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창 윤 Jooculture.com 한국 언론과 문화의 역사 7주 1950년대 문화와 미디어
목차 1. 전후 사회변동과 심성체계의 변화 2. 전후 댄스 열풍: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3. 최초의 텔레비전 HLKZ-TV 4. 정부와 언론의 갈등 2
전후 사회변동과 심성체계의 변화 3 정치환경 한국전쟁( ) 1952년 부산정치파동 1954년 사사오입 1955년 민주당 탄생(신익희) 1956년 제3대 정부통령 선거: 자유당 이승만, 민주당 신익희 1958년 보안법 파동으로 권력과 언론의 갈등 1960년 4.19 허정 과도정부 내각책임제
4 세계사적으로 미소 양국을 축으로 냉전체제와 분단 고착화 이승만의 ‘민주독재’와 반공 이데올로기 도시화 전개-전통사회에서 유지되었던 문화공동체, 가족공동체 해체 지주계급의 몰락과 자본가 계급의 형성 서비스산업 팽창, 소비재 중심 공업구조 대규모 인구변동-젊은 세대의 죽음 (서울 20세~24세 인구는 15~19세 인구의 절반, 성비 불균형 확대) 대규모의 인구이동-도시지역 증가(피난민이 도시에 거주) 전후 도시집중은 공업화가 아니라 피난이 동인 도시화율: %, %, %, % 한국전쟁으로 남한만 130만 명 희생 50만 명이 넘는 전쟁미망인
5 심성체계(mentality)의 변화 ‘개방적 사회’로 바뀌었지만 외지인은 신뢰하지 않는 이기주의, 연고주의가 증가하는 ‘폐쇄적 인간관계’ 형성 ‘국가의 중요성’을 느꼈지만 동시에 ‘국가에 대한 불신’ ‘이데올로기 공동체의 강화’되었지만, ‘문화적 공동체의 해체’ ‘민족자주성은 강화’ 되었지만, ‘미국에 대한 의존도는 심화’ 허무주의와 자유의 과잉으로 가치체계의 혼란 전쟁이 길어지자 민중은 전쟁의 허무, 생활터전을 잃은 절망과 불안 속에서 사회윤리는 급속하게 퇴폐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사치풍조가 늘어났다. 환락가는 마셔라 부어라 먹자판으로 돌아버렸다. 시민들의 옷차림도 화려해져갔다... 전후 어떤 일을 꾸미는 데도 장기적이 못되고, 단기적인 안목에 흘렀다. 치부나 성공을 위해 부정을 서슴지 않는 불성실이 노골화하고 사회윤리는 개판으로 부패하여... 전후 혼란스러운 사회를 배경으로 춤바람이 불며 이성이 흐려졌다. 춤바람은 서양적인 생활풍속이 수입되면서 일으키는 풍파의 상징이었다(《동아연감》 1975)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는 허무감 약속 없는 시대에 자기 중심적 성향
전후 댄스 열풍: 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6 서양댄스는 1920년대 말 유입 해방 이후 댄스는 합법적으로 인정: 미군과 상류사회 한국전쟁 이전에 댄스는 확대되기 시작함, 전쟁 중에서 댄스열기 댄스 열풍이 확대되자 외국인만 출입가능 허락 댄스홀 폐쇄 카바레 등장-신문회관, 모감보, 무랑루쥬, 뉴쓰맨스클럽 등 해방 전에도 땐스란 사교 춤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그러나 오늘날 땐스 유행병은 놀라운 전파력을 가지고 사회 각개각층을 풍미하고 땐스에 미쳐 정조를 헌신짝 모양내던지는 신여성, 가정이나 사회적 지위마저 내동갱이 치는 남녀가 수없이 연달아 나오고 있다. 트롯트, 부르스, 탱고, 질바, 삼보, 맘보... 대도시 각처에 있는 비밀교습소에서 관리 학생, 늦바람 난 실업가의 마낫님, 다방 레지, 젓메기 아이를 데리고 셋방살이 하는 자전거포 주인의 부인에 이르기까지... 땐스 왕국 코리아의 면목을 발휘하기에 이르렀으니(《동아일보》 1955년 8월 24일) 미군부대 내 댄스홀(특수 댄스홀), 댄스홀, 무허가 비밀댄스홀 정비석의 《자유부인》(1954), 영화 《자유부인》(1956)
7
8 젠더 문제의 등장 댄스열풍으로 인한 사회적 사건들 발생 박인수 사건(1955), 최필원 사건(1956), 김석구 사건(1956) 등 댄스열풍에 대한 사회적 비판대상으로 여성 (1) 여성의 정조문제 (2) 기혼 여성의 성윤리 (3) 가정 문제(자유부인, 전후파 여성(혹은 아프레 걸 Apres-girl) 왜 여성만 비판의 대상이 되는가? 전후 남성헤게모니의 등장 여성을 ‘전후파’ 여성으로 타자화하고 ‘이상적 어머니’ 추구 모성을 통해 국가/민족/가정을 유지하는 ‘모성 민족주의’ 등장 1955년 모성애에 대한 덕을 찬양하기 위한 ‘어머니 날’ 제정(5월 8일) 신사임당이 이상적 어머니의 모델로 부상 이상적 어머니 ‘신사임당’ vs 타락한 여성 ‘자유부인’, ‘양공주’ 가부장-국가의 위기를 반영 전후 가족윤리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이 확대
9 전통의 재구성: 삼강오륜 전후 한국 사회는 미국문화를 체험하고 서구적 근대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전통의 소환’ 혹은 ‘도의( 道義 )운동’ 제기 1950년대 중반 패륜 사건들이 발생 댄스열풍으로 가정혼란 전후 윤리혼란에 대한 국가적 수습책으로 전통을 소환 미국문화 영향으로 미국에 대한 ‘문화적 해바라기 현상’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이그조티시즘(exoticism) 대중음악의 경우 ‘샌프란시스코’(1952), ‘아메리카 차이나타운’(1953), '아리조나 카우보이’(1955) 등 미국에 대한 동경 확대 영화의 경우 오드리헵번, 마릴린 몬로 유행 국가권력: 도의 운동 제기 -1955년 제1차 교육과정 제정을 통해서 도의교육 제도화 - 윤리와 도덕을 강조하는 국민의식개조 운동 전개 남성중심적 미디어권력: 도덕담론 제시
최초의 텔레비전 HLKZ-TV 10 HLKZ-TV 1954년 텔레비전 시험방송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 HLKZ-TV(KORCAD-TV)1956년 5월 황태영(RCA 한국대리점) 설립 광고주 수입에 의존하는 상업방송체제 미국식 송출방식은 NTSC채택 KORCAD-TV-DBC-TV(57.4)-AFKN(59.3)-방송중단(61.10)-폐국(1963.3) 텔레비전은 사치품 180% 관세 1957년 3,000대, 1958년 7,000대, 1959년 20,000(AFKN 개국(58년)
11 서울시내 300대, 14인치 TV 한 대 34만 환(쌀 한 가마 1만8천환) 극심한 재정난(수상기 판매 어려움, 광고주 적음) 개국 프로그램 첫 출연자는 자유당 부통령후보 이기붕 1956년 6월부터 정규방송: 평일 4시간 주말 5시간 (뉴스, 어린이, 좌담, 영어교실, 스포츠, 퀴즈) 1957년 1년 만에 적자로 운영주체가 《한국일보》 장기영으로 바뀜 DBC-TV 방송시간 연장, 프로그램 개편, 외국 프로그램 적용 장기영은 주한 미공보원(USIS)으로부터 필름을 제공받음 한국은행, 전매청, 대한중석 등 대기업의 협찬 1959년 화재로 중단, AFKN지원을 받아 저녁 7시부터 30분 방영 1961년 박정희에게 반납
12
정부와 언론의 갈등 13 야당지 《동아일보》 김성수와 이승만과 대립 《경향신문》 장면에 대해서 긍정적 태도 1959년 폐간 ‘정부와 여당의 지리멸렬상’ 2월 여적을 통해 가장된 다수와 부정선거 비판 《조선일보》 건국초기 정부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 정치파동에 계속되자 비판적 입장으로 선회 여당지 정부는 《서울신문》이 동해주 반공사건을 1단 처리했다는 이유로 발행정지 6월 이승만 지지층으로 임원진 개편-친 정부 신문 《서울신문》은 언론이 정부를 비판할 때 일정한 한계 설정을 주장 《한국일보》 창간 1954년 6월 9일 상업주의를 표방한 《한국일보》 장기영-《조선일보》 사장출신 《한국일보》, 《일간스포츠》,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기자공채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