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mmunity? 면역 1. 어떤 감염 질병에 대해 방어능력이 생기는 것 2. 주변 환경에서 미생물의 감염이나 생체 내 부적합 세포 등을 제거하고 생체를 올바르게 유지하려는 개체의 방어기전 3. 생체의 내부환경이 외부인자에 대하여 방어하는 현상
2 면역계통 면역계통 ( 그림 5-1) 체내에 들어온 이물질 ( 항원 ) 의 정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방어물질 ( 항체 ) 을 생산하는 방어체계 차면역기관 : 골수 ( 뼈속질 )-B 림프구, 가슴샘 ( 흉선 )-T 림프구 2. 2 차면역기관 : 림프절, 지라, 편도, 막창자꼬리 ( 충수돌기 ), 파이어반 등
3 면역계통 ( 계속 )
4 면역기능 면역기능 ( 그림 5-2, 3) 우리의 인체를 침입하고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인체를 방어하는 기능. 1. 방어기능 - 외부자극에 대한 면역기능 반응 2. 항상성 유지 - 인체가 항상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는 것 3. 감독기능 - 면역 자극에 대한 기능이 저하되면서 변이를 일으킨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
5 면역기능 ( 계속 )
6 인체의 방어기작 선천 ( 자연 ) 면역 ( 그림 5-4) 1. 선천적으로 방어벽을 이루는 것 2. 질병을 막는 1 차방어 역할 3. 감염인자를 차단하거나 병원체를 즉시 파괴시키는 면역 후천 ( 획득 ) 면역 ( 그림 5-4) 1. 특이적 면역반응 2. 면역기억이 있어서 재차 같은 항원의 침입 시에는 급격히 수가 증가 3. 림프구에 의해 조절 4. 항원 특이성이 있어서 다양한 항원과 결합할 수용체가 필요 5. T 세포 -TcR, B 세포 -Ig
7 인체의 방어기작 ( 계속 )
8 체액면역 ( 그림 5-5, 6, 표 5-1) 항원자극에 의하여 항체가 만들어지는 면역반응. 1. IgG : 특정 단백질. 면역글로불린 (Ig) 중 가장 농도가 높고, 큰 역할. 태아와 신생아를 감염으로부터 방어. 2. IgA : 신체의 모든 분비물에서 발견. 창자안 점막의 주요 항체. 형질세포에 의해서 생산. 점막의 감염 방어. 최일선의 방어벽. 3. IgM : 최초로 만들어지는 항체. 보체결합성 항체. 감염초기 면역작용에 가장 먼저 작용하는 면역글로불린. 4. IgD : IgM 과 함께 B- 림프구에만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 B- 림프구의 항체 생산세포로 분화나 불활성화를 조절. IgG 와 함께 며 1 차면역반응 수용체로의 작용과 촉진자로의 작용. 5. IgE : 항원이 침입한 점막에서 형성되는 항체.
9 인체의 방어기작 ( 계속 )
10 인체의 방어기작 ( 계속 ) 세포면역 ( 그림 5-7, 표 5-2) 세포 자신이 침입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방법.
1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그림 5-8) T- 림프구, B-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큰포식세포, 과립구 (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 가지세포 ( 수상세포 ).
12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계속 ) T- 세포 ( 그림 5-9, 10) 1. 혈액 내 말초혈액 중 60~70%. 지라, 림프절 등의 림프성 기관 2. 태생기에는 간에서 그 후에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가슴샘 ( 흉선 ) 에서 성숙 ∙ 분화한 후 혈액이나 림프를 따라 순환 3. T- 세포 장애 : 면역부전, 자가면역, 알레르기, 증식성 면역질환 등 4. 암세포의 증식에 대한 신체의 저항력에서 중요한 역할 B- 세포 ( 그림 5-11) 1. 혈액 내 림프구의 약 10~20%. 조혈기관인 지라, 림프절 등에 존재 2. 체액면역에 중요한 역할 3. 적색골수와 태아의 간에서 기원하여 항체를 생산하는 림프구 4. 항원 침입 시 형질세포로 분화되어 helper 세포의 도움을 받아 특이한 항체를 생산
13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계속 )
14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계속 ) 큰포식세포 ( 그림 5-12) 1. 체내 방어기전에 관계. 면역을 담당하는 식균세포 2. 순환혈액을 비롯한 림프조직에 넓게 분포 3. 비특이적 포식작용. 특이적 포식작용 4. 섭취된 미생물의 살해. T 및 B- 림프구에 대한 항원의 출현 5. 많은 효소. 여러 가지 산물의 분비 자연살해세포 ( 그림 5-13) 1. 골수나 지라에서 발견. 세포 상해성 림프구. 항원 특이성 X 2. 종양세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공격하고 파괴 3. 세포독작용. 인터페론이 자연살해세포의 활동을 증진
15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계속 )
16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계속 ) 시토카인 1. 림프구나 큰포식세포 등에서 생산 및 방출되는 물질 2. 용해성 단백질분자. 세포상에서 전령의 역할. 당단백질이 주성분 3. 림포카인 : 큰포식세포를 활성화시켜 포식세포작용을 도움보체 1. 도움체. 불안정한 효소단백질 2. 서로 다른 20 여 가지의 혈청 단백물질이 관여 3. 여러가지 항원 - 항체반응으로 활성화되어 면역에 관여하는 물질 4. 사슬반응에 있어 최종적인 활성은 세포의 용해이지만 각 단계에서 보체가 분해하여 생기는 새로운 성분은 각종 생리 활성을 나타냄
17 면역계통 질환 과민반응 항원의 종류, 민감화 양식, 개체 면역능력의 상태, 기타 원인의 의해 조직과 세포를 상해하는 일. 1. 아나필락시스반응 ( 제 Ⅰ형 과민반응, 그림 5-14, 15) : 국소, 전신 - 외계의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이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심해져 있는 병적인 상태. 급성 알레르기성 반응. 2. 세포상해성 알레르기반응 ( 제 Ⅱ형 과민반응, 그림 5-16, 17)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세포 표면에 있는 항원에 대해 IgG 또는 IgM 항체가 결합하여 일어나는 과민반응. 3. 면역복합체 매개반응 ( 제 Ⅲ형 과민반응, 그림 5-18) - 항원 - 항체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 4. 세포매개 과민반응 ( 제 Ⅳ형 과민반응, 그림 5-19, 20, 21, 표 5-4) : 지 연형 과민반응, T- 세포 매개세포 독성반응 - 보체나 항체의 도움 없이 발생.
18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19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20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자가면역질환 자신과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의 구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스로 자신의 물질을 파괴하는 병. 1. 전신홍반루푸스 ( 그림 5-22) - 염증성 질환. 만성적인 병. 미국인에게 흔한 질병. 주로 여성에게 많이 발생. 20~40 세에서 흔히 발병. 흑인 > 백인 (3 배 ). 병의 호전과 재발이 반복. 2. 결절여러동맥염 ( 결절다발성 동맥염, 그림 5-23) - 혈관에 다발성으로 괴사성 혈관염이 일어나는 질환. 남성 > 여성 (2~3 배 ). 40~50 세에서 주로 발생. 중소독맥에 자주 발생. 발열, 배통증, 체중감소, 신경장애. 3. 전신경화증 ( 그림 5-24~27) - 피부 경화증. 피부가 굳는 병. 콜라겐 합성의 이상, 면역반응의 이상, 미세혈관의 이상.
21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22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자가면역질환 4. 류마티스관절염 ( 그림 5-28~30, 표 5-5) - 30 세 후반 ~50 세에서 여성에게 많이 나타남. 만성적. 관절의 윤활막에 염증이 생긴 후 계속 되어 관절운동에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 콜라겐병 ( 교원병 ). 림프구, 형질세포가 침윤. 염증에 의해 활막세포 증가. 5. 류마티스열 ( 그림 5-31) - 10 대 어린이에게 가장 많음. group A- 용혈성 사슬알균에 감염된 후 2~3 주간 잠복기를 거치면 급성 열병으로 발병. 교차반응에 의하여 주성분이 조직구로 이루오진 육아종, 즉 아쇼프소체가 형성. 6. 하시모토병 ( 그림 5-32) - 갑상샘 ( 감상선 ) 의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는 병. 갑상샘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 30~50 세 중년여성에게서 나타남. 콧물과 창백하고 노란 갑상샘에 치밀한 림프구의 침윤. 만성 갑상샘염.
23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24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자가면역질환 7. 쇠그렌증후군 -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질환. 눈마름증 ( 안구건조증 ), 입안건조 ( 구강건조증 ). 수분형성 부족. 40 세 이상 여성에게 많이 나타남. 림프구의 T- 세포 및 B- 세포의 침윤. 8. 염증근육병증 ( 그림 5-33) - 면역학적인 손상에 의한 근육염. 눈꺼풀 ( 안검 ) 과 얼굴부종 ∙ 체중 감소. 9. 혼합결체조직질환 ( 그림 5-34, 표 5-6) - 아교성 질환의 다양한 증상이 특징인 전신성 질환. 관절통, 근육의 염증, 관절염, 허파의 확산기능 저하, 손의 부종.
25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26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이식거부반응 ( 그림 5-35) 조직이식 : 인체의 한 부위 또는 한 사람의 조직이나 기관을 인체의 다른 부분이나 다른 사람에게 구조적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 이식하는 것. 1. 이식거부 - 징후 : 발열, 이식 부위의 통증, 이식 후 4~15 일 동안의 기능상실. 이식된 기관이나 조직의 면역학적 파괴. 조직학적 부적합증이 있는 수혜자에게 이식세포의 세포중개 및 항체 중개면역이 일어나는 것. 2. 이식거부반응 - T- 세포 매개반응과 항체 매개반응. 가족이 가장 적게 나타남.
27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28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면역결핍증 백혈구나 면역기관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여 면역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 T- 림프구나 B- 림프구의 장애, 보체결손, 골수세포 장애. 1. 선천성 면역결핍증 ① 브루톤형 무감마글로불린혈증 - 항체결핍을 주로하는 결핍증의 대표적인 질병. 세포면역은 정상, 체액면역은 이상이 생기는 질환. ② 디조지 증후군 ( 그림 5-36) - 세포면역결핍을 주로하는 증후군. ③ 합병형 면역결핍증후군 - 비스코트 - 올드리치 증후군. 면역결핍증.
29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30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면역결핍증 2. 후천성 면역결핍증 (AIDS)( 그림 5-37)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① 발병기전 ( 그림 5-38, 39) - 혈액과 정액을 통해 면역결핍바이러스가 전달되어 발생하는 질환. 성적 접촉, 동성 및 양성 연애자 등에서 전염. ② 감염경로 -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 상처부위나 점막을 통해 전염. 성교 시 감염이 많음. 혈관을 통해 감염. ③ 임상증상 ( 그림 5-40) - 세포면역기능에 이상이 발생. 급성 감염기, 무증상 감염기, 발열 ∙ 오한 ∙ 설사 ∙ 심한 피로감 등 전신적 증세, 피부 증세, 신경 증세, 악성종양. ④ 진단방법 ( 표 5-7) - 바이러스를 직접 분리. 체내 항체를 검사.
31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32 면역계통 질환 ( 계속 ) 아밀로이드증 유전분증. 특정한 만성질환에서 어떤 조직이나 기관에 당단백질 ( 아밀로이드 ) 가 축적되어 그 기능을 손상시키는 질환 차 아밀로이드증 - 심상, 허파, 혀, 창자 등의 장기에서 가장 흔함.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흔히 잘 발생 차 아밀로이드증 - 결핵, 골수염, 류마티스관절염, 크론병 같은 만성 감염이나 염증질환. 콩팥, 간, 지라 등의 장기에서 가장 흔함.종양면역 면역감시 : 우리 몸을 계속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세포가 생기면 이를 인지하여 파괴하는 기능.
33 종양면역 종양면역 면역감시 : 우리 몸을 계속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세포가 생기면 이를 인지하여 파괴하는 기능유전분증. 특정한 만성질환에서 어떤 조직이 나 기관에 당단백질 ( 아밀로이드 ) 가 축적되어 그 기능을 손상시키는 질환 차 아밀로이드증 - 심상, 허파, 혀, 창자 등의 장기에서 가장 흔함.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흔히 잘 발생 차 아밀로이드증 - 결핵, 골수염, 류마티스관절염, 크론병 같은 만성 감염이나 염증질환. 콩팥, 간, 지라 등의 장기에서 가장 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