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경과 보고자료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지원사업 추진경과 2006. 12 한국생산성본부 수석전문위원 안 옥 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08 년부터 시작한 ‘ 글로벌 물류 SCM 컨 설턴트 ’ 라는 교육과정을 올해로 5 회째 시행 CJ 대한통운 종합물류연구소가 개발한 물류 SCM 컨설팅 방법론인 ‘M-Score’ 를 교육과 정에 추가 이 교육과정을 통해 지금까지.
Advertisement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국제공인교정기관 한국시험교정기술원. 본사 / 교정센터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60 ( 소하동, 광명테크노파크 B 동 501 호 ) TEL : ~1, FAX : ( 주 ) 한국시험교정기술원 (KTCTI) 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 주 ) 이 즈 회사소개서 ( 외주 임가공 전문업체 ) ( 주 ) 이 즈 회사소개서 ( 외주 임가공 전문업체 )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생산성경영체제 (PMS) 인증안내 문서 번호 KPC-PMS-D-01 발 행 일 (Rev.0)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한림대학교. 경영지원 직무 인사 (HRM) 교육 (HRD) 노무 (ER) HR 총무홍보법무기획 재경.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1 111 핵심직무능력향상 및 단기직무능력향상 (JUMP) 과정소개 인재개발실. 제도 소개 고용보험법에 의건 우선지원대상기업의 근로자에게 무료로 양질의 훈련기회를 제공하는 제도 동화홀딩스 및 자회사는 각사별 임직원 300 인 미만으로 우선지원대상기업에 속함 핵심직무능력향상과정.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중소기업 지원기관의 회원기업 육성을 위한 PMS 추진사례
생산성경영시스템「PMS」정부지원사업 한국형 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개정일 주요 개정내용
국내 조사 산업의 현황 장 재 섭 ACNielsen Korea.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혁신리더 양성교육 이란? 혁신리더 양성단계 구성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기업의 CRM 사례 디지털 샵 마스터과 양휘석 교수님 김동현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KHRD컨퍼런스2010 HRD컨퍼런스&엑스포 제8회 한국HRD대상 KHRD컨퍼런스2010 참가 신청서
조직 및 인력 유사분야 개발경험 업력 및 현황 투입인력 및 이력사항 Ⅶ.
신기술 장비 공모제도 LG 디스플레이는 업계, 학계 및 연구소와 긴밀하게 협업해서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3과목 데이터 분석기획 2장 분석 마스터 플랜 정훈기
생산성 Level Up을 위한 5단계 현장혁신 실무 현장이 강해야 기업이 산다!! Step 1 Step 2 ★PMS★ 정부지원
협력업체 공장혁신 전문가 양성 1차 교육 남양공업㈜ 협력업체 Level-Up을 위한 ㈜이노비즈경영컨설팅
(Workshop in Globalization & Korean Firms)
기업 경영시스템의 역량성숙도 심사·평가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경영전략 - 신규사업 신규사업 진출 Process 신규사업 추진의 최근 Trend 자문 Point 신규사업 기회탐색 성장전략
직무 공통 ·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무를 겸비한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 자기소개서, 면접 등 취업 컨설팅과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품질의 세가지 개념 김연성 (인하대 경영학부 교수).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 2007년 경영방침의 중점추진사항에 따라 설정한 부서의 경영방침중점추진계획을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성.
생산성경영시스템(PMS) 인증심사원 Work-Shop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창고사업부 회사 경영목표 부문 경영목표 관점 가중치 전년(평년) 평점실적 전년도 고객지향의 영업능력 향상 신규고객유치 재무
공급사슬 성과평가 차시명을 입력합니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1. 인재 육성의 의의 1) 인재육성 프로세스 T & D needs 결정 T & D 목표 설정 T & D 방법 선정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회사소개 리사.
OECD 평균 한국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기술보증기금.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OBIG 사업주교육 핵심 프로그램’으로 고용유지훈련을 시작하십시오!!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균형 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WISE DQ.
【기술보증기금】.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Presentation transcript:

2007년도 경영혁신 정부지원사업 설명회 순서 행사내용 1 개회 및 인사말 2 경영혁신 지원사업 경과보고 3 특 강 4 휴 식 2006년 12월 19일 14:00 ~ 17:00 순서 행사내용 1 개회 및 인사말 2 경영혁신 지원사업 경과보고 3 특 강 4 휴 식 5 ’07년 정부 지원사업 소개 6 Best Practice 발표 7 질의 응답 8 폐 회

사업경과 보고자료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혁신 지원사업 추진경과 2006. 12 한국생산성본부 수석전문위원 안 옥 현

보고순서 추진 연혁 및 법제화 체계 I 주요 추진내용 II 시범사업 수행 성과분석 III 시범사업 추진 시사점 IV

경영 전반의 컨설팅 활성화 및 시장확대를 통한 지식 서비스 산업의 성장 유도 I 추진 연혁 및 법제화 체계 1. PMS 도입 배경 혁신 주도형 성장구조로 전환 유도 혁신역량 강화 중소·중견기업의 구조적 문제인 경영시스템 혁신 소득 3만불 시대 진입 변화 대응능력 제고 부가가치 생산성 획기적 제고 대기업·공기업과 하청 중소·중견기업간 동반 경영혁신을 통해 상생협력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생산성 혁신 시스템 도입을 통해 극복 고령화·저성장 시대 대응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서비스산업 고도화 도모 경영 전반의 컨설팅 활성화 및 시장확대를 통한 지식 서비스 산업의 성장 유도

I 추진 연혁 및 법제화 체계 2. 추진연혁 2002년 : 국가생산성혁신 추진모델 연구 - 경쟁력과 생산성 혁신을 위한 ‘경영혁신 모델’ 및 ‘경영시스템 평가모델’의 듀얼시스템 [dual system] 모델 제시 - 세계산업 4강 진입을 위한 국가생산성혁신전략(안) ‘생산성혁신 10대 과제 중, 중소기업 생산성진단 및 평가인증’ 포함 2003년 : 산업발전법 개정으로 인증기관 근거 등 마련(12월) - 제22조의2 (생산성경영체제의 인증 등) 2004년 : 생산성경영체제 인증기준 개발연구(3월) : 산업발전법 시행령 개정으로 인증기업 지원 근거 등 마련(5월) : 생산성경영체제 등급평정 기준개발 연구(8월) : 산업발전법 시행규칙 개정(9월) : 제1차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시범사업 실시 - 개별기업 시범사업(‘04.10~’05.4, 10개사), (기술료 1억) : 심사원 양성과정 개발 및 제1회 심사원 양성과정 개설(10월)

I 추진 연혁 및 법제화 체계 2. 추진연혁 2005년 : 시범사업 발표회 및 공청회 개최(7월) : 제2차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시범사업 실시 - 그룹형(모기업, 협력사) 시범사업(‘05.10~’06.06, 16개사), (기술료 1억) :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운영요령 제정 고시(11월) : 한국생산성본부(KPC)를 전담기관 및 인증기관으로 지정(11월) : 2회 심사원 양성과정 개설(제2회 - 1월, 제3회 - 11월) 2006년 : 개별기업 인증지원 본 사업추진(‘06.6~’06.12, 20개사), (일반회계 2억)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경영혁신모델 시범사업 평가회(9월) - 산자부, KPC, 시범사업 참여사 등 37명 참석 : 3회 심사원 양성과정 개설(제4회 - 3월, 제5회 - 8월, 제6회 - 12월) - 현재 107명 교육수료 -> 심사원 16명

3. 법제화 체계 산 업 발 전 법 (’03. 12) 산업발전법 시행령 (’04. 5)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운영요령 I 추진 연혁 및 법제화 체계 3. 법제화 체계 산 업 발 전 법 (’03. 12) 제1조 (목적) 이 법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여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촉진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4장 (산업기술 및 생산성의 향상) 제22조의2 (생산성경영체제의 인증 등) ① 산업자원부장관은 기업의 생산성향상을 장려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생산성에 관하여 전문성이 있는 기관을 인증기관으로 지정하여 기업이 생산성향상을 위한 경영체제(이하 이 조에서 "생산성경영체제"라 한다)를 갖추고 있는지를 인증하게 할 수 있다. 산업발전법 시행령 (’04. 5)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운영요령 (’05. 11) 산업발전법 시행규칙 (’04. 9)

1. 생산성경영체제 심사기준 II 주요 추진내용 범주 기본항목 평점 범주 1 : 리더십 (100점) 1. 경영비전 30 2. 전략기획 50 3. 성과평가 20 범주 2 : 신뢰문화 (80점) 1. 노사 신뢰관계 40 2. 사회의 신뢰 3. 신뢰수준 평가 범주 3 : 혁신전개 (120점) 1. 혁신목표전개 2. 혁신관리 3. 혁신성과 평가 범주 4 : 인적자원 관리 ( 100점) 1. 업무설계와 평가보상 2. 직원 학습과 동기부여 3. 직원 복리후생 범주 5 : 고객. 시장 관리 프로세스 1. 고객•시장에 대한 이해 2. 고객과의 관계 강화 3. 고객만족 수준 평가 범주 기본항목 평점 범주 6 : 연구개발 프로세스 (120점) 1. 연구기획 50 2. 연구개발 3. 개발성과 평가 20 범주 7 : 생산운영 (100점) 1. 생산관리•생산 30 2. 구매•조달 25 3. 공급사 관리 4. 품질관리 범주 8 : 측정, 분석 및 지식관리 (60점) 1. 성과정보 측정 및 분석 2. 지식관리 3. 정보관리 10 범주 9 : 경영성과 (200점) 1. 재무 및 시장성과 2. 고객중시성과 3. 프로세스 운영성과 4. 학습과 혁신 성과 국제 비교가 가능한 역량성숙도 산출 1,000

국제비교 가능한 역량 성숙도를 산출하고 혁신과제를 제시하는 도구의 성능이 검증됨 II 주요 추진내용 2. 제1차 시범사업 10개 기업 참여 대기업 : LG 실트론, 한국중부발전, LG 마이크론, 한국남동발전 중소기업 : 선일다이파스, 에스엠시, 한라산업개발, 승일제관, 케너텍, 두온시스템 1 2 3 4 5 국내 중소기업 평균 수준 기본적인 경영시스템 보유 개선 가능한 경영시스템 보유 세계 선도기업의 경영시스템 이상적인 기업의 경영시스템 비 고 Level 1 Level 2 1단계 Level 10 5단계 Level 9 Level 8 4단계 2단계 3단계 기 업 구 분 10개 기업 심사 계 중소기업 2 중소기업 3 대기업 2, 중소기업 1 대기업 1 기 업 수 단 계 Level 7 Level 3 Level 4 Level 5 Level 6 현재 우리의 예상곡선 향후 목표곡선 (PMS 제도도입) 미국 예상곡선 (MBNQA 평가) 국제비교 가능한 역량 성숙도를 산출하고 혁신과제를 제시하는 도구의 성능이 검증됨

제1차 시범사업 시사점 변화 및 혁신의 동인으로 참여기업 CEO 대만족 기업별 20~30여 개의 혁신과제 도출, 우선순위 제시 II 주요 추진내용 제1차 시범사업 시사점 변화 및 혁신의 동인으로 참여기업 CEO 대만족 기업별 20~30여 개의 혁신과제 도출, 우선순위 제시 무엇을 하고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았다! 그러나··· 이것으로 끝인가? 혁신과정을 지원해 줄 수 없는가? 대기업 자체적 혁신수행 가능 자체적인 경영시스템 혁신 Road Map 수립 후 이행 조직에 존재하는 모든 시스템을 PMS로 통합하여 운용 공기업의 경우 협력사 평가 및 혁신 지원 제도로 활용 중소기업 혁신수행 지원 필요 혁신과제 이행에 대한 후속적인 지원이 없는가? - 혁신을 위한 지식/인력 부족 - 생산성혁신 보육(Mentor) 필요 - 정책연계를 통한 혁신지원 요청 생산성 혁신을 위한 PMS Needs는 충분 심사와 컨설팅이 선순환(先인증 後컨설팅)하는 정책지원이 필요

▣ 시범사업(최초인증심사) 기간 : 2005년 10월 ~ 2006년 6월 II 주요 추진내용 제2차 시범사업 ▣ 시범사업(최초인증심사) 기간 : 2005년 10월 ~ 2006년 6월 한국전력공사 8개사 추천 한국수력원자력 3개사 추천 한국중부발전 3개사 추천 피에스텍㈜, ㈜광성계측기, 한영전기공업㈜, ㈜동민정보통신 삼진변압기㈜, 대원전기㈜ 범한산업㈜, 우창전력㈜, 범한금속공업㈜ 청우하이드로㈜ 신일전기㈜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나노 길광그린텍㈜ ㈜성일에스아이엠 한라산업개발㈜ 한국남동발전 2개사 추천 4개 지원기업 16개 참여기업

국가 및 대기업의 체계적, 협조적 지원(소요자금, 인력 등) II 주요 추진내용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경영혁신 모델 모델의 개념 : 대기업/공기업의 협력사인 중소기업의 경쟁역량을 체계적으로 최소의 투자로 최단기간 내에 끌어 올리기 위해 경영역량을 심사/평가/인증하고 중장기적인 혁신과제를 제시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 혁신을 유도, 지원하기 위한 모델 국가 및 대기업의 체계적, 협조적 지원(소요자금, 인력 등) 혁신수행 혁신과제 내재화 사후 혁신심사 최초등급 인증심사 3년간 사이클 지속 1. 역량향상 혁신 정보 출력 2. 조직의 과제로 전환 3.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컨설팅 수행 4. 조직의 성과변화 및 역량향상 파악 인증기관 노동부, 중기청 등의 지원제도 연계 중소기업

인증심사결과 역량분포 (1차 시범인증 포함) 2 3 1 10 7 16 9 5 26 업 체 수 향후 경영역량 목표 분포도 III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인증심사결과 역량분포 (1차 시범인증 포함) 단계 1 단계 2 단계 3 단계 4 단계 5 단계 계 1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5 등급 6 등급 7 등급 8 등급 9 등급 10 등급 생산성경영체제 시범사업 2 3 1 10 상생협력 경영혁신 모델 시범사업 7 16 9 5 26 1 2 3 4 5 6 7 8 9 10 10 등급 9 등급 8 등급 7 등급 6 등급 5 등급 4 등급 3 등급 2 등급 1 등급 등급 업 체 수 향후 경영역량 목표 분포도 심사결과 기업 경영역량 분포도

III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참여 중소기업의 경영역량 분석 경영범주 리더십 신뢰문화 혁신전개 인적자원 고객시장 연구개발 생산운영 측정분석 경영성과 종합 평균평점 186 197 167 196 269 266 245 256 225 최고평점 372 340 350 278 395 442 445 317 352 최저평점 108 110 98 94 183 117 147 103 125 149 대기업 L사 고객시장, 연구개발, 생산운영 범주와 같이 부가가치 창출과 관련된 범주의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기업의 경영역량과 직결되는 리더십, 신뢰문화, 혁신전개, 인적 자원의 범주는 역량이 낮음  중소기업이 향상하여야 하는 경영역량 범주는 생산현장이 아닌 비전, 전략과 HRD에 Focus를 맞추어야 함. 시 사 점

참여 중소기업 설문분석 결과 ① 비전 및 전략 수립, ② 인적자원 관리, ③ 품질/생산관리 시스템 혁신 순으로 응답함. III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참여 중소기업 설문분석 결과 시범사업에서 심사가 완료된 업체에 대하여 혁신과제 내재화 후 설문 실시.     O 설문인원 수 : 76명 설문의 구성 - 3개 Category로 총 20개 항목     O 생산성경영체제 인증제도 관련사항 7개 항목     O 혁신필요성 인식과 관련된 사항 5개 항목     O 혁신 추진 시 필요한 지원과 관련된 사항 8개 항목 설문 참여자는 PMS 심사에서 도출된 혁신과제를 조직의 혁신과제로 내재화 하여 이행해야 한다고(96%)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시급하게 추진하여야 하는 자사의 성장 과제로는 ① 비전 및 전략 수립, ② 인적자원 관리, ③ 품질/생산관리 시스템 혁신 순으로 응답함. ⇒ 현재 중소기업은 주로 생산혁신, 공장혁신 등 현장위주의 혁신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설문 결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비전, 전략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 등 조직경영과 관련된 부분의 혁신지원이 더욱 중요함.

내재화된 혁신과제를 이행할 수 있는 경영자원의 확보율 응답 - 혁신경험 : 60% 미만 보유 - 73% III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내재화된 혁신과제를 이행할 수 있는 경영자원의 확보율 응답 - 혁신경험 : 60% 미만 보유 - 73% - 지식 : 60% 미만 보유 - 78% - 자금 : 60% 미만 보유 - 79% - 인력 : 60% 미만 보유 - 84% 자사의 경영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균 3.3년 동안 매년 약 5천만원 정도의 교육/컨설팅 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 ⇒ 중소기업 혁신에 가장 부족한 자원이 인력이므로 혁신인력 양성을 최우선 지원 하고 컨설팅도 인력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진행. 업체의 자원을 고려하여 경쟁력을 갖추는 500점 수준까지 경영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심사, 교육 및 컨설팅 선순환 비용의 70~80%정도를 지원해주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함. 상생협력 혁신활동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지원은 심사, 교육 및 컨설팅 선순환을 위해 관련 지원을 논스톱, 원스톱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정부조달 입찰 시 가점부여 등 인증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 혜택 필요성 건의.

IV 시범사업 추진 시사점 경영혁신 시범사업 추진 시사점 ❶ 경쟁력 향상은 부분적이 아닌 경영 전반의 전체적인 혁신관점으로 접근 - 연구개발 및 생산현장 개선만으로는 경영역량을 향상시키지 못함 ❷ 공급사슬 역량향상을 위해 대기업/공기업의 체계적 중소기업 지원이 중요 - 대기업/공기업 지원방침에 의해 경영혁신에 나서는 중소기업 비율이 높음 (심사 이후 혁신에 나서는 비율 : 개별기업 - 25%, 상생협력 - 50%)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정책과 대/공기업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 ❸ 경쟁력 및 역량향상에는 변화에 필요한 시간과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수반 - 체계적인 접근으로 3~5년 간 및 그 이후로도 지속적인 노력 필요 - 구체적인 경쟁력 및 역량향상에는 상당히 많은 경영자원이 수반 다수(약 50%)의 중소기업이 심사 이후 후속적인 혁신을 이행하지 못하는 이유

공급사슬의 경쟁력/변화대응능력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