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반포와 서사문학의 발흥 1026032 이진규 1026003 김문표 1126006 김슬기
목차 훈민정음 2. 용비어천가 3. 월인석보
훈민정음 훈민정음 목차 1. 훈민정음 반포 2. 훈민정음의 의의
1)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만 든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으로 한글이라는 문 자의 체계와 그에 대한 책의 이름을 뜻한다. 한글은 1443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 창제하고 3년 동안 실제로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 본’을 통하여 한글을 쓰게 된 동기와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인지를 설명했다. http://www.youtube.com/watch?v=Tp3WY5Q_bp4
2)훈민정음의 의의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자기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문 자를 만들려고 노력하였으나, 한글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이 이미 존재한 문자에서 직접으로 영향 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새 문자를 만들고 한 국가의 공용문자로 사용하게 한 일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다 특히, 이 책에서 문자를 만든 원리와 문자사용 에 대한 설명에 나타 나는 이론의 정연함과 엄정함에 대해서는 세계의 언어학자 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 목차 1.용비어천가 2. 용비어천가 창작 동기 3. 용비어천가 의의
1)용비어천가 갈래: 악장, 영웅서사시, 송축가 성격: 서사적, 송축적, 예찬적, 설득적, 교훈적 연대: 완성은 세종27년, 간행은 세종 29년 특징: 서사 본사 결사의 구조로 작품의 창작 동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됨 2절 4구 전절은 중국의 고사, 후절은 6조의 행적 훈민정음으로 된 최초의 작품 훈민정음 28자 외에 ᄫ이 사용되고, 받침에 ㅌㅍㅈㅊᅀ과 사잇소리 ㄱㄷㅂᅙᅀㅅ도 사용했다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7844774
2)용비어천가의 창작 동기 내적동기 조선건국의 합리화(역성혁명이 하늘의 뜻임을 알려 민심을 조정에 귀의 시키고 이씨 왕가의 원대한 포부를 널리 알리고자 창작 외적동기 훈민정음의 시험(훈민정음의 실용성 여부) 국자의 권위 부여(국가의 존엄한 문헌을 한글로 기록함으로, 그 존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
3)용비어천가의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으로 훈민정음에 권위를 부여하였다.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장편 영웅 서사시이다.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이다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15C 중세 국어 자료를 제공해 준다. ⑤ 주석은 역사와 지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⑥ 어법 의식과 기사법이 엄정하여 고어법 연구에 귀중하다.
월인석보 월인석보 목차 1.월인석보 2.월인석보 창작 동기 3.월인석보의 의의
1) 월인석보 작자: 세조, 수양대군(뒤에 세조) 연대: 세조4년(1458) 형식: 운문과 산문(‘용비어천가’의 편찬 방식을 따라 한 줄거리의’월인천강지곡’ 몇 수를 먼저 싣고, 주석에 해당하는 ‘석보상절’을 뒤에 붙여 실었다. 표기: ‘월인천강지곡’의 한자 배열을 국문과 한자의 위치를 바꾸었으며, 받침 없는 한자음에 ‘o’종성을 사용했다. ‘석보상절’은 대폭적인 첨삭, 문장의 수정, 권차의 변개등 거의 새로운 문헌으로 되어있다. 내용: 세종이 지은’월인천강지곡’과 수양대군이 지은’석보상절’을 합하여 간행한 책으로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적었다.
2)월인석보 창작 동기 편찬 동기는 죽은 부모와 일찍 죽은 아들을 위한다고 되어 있지만,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의 많은 신하들을 죽인 뒤 겪는 고통에서 벗어나 구원을 얻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3)월인석보 창작 의의 ‘월인석보’는 세종과 세조의 2대에 걸쳐 임금이 짓고 편찬한 것으로, 현존본에 나타난 판각기법이나 인출 솜씨 등을 보면 조선초기 불교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종의 훈민정음 반포 당시에 편찬, 간행되었던’월인천강지곡’과’석보상절’을 세조 때 다시 편집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한글 변천을 살피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 초기에 유통된 중요경전이 취합된 것이므로 당시 불교 경전의 수용태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질문할꺼에요?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