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PROPOSAL 의정부시의회 HD 중계시스템. 1. 영상시스템 계획 2. 영상시스템 구축방안 고화질 영상 시연이 가능하다 어떠한 행사시 에도 방송 중계 시스템을 사용 할수 있다. 미래지향적인 Digital Technology 추세에 부응하고 실시간.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디지털 영상 제작 - CF 분석 - 멀티미디어공학과 김만호부.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실험 1 오실로스코프 목적 오실로스코프 작동원리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적용 R-C 회로 주파수 특성 측정.
관광 스마트 북 발행 제안 OSMD( One Source Multi Device ).
순차, 조건, 반복 이점숙 같은 문제 다르게 해결하기 순차, 조건, 반복 이점숙
과학과 감성이 공존하는 꿈꾸는 영화 공작소.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인터뷰 Interview 누구나 영상제작교실 6차시.
Entity Relationship Diagram
신호처리 실험 (Signal Processing Lab)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공차 및 끼워맞춤.
1-1 일과 일률.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D / K / I / T / E / C / H / N / O / L / O / G / Y
홈페이지용 그림 활용법 그림 삽입 태그 <IMG> 배경 그림 다루기 그림과 문자열의 어울림
학습목표 학습목차 다른 홈페이지의 HTML 파일 코드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제 1장.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요.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이미지 포렌식 작성자: liberte97.
7가지 방법 PowerPoint에서 공동 작업하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편집 작업 중인 사용자 보기
마인드 맵.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20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1_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시작.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인체 대 탐험 3D GAME ENGINE 게임 공학과 이성진.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2 안누 팔라쿤나투 매튜
웹사이트 분석과 설계 (화면 설계) 학번: 성명: 박준석.
CAD 실습 2013년 2학기.
10차시_방송 프로그램 제작 촬영 하기.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텍스트 샘플 텍스트
영상언어의 이해 – 촬영을 중심으로 누구나 영상 제작 교실 (4차시) 영상 언어의 이해(촬영) 콘티 작성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SNS 광고 시안 [Facebook – 이미지 제작]
소리 편집 안 재 형.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 2D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임희영.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 그리드 시스템.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2D 게임 프로그래밍 제안서 김보명.
상관계수.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2D Game Programming 1차 발표 배강산.
김덕용 게임 엔진론 Project 2차발표.
학 습 목 표 1. 밑그림에 따라 채색할 수 있다. 2. 전체적인 색의 분위기와 조화를 생각할 수 있다.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나의 꿈 발표 6학년3반 이서은.
공예염색과정 형지스크린 Craft dyeing course paper stencil printing.
BoardGame 보드게임 따라가기.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학과 : e-biz 경영학과 2-2 학번 : 이름 : 이재섭.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Presentation transcript:

-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1. 카메라 워크의 의미 좋은 영상은 시청자의 상상력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제작자 혼자만이 이해할 수 있고, 알고 있는 표현은 의미가 없다. 진부한 영상은 시청자를 식상하게 하여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다. 영상은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작품에 몰입하도록 하면서도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워크의 분석이 필요하다. 카메라 워크를 단순히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가정용 홈비디오에서나 통하는 단편적인 사고에 지나지 않는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넓은 의미의 카메라 워크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총체적으로 포괄 하는 개념이다. 피사체의 선택 피사체가 제작의도에 적합한가? 샷의 내용을 만족시키고 있는가? 카메라의 위치 피사체를 가장 적합하게 묘사할 수 있는 카메라의 위치는 어디일까? 앵글은 정면 혹은 측면, 카메라의 높이는 수평, 로앵글(낮은자리에서 카메라를 위로 향함), 또는 하이앵글(높은자리에서 카메라를 아래로 향함) 등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프레이밍의 정도 피사체를 파인더의 테두리 안에 적절히 배치하여 화면을 구성 화면의 어느 부분까지를 촬영 범위로 할 것인가? 렌즈 초점 거리의 선택 방송용 카메라에는 거의 줌렌즈가 붙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렌즈로 광각, 표준, 망원렌즈의 초점효과를 낼 수 있으며 또한 연속적으로 초점 거리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화면에서 동선 방향 동일 피사체의 경우는 움직임의 방향에 통일성이 없이는 시청자가 혼동할 수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카메라 워크의 선택 - 기본적인 카메라 워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샷과 샷의 연결 화이트 밸런스 픽스 샷(Fix), 팬(Pan), 틸트(Tilt) 줌 인,아웃(Zoom In, Out), 붐(Boom), 트랙 샷(Track), 달리 인,아웃(Dolly In,Out) 샷과 샷의 연결 연결에는 순접과 역접이 있다. 순접의 경우에는 전후의 샷간에 시간, 장소 위치의 3가지 요소를 비약이나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전체로 한다. 역접의 경우는 의도적으로 비약을 만들어야 하므로 일치의 법칙은 적용시키지 않는다. 화이트 밸런스 방송용 카메라는 광학식인 필름카메라와는 다르므로 촬영 이전에 반드시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어야 한다. 이것은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성분에 카메라를 적용 시키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1.1 화면 크기 일반적으로 풍경, 정물 등에 대한 화면 크기는 업 샷(US : Up Shot), 미디엄 샷(MS : Medium Shot), 롱 샷(LS : Long Shot)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피사체가 인물일 경우는 좀 더 세분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 빅클로즈업(BCU : Big Close Up) 얼굴의 표정 등을 부분적으로 크게 표현할 때 사용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클로즈업(CU : Close UP) 버스트 샷(BS : Bust Shot) 업 샷이라고도 하며 대개 인물의 목에서부터 이마까지의 크기로 강한 주관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인물의 위쪽 머리 부분은 나오지 않아도 어색하지 않다. 버스트 샷(BS : Bust Shot) 인물의 가슴 위를 촬영하는 크기로 인물 샷의 기본이 된다. 좌담 프로그램에서는 대화 내용이나 진행에 따라 크기를 바꾸어 촬영하기도 한다. 이 경우 더 윗부분을 촬영하는 것을 타이트 버스트 샷(TBS)이라고하며, 더 아래쪽을 포함하는 경우는 루즈 버스트 샷(LBS)이라고 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웨스트 샷(WS : Waist Shot) 니 샷(Knee Shot) 미디엄 샷이라고도 한다. 인물의 허리 위에서 머리까지의 크기로 주위상황과 함께 인물을 보여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뉴스시간에 특파원들이 사건을 소개할 때 주로 사용하는 샷이다. 니 샷(Knee Shot) 인물의 무릎위에서 머리 위까지를 촬영하는 크기로 무용 등 상반신의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풀 샷(FS : Full Shot) 투 샷(2S : Two Shot) 인물의 발끝에서 머리끝까지를 촬영하는 크기로 피사체와 연관된 건물 등 배경과 함께 촬영하여, 인물의 움직임과 배경의 상호관계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한다. 투 샷(2S : Two Shot) 카메라로 등장인물을 두 사람 보여준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그룹 샷(GS : Group Shot) 등장인물 중 여러 명을 보여줄 때 사용하는 샷이다. 오버 숄더 샷(OSS : Over the Shoulder Shot) 한 사람의 어깨 너머로 다른 사람의 표정을 나타내고자 할 때 이용하는 샷이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1.2 카메라 워크 카메라 조작과 관련된 협의(俠義)의 카메라 워크로서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픽스 샷(Fix Shot) 카메라를 고정시켜 피사체의 자연적인 움직임을 촬영하는 카메라 워크를 픽스 샷이라고 한다. 카메라 워크의 기본에 해당한다. 인간의 시청 심리는 카메라가 정지하여 피사체의 자연스런 움직임이 화면에 고정될 때 가장 안정감을 느낀다. 따라서 픽스 촬영기법은 가장 중요한 카메라 워크이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패닝(Panning) 패닝은 풍격 등을 파노라마와 같이 처리하는 의미로서 ‘Panoramic viewing'의 약칭이다. 패닝은 어떤 고정시점으로부터 카메라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워크를 말한다. 넓은 풍경 등을 미디움 샷으로 연속적으로 보여주고자 할 때 주로 패닝을 이용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틸트(Tilt) 카메라의 고정시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틸트라고 한다. 또한 틸트란 앵글에 있어서의 변화이므로, 카메라는 한 인물이 장면 내에서 치켜보거나 내려다 보는 것처럼 가장할 수도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화각 : 촛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시야의 각도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줌(Zoom) 일반적으로 50도 정도의 화각을 가진 렌즈를 표준 렌즈라고 한다. 화각이 60도 이상의 경우는 광각렌즈, 그리고 40도 이하의 각도로 촬영되는 렌즈를 망원 렌즈라고 한다. 방송용 카메라는 한 개의 렌즈로 광각, 표준, 망원렌즈의 효과를 연속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줌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줌렌즈는 광각 상태로부터 협각 상태로 변화시켜 피사체의 특정 일부분을 클로즈업하는 줌인 (ZI:Zoom In), 협각, 망원 상태에서 점차로 광각 상태가 되는 줌 아웃(ZO:Zoom Out)의 2가지 용법으로 사용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줌의 주된 사용 용법 줌을 이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 전체 중의 일부분을 강조하고 싶을 때 줌 인을 사용한다. 구도의 일부와 전체를 표시할 때는 줌 아웃을 사용한다. 어느 특정의 피사체를 보여주고 싶을 경우 그것이 놓여 있는 환경으로부터 피사체로 줌 인 하는 카메라 워크를 구사한다. 줌에 의한 심리 조작은 제작자의 의도를 시청자에게 단적으로 전달하는 카메라 워크이다. 집중과 긴장(줌 인) vs 해방(줌 아웃) 줌을 이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 줌의 과다 사용을 피한다. 줌 인 할 피사체의 가치를 배려한다. 줌 인은 필히 사전에 리허설 하여 본다. 줌 아웃할 때는 프레이밍에 주의해야 한다. 줌은 부드럽게 사용해야 한다. 전동 줌과 수동 줌의 사용을 고려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트랙(Track) 고정되어 있는 피사체나 옆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하여 카메라 자체가 옆 방향으로 쫓아가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것 트랙과 비슷한 표현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이 있다. 그러나 팬은 고정시점으로부터 카메라가 회전 운동하는 반면 트랙은 이동 시점이 수동 이동하는 전혀 다른 화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달리(Dolly) 달리란 본래 무거운 기계를 운반하기 위해 만들어진 바퀴 달린 차를 말하는 것으로 촬영 현장에서는 ‘카메라용 이동차’로 통용된다. 이동용 차에는 레일을 사용하는 전용차에서부터 삼각대 밑에 붙이는 소형바퀴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본래 달리(Dolly)는 평면 상의 공간을 사방팔방으로 이동하는 샷을 촬영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옆방향으로 움직이는 트랙과 구별하여 전후 방향에 대한 이동 촬영에 한정하여 사용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달리와 유사한 카메라 워크로 줌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달리와 줌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붐(Boom) 일정한 위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고 내리는 상하운동을 이야기하는데 카메라 워크에서는 피사체에 대하여 카메라 자체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붐이라고 말한다. 붐에는 붐 업(위로 이동), 붐 다운(아래로 이동)의 2종류가 있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붐과 유사한 카메라 워크에는 앞에서 설명한 틸트를 들 수 있으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장면 전환 기법 커트(Cut) 디졸브(Dissolve) 페이드 인(Fade In) 하나의 이미지(쇼트)가 다른 이미지로 어떤 기술적인 '효과' 없이 순식간에 바뀌는 것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이고 자주 쓰이는 장면 전환 기법이다. 디졸브(Dissolve) 앞 쇼트가 점차 사라지면서, 뒷 쇼트로 바뀌는 방법이다. 곧 두 화면이 겹치면서 장면이 전환된다. 랩 디졸브(Lap Dissolve)라고도 불린다. 페이드 인(Fade In) 스크린이 어둡다가 점차 이미지가 나타나서는 완전히 밝아지는 것이다. 씬이나 시퀀스, 혹은 영화 전체의 시작을 알리는 장치이기도 하다. 페이드 아웃(Fade Out) 페이드 인과 반대로 스크린이 점차 어두워지는 것이다. 컬러영화의 경우, 어떤 감독들은 검은 색이 아닌 다른 색(예를 들어 파랑이나 노랑 등)으로 페이드 하기도 한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플래쉬 백(Flash Back) 플래쉬 퍼워드(Flash Forward) 과거를 다루는 씬이나 시퀀스가 현재 시간의 씬 앞에 삽입되는 것이다. 포커스 아웃 되면서 플래쉬백 되는 것이 일상적이나 근래에는 그저 커트로 처리되어지기도 한다. 플래쉬백은 영화 문법상 과거형이다. 플래쉬 퍼워드(Flash Forward) 플래쉬백과 비교할 때 미래의 씬이나 쇼트가 삽입된다. 영화문법상 미래형. 아이리스 인, 아웃(Iris In, Out) 영화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고전적 테크닉으로 렌즈 앞에 조리개를 사용해서 여는 것이 아이리스 인(Iris In), 닫는 것이 아이리스 아웃(Iris Out)으로, 씬이나 시퀀스를 시작하거나 끝낸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와이프(Wipe)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점프 커트(Jump Cut) 나타나는 이미지가 그 전의 화면상의 이미지를 자동차 유리 와이프가 닦아내듯 지우면서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이다. 30년대에는 매우 흔히 쓰였으나 오늘날은 잘 쓰지 않는 방법이다.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함께 일어나는 행동들임을 의미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쇼트들이 씬에 혼합되어 지는 것이다. 인터 커트와도 같다. 점프 커트(Jump Cut) 두 장면 간이 아니라 한 장면 내에서 커트가 이루어지며, 이때 쇼트들은 의미를 응축하고 있다. 인물이 방으로 들어가서 방의 다른 편에 있는 목적지까지 가는 시간과 같이 필요 없는 시간상의 과정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매치 커트와 혼동하기 쉽다.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워크 매치 커트(Match Cut) 컷 어웨이(Cutaway) 프리즈 프레임(Freeze Frame) 시각적, 음향적 또는 은유적으로 함께 나열되는 두 쇼트가 연결된 커트이다. 컷 어웨이(Cutaway) 한 장면에서 다른 장소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 삽입되는 쇼트,일반적으로 짧으며 TV나 다큐멘터리의 인터뷰에서 메인 테이크에 간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프리즈 프레임(Freeze Frame) 말 그대로 얼어붙은(Freeze) 쇼트로 화면상으로는 정지된 상태가 사진과도 같이 나타난다. 대개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