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박의 제작 2 조선산업 (정의 / 세계 조선시황 변동 추이 / (정의 / 세계 조선시황 변동 추이 / 우리나라 / 중국의 도전) 우리나라 / 중국의 도전)
1 선박의 제작 2 선체 (船體, hull), 의장 (艤裝, equipment), 기관 (機關, engine) 조선소 (造船所, shipbuilding yard) 에서 제작 다른 곳에서 선체조각 (블럭: Block) 을 제작 → 조선소로 운반 → 조립 주요 구성 요소 조선의 개요 선체 건조
1 선박의 제작 3 - 하역장비[데릭(derrick), 크레인(crane) 등], 항해장비 [항해등(navigation light), 레이다(radar), 자이로컴퍼스(Giro-compass) 등], 의장품은 국내외에서 구입 - 조선소에서 선체에 장착 선박의 추진기인 기관을 선체에 장착하여 선박 제작을 완성 의장 설치 기관 장착 조선의 개요
2 조선산업 4 - 선박을 건조/수리하는 업무를 주로 하는 제조업 - 다른 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는 산업 (전후방연계 효과가 큰 산업) → 철강산업 등의 많은 산업이 함께 발전 (배에 필요한 물품 때문) 정의 철강산업 (강재/소재) 기계산업 (엔진/기기) 전자산업 (전자기기) 화학산업 (도료/소재) 해운산업 (상선) 수산업 (어선) 관광산업 (유람선) 자원개발 (시추선/FPSO) - 선박은 철강/기계/전자/도료 등 많은 재로 및 기자재가 필요 → 후방산업 수요 창출 - 후방산업의 발전은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 요소가 됨 - 전방산업 수요에 의해 조선경기 변동 - 선박기술에 따라 해운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 신규수요 창출 - 대형화, 고속화, 자동화, 고연비 등 조선산업 전/후방산업간 상호 발전, 수요창출, 경쟁력 강화
2 조선산업 5 세계 조선시장 변동 추이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천GT) 한국일본CESA기타 확장기 (‘60~‘75) 구조조정기 (‘75~‘90) 제2확장기 (‘90~ ) 주: Lloyd’s 선박건조량 추이
2 조선산업 6 - 조선산업은 1990년부터 19년간 5대 수출 종목 -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큰 주력 기간산업 고용 (명) 출하액 (십억원) 부가가치 (십억원) 수출액 (백만$) `08년`09.1~7월 조선산업 (제조업내 비중) 120,201 (4.2%) 47,496 (4.8%) 16,593 (4.8%) 43,157 (10.4%) 28,212 (14,7%) 제조업2,878,728990,156346,628414,214192,414 우리나라 조선산업 주력 산업 조선산업의 국민경제 비중
2 조선산업 7 - 과거 : 부산항 중심 조선산업 → 일제시대부터 발달한 곳은 부산항, 현재 한진중공업등 대형 조선소와 중소형 조선소가 20여개 - 현재 : 대형조선산업 정부 주도로 새로운 대형 조선소 건설 울산 현대조선소(대형 신조선)와 울산 미포조선소(수리전문조선소)가 대표적 거제도 옥포, 장승포의 최대 50만톤급 선박건조 가능한 조선소 우리나라 조선산업 조선산업의 발달
2 조선산업 8 - 세계 최고의 조선 기술 - 세계조선시장에서의 경쟁 (일본,중국) - 국내 조선소 수주량 ( ) : 16척, 35만 CGT 년대 말, 2000년대 초 수준에 불과 ( Clarkson) - 전방산업인 해운산업의 시황 폭락, 신규발주가 없었던 결과 - 금융 위기로 인한 선박금융이 제한 (2008) - 원인: 국내 중소조선소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수주 잔량 취소, 계약 취소, 인도연기 요청 등 우리나라 조선산업 세계1위의 조선 강국 세계 조선산업의 침체 해운산업 시황 폭락 및 세계금융위기의 여파
2 조선산업 9 - 한국: 세계시장 점유율 35-40%로 세계 1위 (2003~2008) - 최근 중국의 조선 수주량 및 수주잔량 한국 추월 (2009) - 전 세계의 신규조선 발주량이 40% 급감 - 호황기의 조선소 시설의 신·증설로 인한 공급과잉으로 신조선 가격 하락 - 최근 해양플랜트 산업의 발전으로 우리나라의 조선산업이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패턴으로 구조적인 변화 중국의 도전 중국의 추월 글로벌 조선산업의 불황
2 조선산업 10 -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한 저금리 금융지원 - 저임금의 풍부한 노동력 등을 기반 년 10월부터 수주량 및 수주잔량에서 한국을 추월 중국의 도전 점유율 (Clarkson, %) 중국 조선산업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