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기미용성형요법 Youngsan university
수기미용성형요법이란? 얼굴을 관찰하여 인체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손을 이용한 관리를 통하여 얼굴과 체형의 불균형을 회복시키는 기법이다. 각종 생활 자세에서 비롯된 체형 왜곡 현상을 비교적 균형 잡힌 상태로 복원 시켜주는 기법이다. 성형 수술과는 또 다른 차원의 순수한 수기요법으로 턱선의 늘어짐, 눈가의 잔주름, 등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기법이다. 전신의 정보전달 체계인 신경체계, 혈관체계, 근막체계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이다. 수기미용성형요법은 로벳반응계의 반사요법의 원리를 토대로 근막을 이완 함으로써 체형과 얼굴을 이상적인 형태로 변화될 수 있게 유도하는 관리이다. Trigger point를 이용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MPS(근막통증증후군)의 해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배경 및 목적 수기미용성형요법시 얼굴 및 체형 변화에 대한 해부,생리학적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수기미용요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객관적 이고 과학적인 측정과 연구가 필요하다. 수기미용요법이 피부미용업계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주요한 상품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유기적인 인체를 부분적인 성형수술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이나 휴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술요법이 아닌 수기미용관리로써 자신에게 맞는 얼굴과 체형을 만들어 줌으로써 건강한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수기미용성형요법의 임상 적용사례를 과학적으로 고찰해서 수기미용관리요법의 정체성 정립하고자 한다.
수기미용성형요법을 통한 얼굴 형태 변화에 관한 원리 TMJ (temporomandibular joint) 는 경추 1번과 맞물려 있다. 로벳 형제반응계의 원리는 경추 1,2,3번과 요추 3,4,5번은 보행 시 형제처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요추의 틀어진 방향에 따라서 골반의 높낮이는 달라진다. 골반의 높낮이에 따라 다리의 길이가 달라진다. 인체의 불균형은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인체 노폐물 적체의 원인이 되며 결과적으로 얼굴의 틀어짐을 유발한다. 근막의 손상은 주로 외상이나 나쁜 자세, 염증 등에 의해 발생되고 기능이상을 일으키며 혈관이나 장기 등을 압박하여 순환의 장애나 통증을 일으킨다. 한쪽의 기능이상이나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완전한 ROM(관절가동범위)의 수행을 시도하면 근막의 보상작용에 의해 다른 부위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수기미용요법은 11 근막 경선의 원리에 입각하여 인체의 앞,뒤,좌,우 의 균형을 중요시한다.
수기미용요법의 원리 (로벳 반응계의 원리에 입각한 반사요법) 로벳형제반응계와 반사요법원리 수기미용요법의 원리 (로벳 반응계의 원리에 입각한 반사요법)
Information delivery system of whole body 전신의 정보전달체계 1. Nervous system 전신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감지하고 있는 정보전달체계로서 다양한 감각들을 인지하고 외부 및 내부 조건들 모두에 대해 화학적인 및 역학적인 반응들을 통합적으로 빠르게 산출한다. 2. Blood vessel system 펌프작용을 하는 심장을 중심으로 허파를 출입하는 주요한 동맥과 정맥들이 있으며 대동맥과 동맥들을 통해 각 기관에 혈액을 공급하고 광범위한 모세혈관들의 망상 체계를 통해 인체의 모든 부분들에 혈액을 공급한다. 3. Myofascial system 결합조직으로 싸여진 근막체계는 전신의 모든 부위들에 스며들어 있다. 결합조직의 지지가 없다면 뇌는 묽은 푸딩과 같이 흐물흐물할 것이고 간은 복강 내에서 넓게 퍼질 것이며 사람이 서있을 경우에는 모든 조직들이 진흙처럼 발쪽으로 흘러내릴 것이다. 근막은 안쪽일수록 부드럽고 바깥으로 나올수록 딱딱하다
미용성형관리를 위한 생리해부학 기초
신경계(Nervous system) 신경은 인체의 계통을 연결시켜주는 임펄스를 전달한다 주요기관 : - 뇌, 척수, 신경, 감각기관 기능 : 변화감지, 감각정보의 수용과해석, 근육과 분비샘 자극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혈액 순환 과정 심장 → 대동맥 → 동맥 → 소동맥 → 모세혈관 →소정맥 → 정맥 → 대정맥 → 폐동맥 → 폐 → 폐정맥
림프계 (Lmphatic system) 림프의 순환 모식도 림프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능의 림프구를 만드는지에 따라 중추와 말초 림프기관으로 나뉨 액체성분인 림프, 림프를 수송하는 림프관, 림프관 사이사이에 분포하고 있는 조직 덩어리 림프절, 림프조직의 집단 편도, 비장, 흉선 등 림프절에는 림프구와 백혈구가 함유되어 세균을 방어하고 면역체계를 만든다. 림프절은 600~700개 정도가 있으며 쇄골부위(터미누스)에 1/3 이 존재함 림프의 순환 모식도
Skeletal system Functions of skeletal Skeletos”라는 Support function : 척추,골반,팔,다리 등을 구성하 는 뼈들은 체중을 지지하며 지탱한다. Protection function:내부장기를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한다. - 두개골: 뇌 보호, 흉골,늑골: 심장, 폐, 보호 Exercising function 근육을 부착시켜 각종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Hematosis function 신체에 필요한 칼슘의 저장 및 조혈작용도 한다. - 태아기: 간장, 비장, 적골수 출생후~성년: 상완골, 태퇴골, 장골의 적골수 성년이후: 골반, 흉골, 골반의 적골수 Save function :뼈는 칼슘을 저장하며 대여금고 역할을 한다. Skeletos”라는 그리이스어 에서 유래되었으며 신체에서 근육과 같은 연조직을 제거하면 남는 마른 부분이라는 뜻이며 골,연골,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출생시는 270여개-300개로 늘어났다가 성인이 되면 206개의 연결계통을 이루고 있다.
근육계 (Muscular system)
Muscle system(근육계) 골격근,내장근,심근 횡문근,평활근 Muscle(근육)의 분류 주동근,협력근,길항근, 위치에 따른 분류 형태에 따른 분류 골격근,내장근,심근 횡문근,평활근 Muscle(근육)의 분류 주동근,협력근,길항근, 신근,굴근,내전근,회전근,회내근,회외근,괄약근 수의근,불수의근 기능에 따른 분류 조직기능에 따른 분류
외 피 계 주요기관 : - 피부, 털 손톱, 땀샘, 피지샘 기능 : - 조직보호, 체온조절, 감감수용체지지
피부의 구조
Myofascial Meridian 을 이용한 수기 요법의 관리지침 침해된,손상된,제한된 통증성 부위를 먼저 진단하고 그 부위와 연관된 근막경선 전체를 진단한다. 근막경선에서 어떤 한 부위의 수기요법은 연관된 근막경선에서 관리부위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아주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가 속해있는 근막면을 먼저 찾아서 가동성을 촉진시킨다. 먼저 천층에서 심층으로, 다시 심층에서 천층으로 나오면서 관리한다.
Myofascial Meridian 을 이용한 수기 요법의 관리 요령 관리의 깊이 가동성제한이 있는 근막층부터 관리를 시작하며 차차 심층으로 들어간다. 관리속도 너무 빠른 속도의 관리는 근막조직의 감수성을 저해한다. 신체역학 관리사의 손이 긴장을 유지할수록 피시술자의 몸에 대한 전달성의 정도는 최대가 된다. 피시술자의 동작 피 시술자는 수기요법을 하는 동안 적절하게 몸을 움직임으로써 좀더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관리도중의 통증 관리도중,피시술자가 아파하면 관리의 강도나 속도를 낮춘다
(Myofascial Meridian) 을 이용한 수기 요법의 관리목적 신체에 대한 완전한 자각의 회복 최상의 골격계 정렬및 지지상태 회복 근막조직들의 고른 긴장도(덴스그리티/팰런토니시티) 완전한 길이 완전한 움직임의 회복 파열되지 않는 완전한 탄력성의 회복 피시술자의 건강,나이,병력,선천적인 조건등의 제한내에서 얻어질수 있는 최대한이 가동범위를 회복 기립자세및 동작들에서 나타날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들로 인한 통증의 최소화 얼굴의 형태변화와 기능의 증가에 따른 미용성형
Myofascial Meridian의 이론적 배경 근육,근막을 중심으로 한 인체역학에 관한 이론 및 실기서로서 근육,근막치료의 대가인 Ida Rolf(롤핑요법)로부터 영향을 받은 Myers가 고안한 근막 치료법을 설명한 것이다. 가설 -근막 체계는 기능적으로 통합되어 전신에 걸친 연계성을 바탕으로 씨줄과 날줄로 짜여진 전신의 결합조직이다. -비틀림,긴장,고착,보상 작용 등 인체의 대부분의 동작들은 근막 경선에 따라 일어난다. 원리 -자세와 동작의 분석에서 전신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상대성 적인 관점의 방향으로 부분들의 상호적인 관계들로서의 인체를 부분들로 나누어 생각하기 보다는 홀로그램의 원리로 접근 하는 것 이다. 예) 두판상근;머리를 회전시키고 목을 신전시키는 근육이면서 나선형 및 측면 근막 경선의 일부로 작용한다. 근막 경선이란 - 신체의 모든 근육은 근막으로 싸여 있으며 이들 근막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서로 이어져 있는 삼차원의 서로 분리될수 없는 거미줄 망과 같은 강인한 결합조직이다.
Myofascial system(근막계) 인체에 있어 지지력이 되고 안정된 그물망을 형성하여 신체의 자세의 균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기능적으로 방해를 받거나 중단됨이 없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이르는 3차원의 거미줄 망으로 전신에 펼쳐져 있는 강인한 결합 조직이다. 근육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s) 얕은뒷선(천층후면근막경선 Superficial back line), 얕은 앞선(천층전면근막경선 Superficial front line), 가쪽 선(측면근막경선 Lateral line), 나선 선(나선형근막경선 Sprial line), 상지선(상지근막경선 Arm lines), 기능선(근막기능선 Functional lines), 깊은 앞선(심층전면근막경선 Deep front line)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Superficial back line) 1.발바닥 2.족저근막과 (단지굴근) 3.종골 4.비복근/아킬레스건 5.대퇴골과 슬괵근 건 반막양근,대퇴이두근 7.좌골결절인대 8.천골결절인대 9.천골 10.천요근막/척추기립근 11.후두융기 12.모상 건막 13.앞이마 융기 개요 -천층후면 근막경선은 발가락에서 무릎, 무릎에서 이마에 이르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결한다. 자세유지기능 SBL의 자세유지 측면의 전반적인 역할은 신체를 끝까지 완전하게 신전하도록 지지하며 굴곡하려는 경향을 막는 것이다. 동작기능 -슬관절의 굴곡작용과 발목의 족저굴곡 기능을 제외하면 SBL의 전체적인 운동기능은 신전과 과신전이다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Superficial front line) SFL은 발가락에서 골반, 골반에서 두개골까지 신체의 전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결하고 고관절을 신전하고 직립자세로 서있을때 SFL운 연속적인 통합근막으로 작용한다. 자세유지 기능 -SFL의 전반적인 역할은 천층후면 근막경선과 균형을 맞추고 중력선의 앞쪽으로 나아와있는 골격부(치골,흉곽,얼굴)을 들어 올리기 위해 정수리에서 부터 긴장을 유지하는 것이다. 긴장 유지능력은 복강내의 내장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운동기능 -SFL은 종합적인 동작기능은 체간과 고관절을 굴곡시키고 무릎을 신전하며 발목을 족배굴곡하게 하는 것이다. 1. 발등(족지골 배면) 2. 장지신근, 전경골근 3. 무릎(슬개골) 4.대퇴사두근(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5. 전하장골극 6. 치골결절 7. 복직근 8. 다섯 번째 늑골 9. 흉골/흉골연골근막 10. 흉쇄유돌근 11. 유양돌기 12. 모상건막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Latral line) 1. 첫 번째, 다섯 번째 중족골의 기저부 2. 비골근, 하부 하퇴부분 3. 비골두 4. 비골두의 전인대 5. 외측경골구 6. 장경인대 / 외전근 7. 대퇴근막장근 8. 대둔근 9. 장골능,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10. 외측 복사근들 11. 늑골 12. 외부와 내부 늑간근 13. 첫 번째, 두 번째 늑골 14. 두판상근 / 흉쇄유돌근 15. 후두골 융선 / 유양돌기 개요 : 측면근막경선은 발의 내,외측 중간지점부터 발목 바깥쪽을 돌아 하퇴와 대퇴 외측면 상부로 올라가 바구니 짜는 듯한 모양' 으로 몸통을 지나 귀 부위의 두개골까지 지나간다. 자세적 기능 : 앞과 뒤의 균형, 그리고 양쪽으로 좌우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외측선은 다른 표면선들(표면 앞쪽선, 표면 뒤쪽선, 상지선, 나선형선) 사이의 힘을 조절한다. 운동기능 : 몸에서의 측면 굴곡 – 체간의 측굴, 고관절의 외전, 발의 외반 을 일으키는데 관여 하지만 몸의 측면과 회전적인 움직임을 조절하는 'brake' 역할도 한다.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Deep front line) 개요 Deep front line은 발바닥 심부에서 시작하여 하퇴골 뒤를 따라 위로 올라가며 무릎 뒤쪽에서 대퇴 내측, 고관절, 골반, 요추전방을 지나간다. 또한 서로 다른 길을 따라 계속되며 흉강을 지나 신경 두개골과 내장 두개골(neuro and viscero cranium)의 밑면에서 끝난다. DFL은 고관절과 밀접한 관게가 있으며 호흡수와 걸음걸이의 리듬에 관여한다. 자세유지기능(Postural funtion) 내측 족궁지지 하지 각 분절의 안정성 전방으로부터 요추지지 흉곽의 안정 다리와 목의 균형유지 동작기능 DFL의 기능이 상실되면 덜 정교하고 덜 우아하며 부상후 퇴화의 조건을 만들 수 있다. Deep front line의 (Myofascial tracks는 Lowest commoon는 Lower posterior, Lower anterior, Upper posterior, Upper middle, Upper anterior,등으로 나누어 진다.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Spiral line) 1. 후두골능선/유양돌기/경추1번횡돌기/경추2번횡돌기 2. 두판상근, 경판상근 3. 대,소능형근 4. 견갑골의 안쪽가장자리 5. 전거근 6. 외측늑골 7. 외복사근 8. 배근육의 건막, 백색근 9. 내복사근 10. 장골능선, 전상장골근 11.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12. 경골외측관절구 13. 전경골근 14. 제1중족골 15. 장비골근 16. 비골의 골두 17. 대퇴이두근 18. 좌골조면 19. 천골결절인대 20. 천골 21. 척추기립근 22. 후두골능선 Spiral line은 나선형으로 몸통주위를 감싸며 두개골의 한쪽면을 반대편 어깨의 후부와 연결시키고 엉덩이-무릎-족궁의 전면을 지나 신체 후부로 올라가 두개골 근막으로 다시 연결된다 . SL은 골반각과 족궁을 연결하여 신체에서 비틀림, 회전 및 측면 이동을 함으로써 자세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Arm lines) .심층후면 상지 근막경선 심층전면 상지 근막경선 1. 하부경추와 상부 흉추의 극돌기 2. 능형근과 견갑거근 3. 견갑골 내측연 4. 회전근개 5. 상완골두 6. 상완삼두근 7. 척골의 주두 8. 척골골막 9. 척골의 경상돌기 10. 소지 근육들 11. 소지외측 심층전면 상지 근막경선 1. 3.4.5늑골들 2. 소흉근, 쇄골흉근막 3. 오구돌기 4. 상완이두근 5. 요골조면 6. 요골골막 7. 요골경상돌기 8. 무지근들 9. 엄지외측 천층전면 상지근막경선 1.쇄골내측 늑연골들, 흉,요추부근막, 장골릉 2. 대흉근, 광배근 3. 상완골 내측선 4. 내측 근간 중격 5. 내측상완상과 6. 굴곡근군 7. 수근관 천층후면 상지 근막경선 1. 후두부 융기, 항인대 2. 승모근 3. 견갑극, 견봉, 쇄골외측1/3 4. 삼각근 5. 외측근간 중격 6. 상완골의 외측상과 7.신전근군 8. 수지배면
근육근막 사슬구조로 본 근막의 연결주행로 (Funcional lines) 앞 기능선 1. 상완골 2. 대흉근 3. 5,6 늑골연 4. 복직근 5. 치골결절과 치골결합 6. 장내전근 7. 대퇴골조면 Functional Line은 체간의 표면을 가로질러 반대측 골반과 하지에 이르는 AL 의 연장이다. (또는 다리와 골반을 가로질러 반대편의 흉곽, 어깨, 그리고 팔의 경선으로 진행한다.) 뒤 기능선 1. 상완골 2. 광배근 3. 흉요근막 4. 좌골 5. 천골 6. 대둔근 7. 대퇴골 8. 외측광근 9. 슬개골 10. 결골조면
관리방법 및 순서 1.관리 방법 수기미용성형요법으로 경찰법과 롤핑요법을 사용하여 전신의 근막을 이완 시키는 방법이다. 2. 관리순서 복와위 발바닥→ 하퇴→대퇴 →둔부 →등 →경부 측와위 하퇴→슬관절 →대퇴 →둔부(이상근 집중) →요방형근 →전거근 →대흉근 →복직근 →사각근 → TMJ (측두하악관절)→측두근 앙와위 하퇴→ 대퇴 → 서혜부 →복벽의 근육 → 흉골 → 액와 → 쇄골 → 팔 → 얼굴 및 두피 3. 측정도구 근막 이완요법과 반사요법을 통한 수기미용성형요법이 얼굴 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 전·후 상태를 사진촬영, 등고선촬영, CT 촬영을 실시함
임상결과 (모아레 등고선 촬영) 관리 전, Y각의 기울기 관리 후, Y각의 기울기
결과-CT촬영(하악설골근) 관리 전 관리 후
결과- CT촬영(광대뼈부위) 관리 전 관리 후
결과-사진촬영 Case 1 (나이: 48세 / 직업: 주부) 관리 전 관리 후
결과-사진촬영 Case 2 (나이: 46세 / 직업: 주부) 관리 전 관리 후
등관리 전후 비교
결론 근막이완요법과 반사요법의 관리을 통하여 얼굴의 윤곽변화(눈밑, 광대뼈, 턱선)와 피부톤, 모공수축 등의 변화를 현저하게 확인할 수 있었음. - C·T 촬영을 통한 데이터 검증 - 등고선 촬영을 통한 데이터 검증 - 사진 촬영을 통한 데이터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