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의 현장 인력양성 현황 및 추진상 미비점 - 지역수요 반영 및 인력공급 장애요인 - (재)경북테크노파크 사업단장 이 재 훈
목 차 지역대학 역할의 중요성 대내외 환경변화 지역대학의 현장인력 양성 현황 산업기술인력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목 차 지역대학 역할의 중요성 대내외 환경변화 지역대학의 현장인력 양성 현황 산업기술인력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V. 지역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VI. 성공사례연구
I. 지역대학 인력양성 교육의 중요성
지역대학 인력양성 교육의 중요성 수요중심 인력양성 지역전략산업 육성 국가균형발전 달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역할 강조 산업정책 변화에 따른 대학 역할 변화 지역전략산업 성공의 핵심 노동과 자본의 양적 투입에서 지식과 기술에 의한 혁신주도형으로 정책의 전환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핵심 변수는 인적자원의경쟁력 지역전략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 내 핵심 기술인력의 양성과 원활한 공급체계 구축이 시급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지방대학의 선택적/전략적 협력 노력의 확대 산업기술인력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의 추진 주체 양성 산학연계 활성화를 통한 우수인력의 지역 내 정착 유도 수요중심 인력양성 지역전략산업 육성 국가균형발전 달성
II. 대내외 환경변화
1. 대외적 환경 변화 대외적 환경변화 지식기반경제화에 따른 인적자원의 중요성 증가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질 중심의 인력 수요 지식과 기술로 무장한 혁신적 인적 자원이 생산성 향상을 주도 교육훈련투자에 의한 생산성 증가가 시설투자보다 2배 이상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질 중심의 인력 수요 대외적 환경변화 제조업 지식집약도 증가, 서비스산업 성장, 단순제조업 이전 단순 기능인력보다는 전문 기술직 등에 대한 인력수요 증가 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성 증가 세계화 개방화로 인한 노동력의 국가간 이동이 보편화 고급 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국가간 다국적 기업간 경쟁
2. 대내적 환경 변화 산업구조 및 인력수급의 변화 인력구조의 유연화 증대 대내적 환경변화 혁신인력 양성의 중요성 증대 고령화 및 여성 진출의 확대 혁신인력 양성의 중요성 증대 산업구조의 급속한 변화 : 경기의 양극화 현상(IT 업종 위주의 성장) 산업간, 학력간 인력수급의 구조적 불균형 심화 : 구인난 속의 구직난 계약직, 임시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확대 : 49.5%(‘03년 기준)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 증대 대내적 환경변화 노동인구의 감소 및 급속한 고령화 추세 : 인구증가율 0.7%(‘01-’10) 여성인력의 경제활동 비중이 확대 ; 취업자중 여성비율 41.6%(‘02)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달성의 핵심은 혁신 주도형 핵심인재의 양성
III. 지역대학의 인력양성 현황
1. BK21(두뇌한국21)사업 사 업 개 요 지방대학육성분야 : 13개 사업단, 38개 대학 (연간 500억 투입) 1999년부터 7개년에 걸쳐 5개 분야에 연간 2,000억원 씩 총 1조 4,000억원 투입 - 대학원 중심 대학 육성을 통한 국제적 고급 연구인력 양성 (1조 500억) : 과학기술분야, 인문사회분야, 특화분야, 핵심분야 - 지방대학육성을 통한 지방산업수요에 따른 현장인력양성(3,500억) : 지방대학육성분야 지방대학육성분야 제주(15억원), 충북(35억원), 강원(40억원), 전북(45억원), 광주,전남(65억원), 울산,경남(60억원), 부산(75억원), 대전,충남(75억원), 대구,경북(90억원) 산업단별 연간지원액 인력양성사업단 (학사과정의 학부단위, 교수/학생 전원 참여, 단독 또는 복수 대학 연합 사업단위 정보, 기계, 해양 등 지역산업 수요에 적합한 분야 지원분야 1999 ~ 2005 (7년 지원) 사업기간 산학협동 및 학사과정 내실화를 통해 지역산업 수요에 적합한 인력 양성 목 적 사 업 개 요 구분 : 13개 사업단, 38개 대학 (연간 500억 투입)
1-1. BK21의 한계 및 문제점 수도권 대학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결과를 초래 지역 산업의 수요 파악의 노력의 미흡 1 2 지역대학의 대학원생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편중 – 고급인력의 유출 지역대학의 재정 악화로 경쟁력 약화 일부 대학에 지원 대상이 한정되어, 지역대학의 다양한 특화분야 개발에 한계 2 지역 산업의 수요 파악의 노력의 미흡 지역 특화산업 수요인력의 수준 및 분야의 반영이 부족한 교육과정 개발 우수업체 발굴의 어려움 3 원활한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의 한계 현장실습, 인턴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그러나 대학의 인력양성과 기업의 인력수요를 연계시키는 시스템 구축은 여전히 미흡
2. NURI(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 사업 사 업 개 요 핵 심 목 적 성공을 위한 과제 112개 지방대학에 11개 사업단 선정 / 5년간 1조 4천 2백억원의 예산 투입 - 대형사업(지원액 : 30~50억 원) 과 중형사업(지원액 : 10~30억 원) 각각 25개 - 소형사업(지원액 : 10억 원 이하) 61개 선정 핵 심 목 적 지방대의 특성화 발전 우수한 지역 인력의 양성 및 이를 통한 지역발전 촉진 지역 혁신 체제의 토대 구축 성공을 위한 과제 BK21의 시행착오를 전제로 지역 전략산업의 분야별 인력수요를 철저히 파악 전문/기술인력양성을 위해 대학별로 다양한 특화 교육 과정 개발 지자체의 관심 및 지원의 극대화 -> 지역사회와 대학의 공동 발전
3. 산자부 산업인력양성 사업 참여 지역혁신 인력양성 사 업 현장능력 제고사업 산업현장 맞 춤 형 교 육 사 업 지역전략산업분야 우수 석/박사생 양성사업 * ’04년 산학협동 기술개발을 통해 360개 과제(1,500여명) 지원 산업현장실습 학점인정사업 참여 * ’03.2학기~’04.1학기에 9개 대학 1,000명 현장 실습 지원(229개 기업 참여) 현장능력 제고사업 산업현장 맞 춤 형 교 육 공학교육인증사업 참여 * ‘01~’03년까지 9개 대학 인증, ’04년 6개 대학 인증
IV.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1. 인력수요와 공급의 괴리(Job Mismatch) 산업구조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 및 인력양성 체계 대학별 특성 없는 동질적 구조, 교육체계 변화의 유연성 부족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실업교육 위축, 높아진 유보임금, 교육의 현장성 부족 청년·고학력 실업과 산업계 기술인력 부족의 모순 구조 ‘03년 청년실업률 7.7%, 이공계 대졸 취업률 58.5% 중소기업 인력부족 139천명, 8대 주력기간산업 기술인력부족 15천명 수요와 공급간 자동조정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 조성 필요 산업별, 학력별 기술인력 수급 현황 분석 및 전망체계 구축 지역 전략산업의 수요에 맞는 인력이 양성되도록 탄력적 교육체계 구현 ▶ 지역 전략산업에 대한 철저한 수요조사가 성공의 관건
2. 이공계 기술인력의 질적 수준 저하 경제적, 사회적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경제적, 사회적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이공계 졸업자의 평균 소득이 의료, 금융 등 다른 부문에 비해 저조 학문이 어렵고 지속적 재교육이 필요하며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도태위험 우수한 인재의 이공계 진학 기피 및 학력 수준의 저하 수능 자연계열 응시 비중 : ‘94년 45.8% → ‘02년 26.9% → ‘04년 31.5% 4개국 이과학력 평가에서 수학, 물리, 화학과목 꼴찌(일본 내각부, ‘04.7월) 이공계 촉진대책 및 교육의 질적수준 제고 노력 필요 장학금제도 확충, 해외유학, 병역특례 등 각종 지원대책의 지속적 추진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 ▶ 이공계에 대한 투자확대 및 인식제고를 위한 문화확산정책 추진 필요
2-1. 대학교육의 국제경쟁력(IMD, 2002) 대학교육의 국제경쟁력 비교(2002) 국가경쟁력 고등교육 이수율 R&D 인력 규모 양질의 기술인력 교육 시스템 대학교육 한 국 27 6 21 33 32 41 싱가포르 5 14 13 4 핀 란 드 2 3 1 ○ 자료: IMD(2002). ※ 주: OECD 30개국을 포함한 총 49개국 중 순위. ○ 고학력 국가의 위상에 맞지 않게 교육의 질적 경쟁력은 여전히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국가간 경쟁력 비교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이수율은 최상위권이고, 국민 1인당 R&D 인력 규모도 중위권이나, ▶ 교육시스템과 대학교육의 경쟁력 등 질적인 면에서는 하위권을 기록 ▶ 일반적으로 고등교육 이수율과 대학교육의 경쟁력, 국가경쟁력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
3. 산업기술인력의 질적 불균형(Skill Mismatch) - 대학 교육에 대한 산업계의 불만 수요자인 산업계 요구의 현실적 반영이 아직 미흡 교육 및 학사 운영과정에서 산학협력체제 도입의 미흡 수요자인 산업계와 공급자인 학교간 자율적 협력기구 부재 학교 교육에 대한 산업계 불만 증대 및 인력개발 중복 투자 초래 신입사원의 지식과 기술수준은 필요 수준의 26%(전경련, ‘02.12월) 산업계의 재교육 투자 : 1인당 2년간 1천만원, 산업계 전체 2.8조원/연 주요 기업의 경력직 채용비중 : ‘97년 40.7% → ’02년 81.8% 산학연계에 의한 교육현장의 혁신을 촉진·지원 공과대학 중심으로 산·학 협력에 특화된 산학협력중심대학을 집중 육성 우수한 산학협력 교육모델을 전국 공과대학으로 확산·보급 ▶ 기업과 대학간의 산학연계 채널 확대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기능의 강화
3-1. 대학 인력양성교육에 대한 평가 대학의 역할에 대한 기대 및 평가 이공계 대학교육의 문제점 기업 대학 수도권 지방 교과과정 낙후 3.16 2.50 2.72 사례교육 부족 3.35 2.92 2.94 실험실습여건 3.21 3.39 3.11 산학교류 미흡 3.19 3.22 3.27 교수의 현장감 3.07 2.59 교수 혁신노력 3.02 2.25 2.41 학사관리 미흡 2.71 2.11 2.30 ○ 자료: 산업연구원(2002). ※ 주: 4점 척도 (1=심각하지 않음, 4=매우 심각) ○ 자료: 산업연구원 정진화 외 (2002). ○ 대학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기업과 대학이 비슷하나, 평가는 크게 다름 ○ 대학교육의 현주소에 대한 기업과 대학간의 인식 차이의 해소가 필요 ○ 이공계 대학교육에 대한 비판은 산업현장과 괴리된 교육내용에 집중됨 ○ 사례교육 부족, 실험실습여건 미흡, 대학과 산업체간 교류 미흡 등 대학 교육의 현실성 결여가 주요 비판 대상임
4. 산업기술인력의 지역적 불균형 수도권으로의 경제력, 인적자원의 과도한 편중 수도권으로의 경제력, 인적자원의 과도한 편중 수도권 GRDP 비중이 47.8%, 인구 비중은 46.7%로 탈 지방화 현상 고착화 1996년 대학설립준칙주의에 의한 양적인 팽창에 불구하고 질적 발전은 미흡 산업기술인력의 지역간 격차로 지역균형발전 추진에 장애 우수한 학생의 지방대학 외면 및 신입생 충원률 저하 등으로 지방대 위기 도래 수도권과 대전의 연구개발 비중(‘02) : 연구비 74.3%, 연구인력 67.1% 지역전략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 내 핵심 기술인력의 양성과 활용 시급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지방대학에 대한 선택적 · 전략적 지원 확대 ▶ 지방대학이 지역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 마련
4-1. 인력양성에 있어 대학의 어려움 인력양성에서 기대되는 기업의 역할 (%) 기업 대학 수도권 지방 교과과정 개발 15.6 9.1 18.8 인력수요정보 14.3 6.1 14.5 현장실습기회 23.1 42.4 39.1 교수파견 지원 6.8 12.1 20.3 기업인 대학강의 8.0 0.0 13.0 시설/설비지원 14.6 21.2 27.5 장학금 지원 4.2 24.2 15.9 연구개발협력 41.8 48.5 37.7 ○ 자료: 산업연구원(2002). ※ 주: 복수응답. ○ 대학은 수도권이나 지방 모두 현장실습기회 제공과 연구개발협력에 대해 기업체에 기대 ○ 그러나, 기업체는 연구개발 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장실습기회 제공에 있어 소극적 ○ 비교적 영세하고 보수적인 지방 에서 인턴쉽, 현장교육 등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할 기업체를 확보하는데 지역대학의 어려움이 있음
V. 지역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 테크노파크의 역할을 중심으로
1. 산업기술인력양성의 중장기 비전 R I S U I S 수요자 중심 산학 협력 공급자 중심 지역 균형 발전 이론 위주 지역전략산업의 수요를 반영한 산업기술인력양성 국민소득 2만불 시대 특화된 인력 수요자 중심 산학 협력 지역 균형 발전 R I S U I S 수도권 편중 범용 인력 공급자 중심 이론 위주 산학 연계
2. 산학연계에 의한 인력양성 시스템의 필요성 산업기술인력 수급 효율화를 위해서는 선 순환 구조의 정착 필요 ○ 우수한 인력의 이공계 유입 유도 (이공계 기피현상의 해소) ○ 대학에서는 양질의 교육으로 우수 인력을 양성(대학교육 개혁) ○ 대학졸업자가 산업현장으로 유입되어 산업경쟁력 제고(인력수급 매치) 산학연계에 의한 수요 중심의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필요 ○ 현행 산업기술인력 양성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산업현장의 인력수요와 대학의 인력양성의 괴리 ○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성공의 관건 ○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 및 정부차원의 교육여건 개선과 교육규제 개혁 의지 23
3. 인력양성 시스템에 있어 테크노파크의 역할 정 부 공급자 = 대학 수요자 = 기업 산업인력양성 협의체로서의 TP Framework 정비 자금지원 (중앙 및 지방정부) 공급자 = 대학 수요자 = 기업 산업인력양성 협의체로서의 TP 철저한 수요조사에 의한 교육개발 현장교육기회 제공 민간자금 투자 소요인력에 대한 적극적 주문 현장교육기회 제공 민간자금 투자 기업과 대학의 코디네이터 역할 수행 지역전략산업 인적자원개발 전략수립 산학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4. 경북테크노파크의 Role Model Investor Customer Creator User Governor 지역금융강화 지역사회 다양한 발전 지역사회 지역금융 Investor Customer 자금/컨설팅 벤처캐피탈 자금/인력 고용창출 대 학 기술/인력 기술/인력/시설/자금 우수인력 양성 및 공급 기능 강화 기업체 지역전략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자금/시설 Creator 기업수요 User 자금/제도 정책수요 산업기술인력양성 시스템의 코디네이터 지방정부 정책수요 중앙정부 Governor 자금/제도 지역경쟁력 강화
VI. 사례연구 - 영진전문대학 주문식교육
1. 주문식 교육 시스템 대학 교육과정 개발 전문인력 양성 인력+장비+기술 소요인력 주문 교육내용 주문 산업체 졸업 계열별 모집 전공심화교육 전공능력인증제 졸업인증제 현장실무능력 교수 강의 첨단고가장비 활용실무교육 현장실습 졸업작품전 Project 수업 1인 1기 적성능력개발 학생 Sales- Point 개발 전공연구회, 스터디 그룹 졸업 취업 졸업생 리콜, 평생교육 11년 연속 취업률 90% 이상 (재직증명서에 근거) 산학협력위원 심화교육자문위원 교재개발 인력+장비+기술 설계/생산/품질 Total Solution 지원 체제 구축 산학 컨소시엄 및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 전담교수 산업체 기술지도 및 컨설팅 기술교육 벤처 창업지원 소요인력 주문 교육내용 주문 산업체
2. 주문식 교육 협력 업체 협약 업체 일 자 비 고 ㈜하이닉스반도체 ’04. 6. 2 반도체장비전공 40명 대구지방세무사회 반도체장비전공 40명 대구지방세무사회 ’04. 6. 17 회계금융전공 40명 Siemens Ltd. Seoul ’04. 8. 9 인턴프로그램 대구유치원연합회 ’04. 8. 20 창의성교육전공 80명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04. 8. 23 외식경영전공 40명 ㈜호텔현대 ’04. 8. 26 호텔외식서비스전공 40명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 ’04. 8. 30 기계설계전공 20명 LG전자㈜ 고객서비스부문 ’04. 9. 7 전자정보기기서비스전공 20명 대신정보통신㈜ ’04. 9. 16 데이터베이스전공 10명 넥스원퓨처㈜ ’04. 9. 21 전자정보기기전공 15명 대한전문건설협회 대구시회 건축시스템전공 40명 세크론㈜ ’04. 10. 20 컴퓨터오토메이션전공 10명
3. 주문식 교육 성과 협 력 성 과 지원산업체수 지 원 건 수 지원산업체수 : 938개 업체, 지원건수 : 2,122건 특허출원 : 31건 산업체 기자재 기증 수탁 : 1,429억원 산학연 전국대회 대통령상 수상 (2002년) 산학공동기술개발 : 산학연 컨소시엄 공동개발, 기술혁신 사업 등 83건(기술개발 : 21억 1,180만원) 지원산업체수 총 지원산업체 수 : 938개 업체 지 원 건 수 총 지원건수 : 2,122건
4. 영진전문대학 성공요인 지역 전략산업 육성 풍부한 인적 자원 풍부한 물적 자원 풍부한 산학 협력 확고한 사업 의지 : 산업체 경력이 풍부한 우수 교수진 확보 (신규 채용시 필수) - 삼성, 현대, LG 등의 대기업 및 유명기업 5년 이상 산업체경력 교수 123명(전체 교수의 69.8%) - 프로젝트 전담 교수 21명 풍부한 물적 자원 : 지역 중소산업체에서 구하기 힘든 첨단장비 공동활용 - 쾌속 조형기, 진공 주형기, SMT, 3차원측정기, 3D Laser Scanner, 5축 고속가공기 등 473종 1,465점 지역 전략산업 육성 풍부한 산학 협력 : 결연 업체수 1,499 결연 위원수 3,199 심화 자문위원수 637 확고한 사업 의지 : 산학협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주문식 교육의 창안, 보급 및 지속적인 산학협동 관련 시스템들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TIC, TP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