행동에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행동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기록할 가능성이 높음 관찰자 반동 다른 사람이 자신의 기록을 확인하고 있다는 사실이 기록에 영향을 미치는 것 관찰자 기만 자료의 날조, 자료의 변경, 부정확한 일치도의 계산

39 4. 체계적 관찰과 컴퓨터 표준 자료수집 절차의 한계 관찰체계의 컴퓨터화 하드웨어의 선택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 관찰의 신뢰성


Download ppt "효과적인 수업과 장학 2019년 5월 16일 이 안 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