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kettsial infectio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ugh 를 주소로 내원한 32 세 여자환자 심장 내과 R3 김민제 /Prof. 김우식 MGR.
Advertisements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병원성 렙토스피라균 (Leptospira)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성홍열 (Scarlet fever) A 군 β- 용혈성 연쇄구균의 홍반독소에 의한 발열과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일본뇌염 (Japanese Encephalitis) 인수 공통의 전염병으로 일본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중추 신경계 감염증.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신증후군출혈열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급격한 고열, 발적, 고열증상, 일시적인 신장 및 간장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Hantavirus 속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전염성 출혈성 질환군.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Rt. hip pain을 주소로 내원한 62세 여자환자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Tsutsugamushi ( Scrub Typhus) ER. 유승아
The Irish Potato famine and the Brith of Plant Pathology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Department of nephrology R1 이동영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주, 유성수, 권계숙, 김형길, 신용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집담회 증례발표 2008년 4월 15일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장현주, 최민호, 은창수, 계세협, 이 진
제64회 내시경 집담회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송해정 박정훈 정인섭 유창범 조주영 이문성 심찬섭 순 천 향 대 학 교 의
가을철 열성 질환 - 야외활동 관련 감염병 전남의대 정 숙 인.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퇴행성 신경질환.
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한 급성 열성 전염병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Case presentation R1 박정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증례 집담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내과 조규현.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Hemorrhagic fever with 동반하는 Hantavirus속 바이러스에 의한
위암과 감별하기 어려웠던 위 아니사키스증 1예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Dept. of Laboratory Medicine Hee Joo Lee 2006, 5, 25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B형 간염.
전기진단검사 I.
토혈과 흑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신증후성 출혈열 환자 1예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1.1 감염병의 개념 감염(infection) 감염병(infectious disease)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AIDS 의 이해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복잡성 염색체 이상을 보인 아세포발증의 만성골수성백혈병 에서 STI571(Gleevec) 치료에 따른 혈액학적 검사소견   김영철, 전현배, 이영경, 박지영, 이경화,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배경 Table 1. CBC profile of case.
TOXOPLASMA 항체 검사 면역혈청학계 박지연.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치과와 미생물.
Hantavirus Infections: HFRS, HPS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제 6 장 마우스와 랫드의 질병.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면역과 방어.
홍채 부위별 기능과 영역 동공 직경 10-12mm 폭 4-5mm 두께 mm
피 그것이 알고 싶다!!.
Presentation transcript:

Rickettsial infection Yoon Jung Oh, M.D. Departments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1) 리케치아 균의 특징 0.3 X 2.0 m coccobacillus,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 Rickettsial Infection 서 론(1) 리케치아 균의 특징 0.3 X 2.0 m coccobacillus,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 이분법으로 증식, 자체의 DNA, RNA, 에너지 생산 기관을 소유. O. tsutsugamushi 를 제외한 대부분의 리케치아 종들은 그람 음성균의 특성인 내독소(endotoxin)을 함유 Coxiella burnetii 을 제외한 모든 리케치아는 절대 세포내 기생세균으로 숙주 세포의 원형질에서만 증식이 가능

Rickettsial Infection 서 론(2) 2. 리케치아의 생활사 대부분의 리케치아는 절지동물 매개체와 공생관계에 있고, 이중 R. rickettsii, R. typhi, O. tsutsugamushi 등은 절지동물내에서 transovarian transmission 이 가능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를 일으키는 R. prowazekii 는 절지동물 매개체인 이(louse)를 감염시키면 1-3주내에 이를 죽게 만드는 dead-end cycle 을 갖는다. 리케치아의 포유류 숙주는 쥐, 생쥐, 다람쥐 등의 작은 야생동물과 가축류이며 최근 고양이, 주머니쥐 등의 애완동물이 숙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발진열(murine typhus)이 증가.

3. 병인 기전 Q fever를 제외한 tyhus 군과 spotted fever 군의 주된 병리 소견은 혈관염이다. 리케치아들은 작은 동정맥과 미세혈관의 혈관내피세포내에서 증식하여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을 줌으로써 전신 장기의 혈관염을 일으킨다. 리케치아 질환시 보이는 혈관염의 특징은 면역기전에 의한 혈관염과는 달리 혈관내피세포의 손상(swelling & necrosis) 이 일차적으로 일어나고 숙주반응으로서 혈관 주위에 임파구와 대식세포가 모여드는 양상을 보인다.

4. 임상양상과 진단 특징적인 임상양상 : 고열, 두통 및 발진 문진 : 진드기가 붙은 적이 있는지, 캠핑 등의 야외활동이나 직업적 노출 가능성 등에 관하여 질문 진단 : 임상양상과 혈청검사로 진단하며 항체가 형성되는 시기는 발병 2주경이므로 실질적으로 진단은 임상양상에 의존하며 혈청검사는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혈청검사 : Weil-Felix test – not used currently Complement fixation test Indirect & direct immunofluorescence test 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 PCR

국내에서 발생하는 리케치아 질환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 R. Prowazekii 쯔쯔가무시병(Scrub typhus) : O. tsutsugamushi 발진열(murine typhus) : R.typhi

Epidemiology & Clinical Feature of Rickettsial Infections Disease Typhus Group Murine typhus Epedemic typhus Brill-Zinsser Scrub typhus Spotted Fever Group RMSF Rickettsial pox North Asian Tick Typhus Others Q fever Trench fever Organism R. Typhi R. Prowazekii O. Tsutsugamushi T. Rickettsii R. Akari R. Sibirica C. Burnetii R. quintana Vector Flea Lice Relapse of epidemic typhus Mite Tick Reservoir Small rodents Human Wild rodents Mouse Cattle human Transmission contamination of bite by flea feces by louse feces Mite bite Tick bite Inspiration of contaminant Contamination of bite wound by louse feces

쯔쯔가무시병의 국내역사 1951년 : UN 군에서 발생보고(서부전선, 임진강 유역, 마산) -1952년 : 동물접종으로 균증명 19521953년 : Apodemus agrarius, Microtus fortus Micromys minutus 에서 균 분리 1964년 : 휴전선 인접 상주주민 83명의 혈청중 OX-K 에 1:20이상 반응하는 항체 소유자 8명 증명 1986년 : 이정상, 이강수 등이 국내 상주인에서 쯔쯔가무시병을 혈청학적으로 진단 1987년 : 장우현 등이 환자 혈액에서 R.tsutsugamushi 분리 -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토착병으로 확인됨.

매개충 및 전파경로(I) 恙忠 (쯔쯔가무시라 읽음) - 털진드기 : Leptotrombidium 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일종 - 땅속에서 자유생활, 우리나라 약 20종 - Leptotrombidium pallidum, L. scutellare 에서 증명 털진드기의 생활환 - 난자  유충  번데기  성충 - 유충에서 성충으로 탈바꿈할때 동물의 조직액이 필요 - 야생동물 주로 들쥐, 다람쥐에 일시적 기생(2-3일) 사람은 우연히 유충이 사람에게 옮겨져서 조직액을 섭취할 때 병원체가 피부를 통해 침입.

쯔쯔가무시병의 월별 발생 현황 (1999년)

매개충 및 전파경로(II) Orientia tsutsugamushi (Rickettsia tsutsugamushi) - 그람음성 세균 - 털진드기의 타액선이나 난소에서 발육 - Transovarian transmission으로 감염이 이어짐 L. pallidum 유충 출현시기 : 45월, 10 11월 우리나라 쯔쯔가무시병 발생시기 : 4 6월, 10 12월

우리나라 쯔쯔가무시병의 환자 발생현황 (II) 연도별 열성질환 환자에서 O. tsutsugamushi 항체 양성율 (1986~1993) Year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No.of Test 1,141 1,773 1,761 2,295 2,921 4,250 5,668 5,381 No.of + ve 215 376 544 808 777 1,890 2,116 1,994 Positive Rate 18.8 21.2 20.9 35.2 26.6 44.5 37.3 37.1 Cut-off point of seropositive 1:80 (장우현 대한감염학회 1994)

우리나라 쯔쯔가무시병의 환자 발생현황 (I) 정상 거주민에서의 O. tsutsugamushi 항체 양성율 (1987-1988) Province Kyunggi Chungbuk Chungnam Chunbuk Kyongnam Cheju Others Total No.of sample 581 387 6,895 784 400 233 104 9,384 No.of Positive(%) 23(4.0) 14(3.6) 334(4.8) 29(3.7) 11(2.8) 26(11.2) 3(2.9) 440(4.7) Cut-off point of seropositive 1:10 - 2년 이내 특이 항체가가 1:10이하로 감소 (장우현 대한감염학회 1994)

한국인 환자에서 분리된 O. tsutsugamushi 의 혈청형 분포 Province Kyunggi Kangwon Chungbuk Chungnam Chonbuk Kyongnam Total Gilliam 7 1 10 No. of Local isolates Karp 7 4 2 13 Boryong 9 4 70 13 21 111 Unidentified 3 Total 20 1 8 73 13 22 137 (장우현 대한감염학회 1994)

쯔쯔가무시병의 진단 1. 병원체를 증명하는 방법 1) 병원체의 분리 :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직접 분리, 혈청형 결정 2)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O. tsutsugamushi DNA 의 증명 2. 혈청학적 진단 : 발병 초기부터 2-3회에 걸쳐 항체가를 측정 4배이상 항체가의 상승 1) 간접면역형광 항체법 (Indirect immunofluorescent Ab test) - WHO 추천 방법. 가장 널리 쓰임. 2) 면역과산화효소 측정법 (Immunoperoxidase test) 3) 효소면역 측정법 (ELISA) 4) 피동적혈구 응집 반응법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증상(I) 유충이 문 곳에서 균이 증식 잠복기 : 6-18일 (보통 10~12일) 국소 림프절 종대, 전신 림프절 종대 발열 (40~40.5℃ ), ocular pain, 결막 충혈, 마른기침 발진 - 발병 3~7일, 반점구진상 발진 - 흉복부, 안면 - 가렵지 않다. - 2-10일간 지속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증상(II) Eschar(가피) 형성 - Papule  ulceration  black crust - 50~80% 에서 나타남 - 흉부, 복부, 회음부, 하지, 겨드랑이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증상(III) 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심근염 간비대, 비장비대 신장애는 경미 가벼운 수막 침범 : 경도의 백혈구, 단백증가 (단핵세포) 신경증상 사망률 : 치료 안할 경우 0~30%

쭈쭈가무시병 120예의 임상증상 (문 범 등 감염 27;273-279) Symptoms Fever & chills Headache Myalgia Abdominal pain Cough Sore throat Nausea Sputum Anorexia Fatigue Dyspnea Vomiting Thirst Pruritus Dizziness Rhinorrhea No.of Cases(%) Signs Eschar Rash Conjunctival injection Tachycardia Lymphadenopathy Hepatosplenomegaly Generalized edema Oliguria No.of Cases(%) 100(83.9) 67(55.8) 66(55.0) 27(22.5) 26(21.6) 18(15.0) 16(13.3) 13(10.8) 11(9.1) 9(7.5) 8(6.6) 5(4.1) 2(1.6) 90(75.0) 63(52.5) 19(15.8) 12(10.0) 10(8.3) 7(5.8) 3(2.5)

쯔쯔가무시병의 병리 Target tissue : blood vessel 병리소견 - Endothelium 세포내 감염, vascular infection 에 의한 손상 - Vascular permeability 변화 - Perivascular accumulations of Iymphocyte & macrophage  Microinfarct Iymphohistiocytic vasculitis Petechial maculopapular rash, cerebral glial nodule Interstitial pneumonia, interstitial mononuclear myocarditis.

쯔쯔가무시병의 치료 및 예방 Treatment Prevention Tetracycline 25mg/kg # 4, 3~7 days Chloramphenicol 50 mg/kg/d # 4, 3~7 days Doxycycline 200mg p.o 3 days or single day 임산부 : azithromycin Prevention - Avoid chigger bite - Protective clothing, insect repellants - Vaccine 은 아직 없음.

증례 25세 남자 환자 주소: 내원 12일전부터의 고한, 오한, 근육통과 내원 5일전부터의 좌상복부통증 1995년 9월부터 내원 약 8개월 전까지 26개월간 강원도 철원 군복무 내원 7일전 타병원에 입원하여 안정가료 중 입원 5일째 특이할 만한 외상없이 갑자기 좌상복부 통증이 발생 CBC: WBC 4,100/mm3(호중구 49.2), Hb 11.6g/dL Plt 83,000/mm3 AST/ALT 73/69 IU/L, 그 외 이상 소견 없음.

증례 36세 여자 주소: 고열과 두통 현병력: 98년 4월 자궁전절제술, 전혈을 수혈 현병력: 98년 4월 자궁전절제술, 전혈을 수혈 수술 후 2주 후부터 39℃까지 오르는 열이 발생, 오한, 오심, 구토, 전신의 근육통, 관절통,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 발열은 주로 오후에 나기 시작하였고, 5-7시간 정도 지속된 후 떨어졌으며 열이 떨어진 이후에는 큰 불편감이 없음 2일에 한번씩 발열

증례 26세 여자 주소: 4일간 지속된 고열 현병력: 환자는 내원 약 1개월 전 아프리카 케냐에 가서 내원 2주전 귀국하였으며 출국 전 chloroquine으로 추정되는 말라리아에 대한 예방적 약물을 투여 받았고, 이후에도 매주 1회 복용 중 CBC: 백혈구 4,900/mm3(호중구 21%, band form 56%) 혈소판 12,000/mm3, Hb 11,4g/dL BUN/Cr 12.6/0.8, T.bilirubin/D.Bil 3.7/2.0mg/dL, LDH 1137 IU/L, AST/ALT 66/45 IU/L

증례 41세 남자 주소: 고열, 발진, 두통 현병력: 충남 홍성에 사는 농부 내원 7일전부터 발열, 근육통, 두통 발생, 내원 5일전 구진성 발진 발생 CBC: 백혈구 12,900/mm3(호중구 58%), 혈소판180,000/mm3 Hb 11.9g/dL, BUN/Cr 9.2/0.8, LDH 1763 IU/L AST/ALT 127/45 IU/L

Leptotrombidium 의 생활환과 O. tsutsugamushi 의 전파 Non-infected larva ♀ Infected larva ♀ Sucking Engorged Iarva (1-2 Days) ♂ ♂ ♂ Hatching ♀ Non-infected infected ♀ ♀ ♀ Dormancy Casting infected (3-14 Days) Non-infected ♀ Infected adult ♀ Nymph (Take in insert eggs) Dormancy (2 weeks) Egg-laying (Take in insect eggs) Casting Non-infected adult ♂ ♀

발진열(Murine typhus)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중요한 인수공통 감염증의 하나로서 발진티 푸스에 비해 임상증상이 비교적 경하나 심한 감염시 사망할 수 있 는 주요질환. 1. 원인균 R. typhi가 원인균으로 R. prowazekii 와 형태, 크기 및 항원성이 유 사하여 혈청검사에서 교차반응을 일으킨다. 2. 역학 ⑴ 전파경로 쥐와 쥐벼룩이 많은 온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많이 발생. 주요 절지동물 매개체는 쥐벼룩(Xenopsylla cheopis), 고양이 벼룩(Ctenocephalides felis) 쥐벼룩이 사람을 물어 가려워 긁게 되면 이 상처에 쥐벼룩 또이 오염되어 질병이 발생

국내에서 발생되는 발진열은 쯔쯔가무시병과 마찬가지로 9월에서 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Murine typhus ⑵ 계절별 발생 국내에서 발생되는 발진열은 쯔쯔가무시병과 마찬가지로 9월에서 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3. 임상증상 고열, 두통, 오한, 근육통, 오심 발병 3-5일째 피부병변이 몸통을 중심으로 maculopapular 양상으로 나타나며 10% 이내에서만 petechiae 양상을 보인다. 그외 호흡기증상(35%), 신경증상(1-5%) 임상경과는 대개 경하여 별 문제 없이 회복되나 일부의 환자들은 중추신경 이상, 신부전, 간부전, 호흡기 부전 등 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질병에 의한 사망률은 4% 정도임.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해열후 2일까지 투여. Murine typhus 4. 진단 R. Typhi 의 특이항원에 대한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IFA), latex agglutination(LA), or solid-phase immunoassay 등의 혈청검사 등이 이용되나 급성병기에는 항체가 나오지 않으므로 임상적 진단이 중요함. 5. 치료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해열후 2일까지 투여.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병원체 1976 등줄쥐의 폐조직에서 간접형광 항체법으로 한국형 출혈형 환자의 회복기 혈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원을 발견, Hantaan virus 라 명명함. Family : Bunyaviridae Genus : Hantavirus Serotypes : Hantaan virus(1976, Korea) Seoul virus(1980, Korea) Puumala virus(1981, Finland) Prospect Hill virus(1982, USA) Leaky virus(1986, USA)

Apodemus agrarius coreae(등줄쥐) Rattus norvegious(시궁쥐) Rattus rattis(곰쥐)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2. 숙주 Apodemus agrarius coreae(등줄쥐) Rattus norvegious(시궁쥐) Rattus rattis(곰쥐) Wistar rat(실험실 쥐) 기타 고양이, 야생토끼 3. 전파경로 등줄쥐의 배설물(뇨, 타액, 대변 등)이 건조되어 주로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되거나 피부 상처를 통해서 감염된다.

발생계절 :특징적인 bimodal type으로 5-7월의 소유행시기, 4. 역학 발생계절 :특징적인 bimodal type으로 5-7월의 소유행시기, 10-12월의 대유행시기로 나누어지나 최근 점차 소유행시기가 감소하여 단일 유행형의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발생연령 : 20-60세의 청장년층에 많고 10세 이하의 유소아기나 60세 이상의 노년기에 환자 발생이 적다. 야외형(rural type) : 들쥐인 Apodemus species 가 병원소로서 야외에서 일하는 농부, 군인에 호발 도시형(Uuban type) : 집쥐가 병원소로 대도시지역에서 발생 실험실형(Animal room type) : wistar rat 이 병원소.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5. 병리조직학적 특징 ⑴ 신수질에 국한된 현저한 울혈 ⑵ 우심방의 선택적인 출혈 ⑶ 뇌하수체 전엽의 괴사 6. 임상상 병 기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출현율 100% 20-40% 45-60% 98-100% 기 간 3-7일 수시간-3일 3-5일 수일-수주 3주-3개월

2. 저혈압기(Hypotensive phase) 20-40%에서 발병 3-9일에 발생.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1. 발열기(Febrile phase) 위장관 증상으로 오심, 구토, 측복통 결막과 인후에 충혈, 안면과 목, 상부 흉부에 홍조 연구개, 결막 혹은 액와에 점상출혈 림프절이 목과 액와에서 촉지 2. 저혈압기(Hypotensive phase) 20-40%에서 발병 3-9일에 발생. 저혈압은 해열과 동시 혹은 발열기말 1-2일 사이에 일어나며 단백뇨가 출현하고 혈소판 감소 1-2일 후에 발생. 위장관 증상과 출혈증상이 심해져 장기 출혈유발. 복부압통및 안검부종이 심함.

이뇨기의 시작과 더불어 신장기능이 회복되기 시작하며 단백뇨가 소실.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3. 핍뇨기(Oliguric phase) 4. 이뇨기(Diuretic phase) 이뇨기의 시작과 더불어 신장기능이 회복되기 시작하며 단백뇨가 소실. 다뇨로 체액 및 전해질의 평형장애를 유발시킬수 있으므로 이시기에 2차성 쇼크, 감염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5. 회복기(Convalescent phase)

high fever : sudden onset triad of pain : headache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6. 진단 ⑴ Clinical symptoms high fever : sudden onset triad of pain : headache eyeball pain with photophobia abdominal, back pain GI symptoms : anorexia, nausea, vomiting ⑵ Clinical signs triad of skin findings : flushing over the face, neck, anterior chest injection of the eye, palate & pharynx petechiae in the axilla, face, soft palate Bleeding signs : conjunctival hemorrhage, fine petechiae in palate Abdominal and CVA tenderness ⑶ Laboratory findings ⑷ Definitive diagnosis : Ab against Hantaan virus Ag

대부분 후유증 없이 완전 회복되며 드물게 뇌졸증의 후유증으로 신경마비, 뇌하수체 전엽부전증을 일으키게 되는 수가 있다.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7. 합병증 대부분 후유증 없이 완전 회복되며 드물게 뇌졸증의 후유증으로 신경마비, 뇌하수체 전엽부전증을 일으키게 되는 수가 있다. 8. 치명률 현재 약 5% 사인 : shock, pulmonary edema, hemorrhage, encephalopathy, sepsis 9. 치료 조기 진단 및 대증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