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의 현장 인력양성 현황 및 추진상 미비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컴퓨터공학과. 이세돌 vs 인공지능 알파고 컴퓨터공학과 인생은 실험과 도전의 연속 인생은 실험과 도전의 연속.
Advertisements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2014 하반기 대졸 신입 / 인턴 / 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분류세부직무신입인턴장학생관련전공 R&D 설계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CAE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소자 반도체,
취업을 위한 STP 전략 나노공학부 발표일 : B 조 조원 : 전문수 김민겸 김희삼 송원주 안태경.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LG 스마트융합공학과 산학장학생 지원서 m 인적사항 m 석사 연구실 ( 예정 ) m 학력사항 m 병역사항 m 어학 · 자격사항 및 해외여행 경험 m 경력사항 성명 ( 한글 ) ( 한자 ) ( 영문 ) 자택전화 휴대전화 생년월일 주소 재학구분혼인여부보훈여부 분야.
구 분구 분사례수 ( 명 ) 비율 (%)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2, 성별 남성 여성 1, 연령별 19~20 대 대 대 대 대 이상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2011 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1 Ⅰ. 조사 설계 제 1 장. 조사 개요 구분 업무별 조사설계 환경산업분야해외진출 ( 수출 ) 지원분야 환경 R&D 분야 환경인증평가 녹색경영 분야 환경정보 분야 환경벤처 기업육성 환경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자금.
산학협력 활성화 대책 (목).
서강대-하이닉스『SoHy II』프로그램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2015 하반기 장애학생 수시채용 recruit.skhynix.com 분류 세부직무 신입 장학생 관련전공 R&D 공정 O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MOVE 2020 (MNU Opens Valued Era)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인재양성 사업단 화학공학 사업단장 설용건 BK 산학연사업 우수사례 연세대 화공사업단
설문조사의 개요 전문대학의 현실 1 전문대학 ‘특성화’에 대한 인식 2 정부의 전문대학 특성화 지원사업 성과 3
SCM의 정의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관리망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졸업인증제 시행공고 컴퓨터응용기계계열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두뇌유출지수 경영학부 홍석민.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산학협력방안 소개
2014 하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분류 세부직무 신입 인턴 장학생
2013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상시 채용) 상시 채용 입사지원서 접수방법 모집내용 근무조건 구분 주요수행업무 자격요건 Operator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2017학년도 기계공학부 하계방학 프로그램 안내 (월) 18:30~19:00 / 소강당.
Korea Industrial Technology Foundation
입학이 곧 취업입니다. "2017년 자동차ㆍ가전금형설계과정 모집" 광주지역 금형기술의 메카 “사단법인 한국금형산업진흥회”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부천지역의 중소기업 육성과 인적자원개발 사업의 발전방향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2019년도 과정평가형자격 도입 훈련과정 개발방법 안내.
직무 공통 ·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무를 겸비한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 자기소개서, 면접 등 취업 컨설팅과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3-2학기 종료 동계방학 시점에서 취업준비 정보통신공학부 안병철 교수.
주요 패턴 (한)문화방송 14 HY울릉도M 13 [ Bottom-Up ] 휴먼새내기체 12 [ Top-Down ]
IT 교육계획 투핸테크㈜.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글로컬 특화관광 인재 양성의 허브 ◉ 관광경영학과 체계도 관광경영학 글로벌 특화인력 양성 관광혁신 인력 양성 특화인력 양성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KOREA NAZARENE UNIVERSITY
만나교회 장학생 프레젠테이션 지침 및 평가 방안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2016년도 이공계전문기술교육 연수생 모집 TCT 프로그램이란? 【교육생 80% 이상 정규직 취업】
정부장학금 받아 유학가기 (수).
Presentation transcript:

지역대학의 현장 인력양성 현황 및 추진상 미비점 - 지역수요 반영 및 인력공급 장애요인 - (재)경북테크노파크 사업단장 이 재 훈

목 차 지역대학 역할의 중요성 대내외 환경변화 지역대학의 현장인력 양성 현황 산업기술인력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목 차 지역대학 역할의 중요성 대내외 환경변화 지역대학의 현장인력 양성 현황 산업기술인력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V. 지역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VI. 성공사례연구

I. 지역대학 인력양성 교육의 중요성

지역대학 인력양성 교육의 중요성 수요중심 인력양성 지역전략산업 육성 국가균형발전 달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역할 강조 산업정책 변화에 따른 대학 역할 변화 지역전략산업 성공의 핵심 노동과 자본의 양적 투입에서 지식과 기술에 의한 혁신주도형으로 정책의 전환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핵심 변수는 인적자원의경쟁력 지역전략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 내 핵심 기술인력의 양성과 원활한 공급체계 구축이 시급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지방대학의 선택적/전략적 협력 노력의 확대 산업기술인력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의 추진 주체 양성 산학연계 활성화를 통한 우수인력의 지역 내 정착 유도 수요중심 인력양성 지역전략산업 육성 국가균형발전 달성

II. 대내외 환경변화

1. 대외적 환경 변화 대외적 환경변화 지식기반경제화에 따른 인적자원의 중요성 증가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질 중심의 인력 수요 지식과 기술로 무장한 혁신적 인적 자원이 생산성 향상을 주도 교육훈련투자에 의한 생산성 증가가 시설투자보다 2배 이상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질 중심의 인력 수요 대외적 환경변화 제조업 지식집약도 증가, 서비스산업 성장, 단순제조업 이전 단순 기능인력보다는 전문 기술직 등에 대한 인력수요 증가 인적자원의 국제적 이동성 증가 세계화 개방화로 인한 노동력의 국가간 이동이 보편화 고급 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국가간 다국적 기업간 경쟁

2. 대내적 환경 변화 산업구조 및 인력수급의 변화 인력구조의 유연화 증대 대내적 환경변화 혁신인력 양성의 중요성 증대 고령화 및 여성 진출의 확대 혁신인력 양성의 중요성 증대 산업구조의 급속한 변화 : 경기의 양극화 현상(IT 업종 위주의 성장) 산업간, 학력간 인력수급의 구조적 불균형 심화 : 구인난 속의 구직난 계약직, 임시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확대 : 49.5%(‘03년 기준)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 증대 대내적 환경변화 노동인구의 감소 및 급속한 고령화 추세 : 인구증가율 0.7%(‘01-’10) 여성인력의 경제활동 비중이 확대 ; 취업자중 여성비율 41.6%(‘02)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달성의 핵심은 혁신 주도형 핵심인재의 양성

III. 지역대학의 인력양성 현황

1. BK21(두뇌한국21)사업 사 업 개 요 지방대학육성분야 : 13개 사업단, 38개 대학 (연간 500억 투입) 1999년부터 7개년에 걸쳐 5개 분야에 연간 2,000억원 씩 총 1조 4,000억원 투입 - 대학원 중심 대학 육성을 통한 국제적 고급 연구인력 양성 (1조 500억) : 과학기술분야, 인문사회분야, 특화분야, 핵심분야 - 지방대학육성을 통한 지방산업수요에 따른 현장인력양성(3,500억) : 지방대학육성분야 지방대학육성분야 제주(15억원), 충북(35억원), 강원(40억원), 전북(45억원), 광주,전남(65억원), 울산,경남(60억원), 부산(75억원), 대전,충남(75억원), 대구,경북(90억원) 산업단별 연간지원액 인력양성사업단 (학사과정의 학부단위, 교수/학생 전원 참여, 단독 또는 복수 대학 연합 사업단위 정보, 기계, 해양 등 지역산업 수요에 적합한 분야 지원분야 1999 ~ 2005 (7년 지원) 사업기간 산학협동 및 학사과정 내실화를 통해 지역산업 수요에 적합한 인력 양성 목 적 사 업 개 요 구분 : 13개 사업단, 38개 대학 (연간 500억 투입)

1-1. BK21의 한계 및 문제점 수도권 대학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결과를 초래 지역 산업의 수요 파악의 노력의 미흡 1 2 지역대학의 대학원생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편중 – 고급인력의 유출 지역대학의 재정 악화로 경쟁력 약화 일부 대학에 지원 대상이 한정되어, 지역대학의 다양한 특화분야 개발에 한계 2 지역 산업의 수요 파악의 노력의 미흡 지역 특화산업 수요인력의 수준 및 분야의 반영이 부족한 교육과정 개발 우수업체 발굴의 어려움 3 원활한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의 한계 현장실습, 인턴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그러나 대학의 인력양성과 기업의 인력수요를 연계시키는 시스템 구축은 여전히 미흡

2. NURI(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 사업 사 업 개 요 핵 심 목 적 성공을 위한 과제 112개 지방대학에 11개 사업단 선정 / 5년간 1조 4천 2백억원의 예산 투입 - 대형사업(지원액 : 30~50억 원) 과 중형사업(지원액 : 10~30억 원) 각각 25개 - 소형사업(지원액 : 10억 원 이하) 61개 선정 핵 심 목 적 지방대의 특성화 발전 우수한 지역 인력의 양성 및 이를 통한 지역발전 촉진 지역 혁신 체제의 토대 구축 성공을 위한 과제 BK21의 시행착오를 전제로 지역 전략산업의 분야별 인력수요를 철저히 파악 전문/기술인력양성을 위해 대학별로 다양한 특화 교육 과정 개발 지자체의 관심 및 지원의 극대화 -> 지역사회와 대학의 공동 발전

3. 산자부 산업인력양성 사업 참여 지역혁신 인력양성 사 업 현장능력 제고사업 산업현장 맞 춤 형 교 육 사 업 지역전략산업분야 우수 석/박사생 양성사업 * ’04년 산학협동 기술개발을 통해 360개 과제(1,500여명) 지원 산업현장실습 학점인정사업 참여 * ’03.2학기~’04.1학기에 9개 대학 1,000명 현장 실습 지원(229개 기업 참여) 현장능력 제고사업 산업현장 맞 춤 형 교 육 공학교육인증사업 참여 * ‘01~’03년까지 9개 대학 인증, ’04년 6개 대학 인증

IV.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실과 대학교육의 문제점

1. 인력수요와 공급의 괴리(Job Mismatch) 산업구조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 및 인력양성 체계 대학별 특성 없는 동질적 구조, 교육체계 변화의 유연성 부족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실업교육 위축, 높아진 유보임금, 교육의 현장성 부족   청년·고학력 실업과 산업계 기술인력 부족의 모순 구조 ‘03년 청년실업률 7.7%, 이공계 대졸 취업률 58.5% 중소기업 인력부족 139천명, 8대 주력기간산업 기술인력부족 15천명 수요와 공급간 자동조정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 조성 필요 산업별, 학력별 기술인력 수급 현황 분석 및 전망체계 구축 지역 전략산업의 수요에 맞는 인력이 양성되도록 탄력적 교육체계 구현 ▶ 지역 전략산업에 대한 철저한 수요조사가 성공의 관건

2. 이공계 기술인력의 질적 수준 저하 경제적, 사회적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경제적, 사회적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이공계 졸업자의 평균 소득이 의료, 금융 등 다른 부문에 비해 저조 학문이 어렵고 지속적 재교육이 필요하며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도태위험   우수한 인재의 이공계 진학 기피 및 학력 수준의 저하 수능 자연계열 응시 비중 : ‘94년 45.8% → ‘02년 26.9% → ‘04년 31.5% 4개국 이과학력 평가에서 수학, 물리, 화학과목 꼴찌(일본 내각부, ‘04.7월) 이공계 촉진대책 및 교육의 질적수준 제고 노력 필요 장학금제도 확충, 해외유학, 병역특례 등 각종 지원대책의 지속적 추진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 ▶ 이공계에 대한 투자확대 및 인식제고를 위한 문화확산정책 추진 필요

2-1. 대학교육의 국제경쟁력(IMD, 2002) 대학교육의 국제경쟁력 비교(2002) 국가경쟁력 고등교육 이수율 R&D 인력 규모 양질의 기술인력 교육 시스템 대학교육 한 국 27 6 21 33 32 41 싱가포르 5 14 13 4 핀 란 드 2 3 1 ○ 자료: IMD(2002). ※ 주: OECD 30개국을 포함한 총 49개국 중 순위. ○ 고학력 국가의 위상에 맞지 않게 교육의 질적 경쟁력은 여전히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국가간 경쟁력 비교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이수율은 최상위권이고, 국민 1인당 R&D 인력 규모도 중위권이나, ▶ 교육시스템과 대학교육의 경쟁력 등 질적인 면에서는 하위권을 기록 ▶ 일반적으로 고등교육 이수율과 대학교육의 경쟁력, 국가경쟁력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

3. 산업기술인력의 질적 불균형(Skill Mismatch) - 대학 교육에 대한 산업계의 불만  수요자인 산업계 요구의 현실적 반영이 아직 미흡 교육 및 학사 운영과정에서 산학협력체제 도입의 미흡 수요자인 산업계와 공급자인 학교간 자율적 협력기구 부재  학교 교육에 대한 산업계 불만 증대 및 인력개발 중복 투자 초래 신입사원의 지식과 기술수준은 필요 수준의 26%(전경련, ‘02.12월) 산업계의 재교육 투자 : 1인당 2년간 1천만원, 산업계 전체 2.8조원/연 주요 기업의 경력직 채용비중 : ‘97년 40.7% → ’02년 81.8% 산학연계에 의한 교육현장의 혁신을 촉진·지원 공과대학 중심으로 산·학 협력에 특화된 산학협력중심대학을 집중 육성 우수한 산학협력 교육모델을 전국 공과대학으로 확산·보급 ▶ 기업과 대학간의 산학연계 채널 확대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기능의 강화

3-1. 대학 인력양성교육에 대한 평가 대학의 역할에 대한 기대 및 평가 이공계 대학교육의 문제점 기업 대학 수도권 지방 교과과정 낙후 3.16 2.50 2.72 사례교육 부족 3.35 2.92 2.94 실험실습여건 3.21 3.39 3.11 산학교류 미흡 3.19 3.22 3.27 교수의 현장감 3.07 2.59 교수 혁신노력 3.02 2.25 2.41 학사관리 미흡 2.71 2.11 2.30 ○ 자료: 산업연구원(2002). ※ 주: 4점 척도 (1=심각하지 않음, 4=매우 심각) ○ 자료: 산업연구원 정진화 외 (2002). ○ 대학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기업과 대학이 비슷하나, 평가는 크게 다름 ○ 대학교육의 현주소에 대한 기업과 대학간의 인식 차이의 해소가 필요 ○ 이공계 대학교육에 대한 비판은 산업현장과 괴리된 교육내용에 집중됨 ○ 사례교육 부족, 실험실습여건 미흡, 대학과 산업체간 교류 미흡 등 대학 교육의 현실성 결여가 주요 비판 대상임

4. 산업기술인력의 지역적 불균형 수도권으로의 경제력, 인적자원의 과도한 편중  수도권으로의 경제력, 인적자원의 과도한 편중 수도권 GRDP 비중이 47.8%, 인구 비중은 46.7%로 탈 지방화 현상 고착화 1996년 대학설립준칙주의에 의한 양적인 팽창에 불구하고 질적 발전은 미흡   산업기술인력의 지역간 격차로 지역균형발전 추진에 장애 우수한 학생의 지방대학 외면 및 신입생 충원률 저하 등으로 지방대 위기 도래 수도권과 대전의 연구개발 비중(‘02) : 연구비 74.3%, 연구인력 67.1% 지역전략산업의 육성을 위한 지역 내 핵심 기술인력의 양성과 활용 시급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지방대학에 대한 선택적 · 전략적 지원 확대 ▶ 지방대학이 지역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 마련

4-1. 인력양성에 있어 대학의 어려움 인력양성에서 기대되는 기업의 역할 (%) 기업 대학 수도권 지방 교과과정 개발 15.6 9.1 18.8 인력수요정보 14.3 6.1 14.5 현장실습기회 23.1 42.4 39.1 교수파견 지원 6.8 12.1 20.3 기업인 대학강의 8.0 0.0 13.0 시설/설비지원 14.6 21.2 27.5 장학금 지원 4.2 24.2 15.9 연구개발협력 41.8 48.5 37.7 ○ 자료: 산업연구원(2002). ※ 주: 복수응답. ○ 대학은 수도권이나 지방 모두 현장실습기회 제공과 연구개발협력에 대해 기업체에 기대 ○ 그러나, 기업체는 연구개발 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장실습기회 제공에 있어 소극적 ○ 비교적 영세하고 보수적인 지방 에서 인턴쉽, 현장교육 등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할 기업체를 확보하는데 지역대학의 어려움이 있음

V. 지역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 테크노파크의 역할을 중심으로

1. 산업기술인력양성의 중장기 비전 R I S U I S 수요자 중심 산학 협력 공급자 중심 지역 균형 발전 이론 위주 지역전략산업의 수요를 반영한 산업기술인력양성 국민소득 2만불 시대 특화된 인력 수요자 중심 산학 협력 지역 균형 발전 R I S U I S 수도권 편중 범용 인력 공급자 중심 이론 위주 산학 연계

2. 산학연계에 의한 인력양성 시스템의 필요성 산업기술인력 수급 효율화를 위해서는 선 순환 구조의 정착 필요 ○ 우수한 인력의 이공계 유입 유도 (이공계 기피현상의 해소) ○ 대학에서는 양질의 교육으로 우수 인력을 양성(대학교육 개혁) ○ 대학졸업자가 산업현장으로 유입되어 산업경쟁력 제고(인력수급 매치) 산학연계에 의한 수요 중심의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필요 ○ 현행 산업기술인력 양성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산업현장의 인력수요와 대학의 인력양성의 괴리 ○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성공의 관건 ○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 및 정부차원의 교육여건 개선과 교육규제 개혁 의지 23

3. 인력양성 시스템에 있어 테크노파크의 역할 정 부 공급자 = 대학 수요자 = 기업 산업인력양성 협의체로서의 TP Framework 정비 자금지원 (중앙 및 지방정부) 공급자 = 대학 수요자 = 기업 산업인력양성 협의체로서의 TP 철저한 수요조사에 의한 교육개발 현장교육기회 제공 민간자금 투자 소요인력에 대한 적극적 주문 현장교육기회 제공 민간자금 투자 기업과 대학의 코디네이터 역할 수행 지역전략산업 인적자원개발 전략수립 산학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4. 경북테크노파크의 Role Model Investor Customer Creator User Governor 지역금융강화 지역사회 다양한 발전 지역사회 지역금융 Investor Customer 자금/컨설팅 벤처캐피탈 자금/인력 고용창출 대 학 기술/인력 기술/인력/시설/자금 우수인력 양성 및 공급 기능 강화 기업체 지역전략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자금/시설 Creator 기업수요 User 자금/제도 정책수요 산업기술인력양성 시스템의 코디네이터 지방정부 정책수요 중앙정부 Governor 자금/제도 지역경쟁력 강화

VI. 사례연구 - 영진전문대학 주문식교육

1. 주문식 교육 시스템 대학 교육과정 개발 전문인력 양성 인력+장비+기술 소요인력 주문 교육내용 주문 산업체 졸업 계열별 모집 전공심화교육 전공능력인증제 졸업인증제 현장실무능력 교수 강의 첨단고가장비 활용실무교육 현장실습 졸업작품전 Project 수업 1인 1기 적성능력개발 학생 Sales- Point 개발 전공연구회, 스터디 그룹 졸업 취업 졸업생 리콜, 평생교육 11년 연속 취업률 90% 이상 (재직증명서에 근거) 산학협력위원 심화교육자문위원 교재개발 인력+장비+기술 설계/생산/품질 Total Solution 지원 체제 구축 산학 컨소시엄 및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 전담교수 산업체 기술지도 및 컨설팅 기술교육 벤처 창업지원 소요인력 주문 교육내용 주문 산업체

2. 주문식 교육 협력 업체 협약 업체 일 자 비 고 ㈜하이닉스반도체 ’04. 6. 2 반도체장비전공 40명 대구지방세무사회 반도체장비전공 40명 대구지방세무사회 ’04. 6. 17 회계금융전공 40명 Siemens Ltd. Seoul ’04. 8. 9 인턴프로그램 대구유치원연합회 ’04. 8. 20 창의성교육전공 80명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04. 8. 23 외식경영전공 40명 ㈜호텔현대 ’04. 8. 26 호텔외식서비스전공 40명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 ’04. 8. 30 기계설계전공 20명 LG전자㈜ 고객서비스부문 ’04. 9. 7 전자정보기기서비스전공 20명 대신정보통신㈜ ’04. 9. 16 데이터베이스전공 10명 넥스원퓨처㈜ ’04. 9. 21 전자정보기기전공 15명 대한전문건설협회 대구시회 건축시스템전공 40명 세크론㈜ ’04. 10. 20 컴퓨터오토메이션전공 10명

3. 주문식 교육 성과 협 력 성 과 지원산업체수 지 원 건 수 지원산업체수 : 938개 업체, 지원건수 : 2,122건 특허출원 : 31건 산업체 기자재 기증 수탁 : 1,429억원 산학연 전국대회 대통령상 수상 (2002년) 산학공동기술개발 : 산학연 컨소시엄 공동개발, 기술혁신 사업 등 83건(기술개발 : 21억 1,180만원) 지원산업체수 총 지원산업체 수 : 938개 업체 지 원 건 수 총 지원건수 : 2,122건

4. 영진전문대학 성공요인 지역 전략산업 육성 풍부한 인적 자원 풍부한 물적 자원 풍부한 산학 협력 확고한 사업 의지 : 산업체 경력이 풍부한 우수 교수진 확보 (신규 채용시 필수) - 삼성, 현대, LG 등의 대기업 및 유명기업 5년 이상 산업체경력 교수 123명(전체 교수의 69.8%) - 프로젝트 전담 교수 21명 풍부한 물적 자원 : 지역 중소산업체에서 구하기 힘든 첨단장비 공동활용 - 쾌속 조형기, 진공 주형기, SMT, 3차원측정기, 3D Laser Scanner, 5축 고속가공기 등 473종 1,465점 지역 전략산업 육성 풍부한 산학 협력 : 결연 업체수 1,499 결연 위원수 3,199 심화 자문위원수 637 확고한 사업 의지 : 산학협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주문식 교육의 창안, 보급 및 지속적인 산학협동 관련 시스템들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TIC, TP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