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교육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교양기초교육연구소장 박정하
논술에 대한 마인드를 바꾸어야 ! * 논술은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다 ! 논술고사의 평가 내용 - 분석적 이해 → 비판적 평가 → 창의적 적용 - 논리적 표현 → 논술은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 ☞ 글쓰기 skill 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 각 교과 담당, 글쓰기 기본 + 종합은 국어과
논술에 대한 마인드를 바꾸어야 ! * 논술은 대학입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 - 대학 입학을 위한 도구 → 개인의 경쟁력 강화 최근 대학에서도 글쓰기 관련 강좌가 필수 1. 대학 수학 능력 배양 : 교양교육 강화 예 > 성균관대 학부대학 :,, 2. 사회의 요구
1. Critical thinking 2. Communication 3. Problem solving 4. Management 인재의 조건 (1)
인재의 조건 (2) * 사회의 변화 - 인생을 다모작해야 하는 시대 - 단순한 전공능력 보다는 기초 교양 능력 요구 - 스페셜리스트 보다는 제너럴리스트 요구 *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1) 인성 2) 소통능력 3) 창의력
인재의 조건 (2) 1. 인성 Management 2. 소통능력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3. 창의력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소통능력 * 다른 문화와의 소통능력까지 갖추어야 - 종교, 가치, 관습 및 정서를 포함하는 소통 1. 도구적 능력 : 외국어, 정보활용능력 2. 합리적 소통 능력 : 논증 능력 ( 설득 ) 논증 = 결론 + 근거 3. 정서적 소통능력 : 공감 (sympathy), 감동
평가 시스템의 변화 * 인재를 평가하는 제도들의 방향 전환 - 지식 평가에서 능력 평가로 - 각 영역의 전문 능력 평가 - 모든 영역의 공통 평가 대상 : 합리적 사고에 기초한 의사소통능력 - 지식 적응력, 지식 생산력
국내 사례 1. PSAT ( 공직 적격성 평가 ) - 고시 ( 행정, 외무 ) 의 1 차 시험 - 전문 공직자가 될 능력과 소양 평가 - 언어논리 / 자료해석 / 상황판단
국내 사례 2. 각종 전문대학원 입학 시험 1) LEET ( 법학적성시험 ) - 언어이해 / 추리논증 / 논술 2) MEET, DEET ( 의학, 치의학 적성시험 ) - 언어추리 / 자연과학추리 1/ 자연과학추리 2
국내 사례 3. 기업체 입사 시험 예 > SSAT 언어 / 수리 / 추리 / 공간지각 / 시사상식 / 상황판단 / 인성
외국 사례 1. GMAT - Analytical Writing / Critical Reasoning 2. LSAT - Logical, Analytical Reasoning.
논술 교육의 기본 방향 1. 인문 교육으로서의 논술 → 대학 입시 대비 2. 기초 능력 배양 + 다양한 글쓰기 → 실전훈련 3. 글쓰기를 통한 교육 → 글쓰기를 위한 교육 글쓰기 1 ⇒ 사고능력 향상 ⇒ 글쓰기 2 ⇒ 사고능력 향상⇒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1 단계 ) * 논술 답안의 평가 - 글 = 내용 + 형식 - 논술의 형식 : 논증 = 결론 + 근거 - 크게 4 등급으로 분류 ⇒ A, B, C, D 1) A 급 답안 - 형식 만족 + 내용 탁월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1 단계 ) A, B, C, D 2) D 급 답안 - 내용에 관계없이 형식 불만족 3) B 급 답안과 C 급 답안의 차이 - 내용은 유사하지만 형식의 차이 ☞ 논술 교육의 1 차적, 필수적 목표 : B 급 글쓰기 - 글의 형식적 측면에 대한 교육 * 예제 : 대중문화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자 !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2 단계 ) * A 급 답안 구성 지도 - 형식만이 아닌 내용 - 의사소통능력 + 창의력 * 논술에서의 창의성 - 창의적 발상 < 창의적 문제 해결 - 발산적 창의성 < 수렴적 창의성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1) 독창적 접근 - 자기 나름의 주장 - 솔직함이 독창성의 어머니 ! - 근본적 사고 (Why?) :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 관점 전환 = 영역 전이성 * 혼합 교과 / 통합 교과 / 융합 교과
창의적 문제 해결 2) 깊이 있는 접근 : 문제에 대한 분석 - 겉 ( 현상 ) 만 보지 않고 속 ( 본질 ) 을 본다. - 내적인 관계 파악 - 예 > 비만 - 게으름 - 성적이 떨어짐 3) 다각적인 접근 : 해결책 제시 -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 - 예 > 개인적 차원 - 사회적 차원 단기 - 중기 - 장기
통합 논술의 이해 * 논술 평가의 두 측면 1.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 평가 내용 ) ⇒사고능력 평가 2.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평가 방식 ) - 과정 중심 평가 : 단계별로 복수의 문항 제시 - 분석적 이해 → 비판적 평가 → 창의적 적용
우리 논술 고사의 특징 1. 선발 고사로서의 논술 고사 - 논술이 활용될 수 있는 방식 세 가지 1) 자격 고사 : 유럽 모델 2) 전형 기초 자료 : 미국의 에세이 3) 선발 고사 ( 상대평가 ) 2. 교육 보완 기능 - 선다형 평가 및 이런 평가에 대비하는 교육을 보완하는 기능
모의 평가 ( 서울대 ) 논제 1. 위의 세 제시문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를 요약하 시오. (200 자 이내 ) - 분석적 이해 논제 2. 각 제시문의 핵심적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시오. (600 자 이내 ) - 비판적 평가 논제 3. 위의 논의를 토대로 정보화 시대의 이상적인 민주주 의를 구상해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기술하시오. (800 자 이내 ) - 창의적 적용
과정 중심 평가 평가 항목 1) 분석적 이해 - 지문 요지 파악, 요약, 공통 주제, 비교, 대조 - 도표, 그래프 등의 자료 이해 2) 비판적 평가 - 자기 입장에서, 주어진 관점에서 - 반론 제시 3) 창의적 적용 -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제시 - 자료나 사례 해석, 설명 제시
유지되는 경향 1) 예상된 출제 경향이 유지됨 - 대학 홈페이지, EBSi 의 대학별 강의, 신문의 논술섹션 → 공개된 정보면 충분하다. * 각 대학의 입학 설명회 자료 주목 2) 출제 당시의 사회적 쟁점 반영 ( 사회, 도덕 교과 ) 3) 고차적인 독해 능력 요구 ( 국어 교과 ) - 제시문 비교 분석, 관련 지어 논의 4) 도표, 그래프, 그림 해석 비중 증가 ( 사회 교과 )
대비 방법 1. 개별 교과에서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 교육 - 학습 내용을 적용, 활용, 응용 : 사고 훈련 - 교과서의 주관식 문제 활용 : 짧게 답안 작성 ( 사고 훈련 + 쓰기 훈련 ) 2. 독서는 활동 중심으로 ( 양보다는 질 ) - 체험 독서 : 읽기 ( 느끼기 ) → 표현하기 - 학습 독서 : 활동 중요시 ( 양보다는 질 ) * 읽기 ( 이해하기 )→ 따져보기 → 토론하기 → 쓰기 ☞ 정보 입력보다는 능력 ( 읽기, 사고 ) 배양
대비 방법 3. 배경지식 학습 - 정보 보다는 자신의 관점과 입장 형성 - 문제 상황, 논쟁 구도, 자기 입장 정리 - 배경 지식 학습은 내신, 수능 준비로 가능 * 내신, 수능, 논술은 삼층탑 4. 글쓰기 훈련은 3 단계로 진행 - 한 문단 쓰기 → 완결된 글 쓰기 → 유형 적응 - 3 학년도 이 과정을 압축해서 진행
대비 방법 5. 사이버 논술 자율적 활용 6. 토론통한 논증 능력 향상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1. 초등학교 - 초등 논술은, 미친 짓이다 - 감정, 정서 표현 중심의 글쓰기 필요 - 전문적인 논리적 사고 훈련도 필요 ⇒ 비중을 적절히 낮추어야 - 논술 조기 교육은 감상문 쓰기 ! ( 감상문 : 논리적 글 = 80:20)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2. 중학교 - 읽기 능력 강화 ( 감상 + 분석 ) : 감상 + 분석 능력 강화 ( 내용파악, 요약, 평가 ) - 중학 논술의 목표 : 한 문단 쓰기 완성 - 올바른 글쓰기 능력 완성 ( 어문법적 차원 ) - 감상문 쓰기도 중요 (50%) - 토론을 통한 논증 능력 향상
논술 교육의 방향 설정 3. 고등학교 - 논술은 한 과목이 담당할 수 없다. 1) 독립 과목 아닌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 2) 현실적으로 불가능 무엇을 ( 내용 ) : 모든 교과 참여 어떻게 ( 형식 ) : 국어 + 철학, 논리학 + 영어
논술 교육 개선 방향 입시 논술 대비 ⇒ 교육 방식의 변화 - 교사 요인이 지배적 ( 의지, 능력, 여건, 보상 ) 1. 의지 - 사교육은 보조역할 ( 사업성 낮음, 장기적 단계적 접근 불가능 ) - 국어 교사의 십자가를 나누어 져야 ⇒ 느슨한 의미의 팀 티칭 필요
논술 교육 개선 방향 2. 능력 1) 교사 연수의 강화 - 내용상 부전공 연수, 자격 연수 개념 도입 - 수준별 단계화, 전문화 2) 교사 양성 과정 개편 - 국어 교사 양성 과정 : 비판적 논리적 사고 / 논증적 글쓰기 관련 강좌 강화 - 전체 교사 : 논술형 글쓰기 관련 강좌
논술 교육 개선 방향 3. 여건 - 개별 학교 내의 교육 시스템 문제 - 교장, 교감 선생님의 인식 변화 4. 보상 - 상점 부여, 첨삭비 지급의 지침 마련
논술 고사의 미래 논술 고사의 장기적 전망 1) 교과서의 주관식 활동 문제 2) 내신의 서술형, 논술형 평가 3) 대입 통합 교과형 논술 ☞ 세 영역이 코드를 맞춰가는 방식으로 전개 1’) 교사의 적극적 참여 2’) 정책당국의 지원, 학부모에 대한 설득 3’) 대학의 연구와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