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사 강의 2.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전통 한옥의 현대화 전통문화와 문화컨텐츠 - 전통문화의 컨텐츠화 고고문화인류학과 황지인.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정훈 글로벌 브랜드와 마케팅. 마니아들을 위한 쇼핑몰 쇼핑몰이름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문자코드 1 박 2 일 (4 조 ) 이경도 이준집 이수연 엄태규. 문자코드란 ?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다루기 위하여, 문자나 기호 하나하나에 할당 시키는 고유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정보화로 인한 장단점 생활의 변화 번 이성재.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조선시대사 강의 2.
이웃나라의 명절 1모 둠:박상범,주성훈,장예지.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어린이 STAR 기자 어린이 STAR 기사 글 김지윤기자.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믿음의 사람 라합”.
이단에 속한 사람을 한두 번 훈계한 후에 멀리하라 디도서 3장 10절 말씀 –아멘.
한국사 2013년 1학기 우송대 박범.
1-1 일과 일률.
경영사례 및 영업협상 방법론.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몬티홀 문제 (Monty Hall Problem).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2. 다양한 관점.
5. 설명의 방법 설화 속의 호랑이.
독도의 지명과 고지도.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우리나라 수학자 기초반-17번-이호준.
음식 마다가스카르는 쌀밥이 주식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찰진 쌀밥은 아니지만 우리와 마찬가지로 농사를 지어서 밥을 해 먹는다는 것이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먹는 덮밥류의 음식이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이 주로 먹는 형태입니다. 한 접시에 밥과 반찬 1~2가지를 올려먹는 것이.
학습 목표 한국 윤리의 전개 과정을 유교, 불교, 도교 및 근대 한국 윤리 별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하나의 商행위에 같은 번호의 영수증이 두 개가 발급되었으며, 각 영수증의 발행시각 하차시각 승차거리 가 서로 다르다.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이용방법.
세종대왕.
제1차 중국 청성연.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사랑의 확증 롬5:8.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Flow Diagram IV While.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장 12절 말씀 -아멘-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바벨탑을 만드는 사람들.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truth table) : 단순 문장들이 진리값을 상이하게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모든 경우를 남김없이 열거한 표 (ex) 오늘은 날씨가 맑거나 비가 올 것이다. 오늘은 날씨가 맑다 비가 온다 오늘은 날씨가 맑거나 비가 올 것이다. T.
소돔 사람들의 죄와 롯.
수풀에 걸린 양.
내가 만든 인천의 상징 고돌이와 고순이 코리아 모둠 기획: 신수현 자료 수집: 전재우 김준영
Presentation transcript:

조선시대사 강의 2

양반 양반의 일반적 이해 : 18세기 이후 증가. 양반제가 해체 서양은 지배층이 2%, 중국은 5%내외, 도쿠가와시대 일본은 6% 그럼 조선은? 지배양반 되기의 조건 1. 호적상에 유학 직역의 등재와 족보 보유 2. 유교적 의례의 준행과 그 다양한 특권 : 지배집단 내부의 家格이 서로 다름(도학>문장>충절>환관의 순서), 유교적 교양과 지식의 습득, 유교적 가치관을 굥유, 奉祭祀 接賓客 3. 문중과 동성촌락의 형성 : 45,000개 중에 15,000여개, 저명한 동성촌락은 1,685개(班村), 향약으로 주변마을 통제 유명선조의 후손으로서 이름 있는 터를 택하여 그것을 중심으로 누대에 걸쳐 세거하면서 양반 가문으로서의 전통을 유지,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사람들.

호적대장의 유학

문화유씨 가정보 (1565년)

奉祭祀

接賓客

동성촌락 경주 양동마을 (월성 손씨, 여주 이씨) 안동 하회마을 (문화 류씨)

한국의 동성촌락

조선후기 산림황폐화 전근대 사회에서 산림은 연료, 목재 그리고 비료를 제공 인구 증가에 의해 식량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산림은 개간되어 경작지 산림이 헐벗고 농업생산성이 하락 온돌의 보급 또한 연료수요를 증가 “사대부집에서는 종들도 온돌에 거처하는데 나인으로서 마루방에 거처해서야 되겠는가” – 인조실록 2년 3월5일 : 17세기 상황 "오늘날 온돌을 놓고 구들고래를 내는 제도는 舊時의 마루방을 꾸미던 풍속과는 아주 다른 바가 있다. 곧 시대를 타고 바뀐 것이다“ – 이규경의 <오주연문> : 19세기는 보편화 산에 대한 정부의 인식 변화 – 19세기의 남벌을 우려 인구의 증가와 함께 경지에 대한 수요도 증가 : 산간의 화전 개발 화전에 의한 산림의 황폐화

조선후기 산림황폐화 정부의 대책 : 화전을 현실로 수용하되 "산허리 이상"으로 표현된 난개발 억제 정책을 기본입장 "왜 이 나라가 이렇게 황폐한가에 대한 이곳 사람들의 설명은 참으로 한국적이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가능한 한 외국사람들을 낙담시키기 위해 연안은 황폐하게 되었으며 내륙에서는 호랑이를 몰아내기 위해 숲을 불살랐고, 언덕은 정상으로부터 토양이 씻겨 내려올 만큼 벗겨졌다는 것이다“ – 1898년 외교관 Sands 虎患 : 18세기 후반 26건, 19세기 3건. 18세기 후반 도성 안에 나타난 호환 8건 19세기에 호랑이 활동영역 단절 축소

북한산

북한산

북한산

조선시대 재판 재판기관 조항은 없고 재판절차, 법죄에 따른 형량, 형벌 절차를 규정 형벌권 : 流 이하(형조, 개성부, 감영), 笞 이하(군현), 사형(국왕만) 최고의 형벌권자이자 최종의 재판권자 : 국왕 조선시대 형벌 : 苔, 杖, 徒, 流, 死, (贖錢, 刺字, 노비몰수, 재산몰수) 재판관할(지방) : 자기 지역 군현, 피고가 있는 군현(원고는 피고지역에 고소) 재판관할(중앙) : 토지와 저택(한성부), 노비(장예원), 토지와 전택,노비,법률(형조) 재판순서 : 군현->감영->형조 사건에 대한 재심리 : 1. 담당관이 바뀔 경우 다시 호소, 2. 상급기관에 호소 3. 3번 소송 중에 2번 승리하는 자가 승소, 단 재판관의 오결은 승수로 치지 않음 형사, 민사, 행정소송의 구분은 모호 소지(고소장)의 제출은 양반이나 노비나 아무 제한이 없음 형사사건에서 가장 많은 소송은??

조선시대 재판 가장 많은 소송 : 산송(山訟) 민들이 호소하기 위해 낸 문서 : 민장(民狀) 재판 결과를 처리한 민장 위에 쓴 판결 : 제사(題辭) 민장과 제사는 판결문 및 증빙문서로 작용

검안(檢案)

문치일 치사사건 검안

형벌

사형

산송(山訟) 파평윤씨와 청송심씨 1614년 영의정 심지원이 윤관의 묘 바로 위에 부친의 묘를 조성한 뒤에 일대의 땅을 받으면서 시작 1763년 파평윤씨에서 심지원의 묘를 파헤치고 청송심씨 처벌 요구 영조의 화해 요구->파평윤씨에서 반발 광복 이후에 돌담 설치 2005년 청송심씨 19기의 묘 이장으로 합의

산송문서

정약용의 편지 중국은 문명한 것이 풍속이 되어 아무리 궁벽한 시골이나 먼 변두리 마을에서 살더라도 성인이나 현인이 되는 데 방해받을 일이 없으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해서 서울 문밖에서 몇십 리만 떨어져도 태고처럼 원시사회가 되어 있는데 하물며 멀고 먼 시골이랴 무릇 사대부 집안의 법도는 벼슬길에 높이 올라 권세를 날릴 때에는 빨리 산비탈에 셋집을 내어 살면서 처사로서의 본색을 잃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만약 벼슬길이 끊어져 버리면 빨리 서울에 붙어살면서 문화(文華)의 안목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금 내가 죄인이 되어 너희들에게 아직은 시골에 숨어서 살게 하였지만, 앞으로의 계획인즉 오직 서울의 십리 안만이 가희 살 수 있다. 만약 집안의 힘이 쇠락하여 서울 한복판으로 깊이 들어갈 수 없다면, 잠시 서울 근교에 살면서 과일과 채소를 심어 생활을 유지하다가 재산이 조금 불어나면 바로 도시 한복판으로 들어가도 늦지는 않다 – 정약용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 만약 하루 아침의 분노를 이기지 못하여 서둘러 먼 시골로 이사가 버린다면 무식하고 천한 백성으로 일생을 끝마치고 말 뿐이다 – 정약용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 19세기 사회의 현실을 반영

조선후기 문중화와 사족 현대의 문중과 조선후기 문중의 차이 1) 19세기 이후 굴절되고 왜곡된 문중조직의 말기적 현상 2) 일제와 해방이후의 혼돈사회를 거치면서 더욱 증폭, 변질된 모습 3) 현대사회의 우리 주변에서 보여지는 가문 이기주의나 특정 이해의 반영모습 조선중기 사족들은 개인의 능력과 활동이 중심, 혈연은 부차적 가문의식도 크지 않음 : 적장자 중심이 아님 양계친에서 적장자 중심의 부계친족으로의 변화, 제사상속 및 상속상에서 장자 우대의 경향, 족보의 친족수록 범위의 축소, 입양제도의 변화, 그리고 동족마을의 형성이 특징은 18세기 이후의 모습

조선후기 문중화와 사족 문중화 경향 : 한 군현 내에서 유력 양반끼리 모이던 모습에서 같은 현조(顯祖-유명한 조상)를 모시는 가문 구성원끼리 뭉치는 경향 동족마을 형성 : 자신들만의 공간 조성 문중서원 건립 : 사적인 조직을 공적인 공론(公論)형성의 장으로 마련하여 자신들 위주로 주도 추숭, 정려, 신원, 추증 : 자신들의 현조의 행적을 재평가 신도비, 행장, 영당 : 선조의 유적을 현창 서원, 사우 : 국가에서 인정받은 건물 건립 파보, 족보, 문집의 간행 : 문중의 권위를 홍보 사족(양반)들이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

연산에 정착한 사족들 최종 승자는?

광산김씨 세거지 : 고정리 김집사당 돈암서원 김계휘신도비 모선재 김국광사당 연산영사재 양천허씨 정려비 영모재 광산김씨 종가 논산신풍리마애불 김장생 묘소 영사암

족보의 위조

훈민정음(訓民正音)

세종시대 다시보기 세종에 대한 인식 : 조선시대 눈부신 업적, 조선의 자주성 과학사상 그 유례가 드문 황금시대 15세기 전반기 세계 과학기술사에서 세종 때와 같은 유형의 발전은 어느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일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서방세계는 물론 아랍세계와 중국의 과학기술의 수준을 능가하는 것 그러나.. 유교적 보편성과 조선적 자주성이 가지는 함의를 되새기는 일이 필요

세종시대 다시보기 풍토부동(風土不同) : 조선의 자주성을 이야기 할 때 하는 말 - <농사직설>, <향약집성방>, <훈민정음> <농사직설> : 중국과 다른 자주적 농업기술(한전농법)이 아닌 오히려 중국의 강남 선진적인 농업기술(수도작농법)을 따라하기 위한 자구책 <향약집성방> : 자주성보다는 중국과 다른 조선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인식 <훈민정음> : 한자를 읽는 소리가 다르다는 것이 중요, 하층 백성들을 위한 한글이었는지 의심, <동국정운>의 서문을 보면, 중국과 말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서적에 한자에 적힌 성인의 도를 밝힐 수 없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를 창제했다는 암시. 고제(古制) 연구와 아악이 정비 : 중국의 고대의 제도를 복원 박연은 중국과 조선의 풍기(風氣)가 다르고 산출되는 기장도 달라서 고제대로 구현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세종은 끝내 이를 굽히지 않고 중국 삼대의 모습을 재현하는데 부심. 유교적 보편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세종의 생각 세종대의 대부분의 가치들은 이러한 유교적 이상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