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graphy by lee jongji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Advertisements

시스템 분석 중간고사 1. 호수에서의 물 및 물질수지식을 설명하고, Vollen-Weider 모델을 유도하라 환경공학과 김현태.
해양 오염과 대책 난 깨끗한 것이 좋아.. 학습 목표 해양 오염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빼고 <습지연구회>
인간과 환경 수자원 및 수질오염.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Environment & Microorganisms
12.4 Water Quality Monitoring
제1장 상수도(上水道) 시설계획 3-4 침사지(grit chamber)
제5장 호수의 부영양화 개발로 인해 바람이나 노을과 같은, 자연이 사라져 버리기 전까지, 우리는 이들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우리는 어떻게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2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나무가 드리는 소중한 선물 자료근거 제61회 식목일 나무심기 자료집 (2006, 산림청) 국립환경연구원 (1988)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요오드법 적정의 응용 생활하수의 BOD 측정.
환경시스템분석, 기말고사, 2012년도 1학기 환경공학과 지재관.
SYSTEM SYSTEM HOMEWORK 환경 공학과 김상헌.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4-6. 광합성 작용(1).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Chapter 22 경구용 고형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Dokdo abyssal current 4조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6장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지구온난화 보고서.
3장 정수장 설치.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교과명 : 고도처리 교수명 : 권재혁교수님 학 번 : 성 명 : 김 미 정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제 4 장 수질화학 환경보건과 김해숙.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1-5 용해도.
비열.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86.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제 19장 물의 오염도와 오염물질의 종류 김기호 정남진.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생물막 (Biofilm).
해양수산부 주관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생물정화기법 적용관련 토론회> 발표 자료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염색/피혁가공공정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및 공정수 재활용 기술의 개발
Presentation transcript:

Photography by lee jongjin 호수 및 저수지 환경 교육 이 종 진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부영양화 수화현상 호수와 저수지의 물리적 특성 영양 상태의 판정 방법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 호수 수질 복구책 부영양화 예측을 위한 모델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5. 호수 및 저수지 1. 호수와 저수지의 물리적 특성 2. 부영양화 3. 영양 상태의 판정 방법 4.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 5. 호수 수질 복구책 6. 부영양화 예측을 위한 모델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1. 호수와 저수지의 물리적 특성 성층 현상 겨울 온도가 표수층이 낮고 심수층이 높다 여름 온도가 표수층이 높고 심수층이 낮다 호수나 저수지의 성층화는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물의 밀도차에 의해 생긴다.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2. 부영양화 - 1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고 혼탁한 호수를 영양이 풍부하다는 뜻에서 부영양호(eutrophic lake)라 하고 식물플랑크톤이 적고 맑은 호수를 빈영양호(oligotrophic lake)라 부른다. 또 빈영양호가 수질오염에 의해 부영양호로 변하는현상을 부영양화(eutrophication)라 한다.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2. 부영양화 - 2 부영양화는 탄소, 질소, 인과 같이 조류의 번식에 영양분이 될 물질들이 호수에 축적될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유기 오염물 분해 제거 수중 식물 광합성 저해 호소하층 무산소층형성 각종 조류 번식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3. 영양상태의 판정 방법-1 1) 질소, 인, 탄소 등 이외에 BOD, COD, 그 밖에 pH, SS, 수온, 투명도 등 2) 클로로필-a양은 1차 생산량인 식물성 플랑크톤을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 3) 식물성 플랑크톤, 동물성 플랑크톤과 어류 조사로 판단 수질특성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3. 영양상태의 판정 방법-2 조류의 과도한 성장 - 저수지내 조류농도는 일반적으로 클로로필-a 농도로 측정 클로로필-a는 TP, TN, 투명도(SD)와 밀접한 관계 영양염류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3. 영양상태의 판정 방법-3 부영양화도 지수 TSI < 40 : 빈영양 40<TSI<50 : 중영양 TSI > 50 : 부영양상태 Carlson (1977)의 부영양화지수(trophic state index, TSI)이다. 투명도(SD,m), 엽록소농도(Chl, ㎍/ℓ), 총인농도(TP, ㎍/ℓ)등의 함수식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3. 영양상태의 판정 방법-4 생물지표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4.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1 부영양호의 일반적 성상 (1) 물리적 성질 - 물색 : 녹색이나 갈색 - 투명도 : 5 m 이하 (3) 생물상 -생산력 : 높다, 200mgC/m2/day 이상 -클로로필 a:5∼140 mg/m3,20∼140 mg/m2 -식물성 플랑크톤 : 풍부, 담수의 경우 여름에 남조류에 의한 수화가 발생 -동물성 플랑크톤 : 풍부, 윤형동물류 증가 -저서생물 : 종류수 감소, 산소부족에 내성이 강한 종류가 우점 -어류 : 양이 많다. 붕어, 잉어, 장어 등의 暖水性 어종이 풍부 -연안식물 : 풍부, 얕은 곳에만 생긴다. (4) 저질 : 유기물이 많고 부식저질 (2) 수질 - pH : 중성에서 약알카리성 (여름철에 표층이 강알카리성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 용존산소농도 : 표수층은 포화 또는 과포화, 심수층에서는 현저히 감소한다. 산소의 소비는 주로 플랑크톤 사체의 산화에 의한 것이다. - 현탁물질 : 플랑크톤 및 그의 사체에 의한 현탁물질이 많다. - 영양염류 : 다량존재, N> 0.2 ppm, P> 0.02 ppm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4.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2 1) 수질에 미치는 영향 - 남조류나 규조류의 수화발생 등, 식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증가 - 수중의 현탁물질량의 증가, pH의 상승 - 악취를 방출하는 유기물의 생성 - 수중에서 생성되기도 하고 외부에서 유입한 유기물질에서의 부식물질의 생성 -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한 물의 착색 - 투명도의 저하 ,대형수생식물의 번성 - - 저질표면 부근 및 심수층의 용존산소 농도의 저하, 특히 용존산소 농도가 0에 가까워지면 저층부근이 환원되어 메탄가스 발생, 인의 용출, 철, 망간의 용출 부영양화에 의한 영향 (2) 상수에 미치는 영향 - 원수의 유기물량의 증가로 인한 과다한 염소처리로 트리할로메탄의 생성 - 킬레이트 물질의 증가로 인한 웅집처리의 저해 - 조류때문에 완속 및 급속여과지나 스크린의 폐쇄 - 소독과정에서의 장해 - 조류의 대량증식에 의한 악취발생 - 심수층의 산소고갈로 인한 철, 망간의 용출 - 조류가 생산하는 독소에 의한 건강상의 장해 (3) 농림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 조류의 호흡, 분해에 의한 용존산소의 부족 및 유독물질의 방출에 따른 어류 폐사 - 부영양화된 호소수나 하천수를 관개용수로 이용할 경우 고농도의 질소에 의해 경작장해 (4) 레이크리에이션에 대한 영향 - 물의 착색으로 인한 미관상의 불쾌감 유발 - 남조류의 녹조현상이 발생한 경우 수영, 보트놀이등 물과 접촉하는 활동에서 불쾌감유발 -악취가 발생하여 수변의 산책에도 불쾌감 유발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4.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3 질소 : 단백질, 핵산, 클로로필, 조효소 등의 중요한 구성요소 건조한 대기 가스의 약 78%가 질소 분자로 구성(가장 큰 질소 저장소) →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제외한 모든 생물은 대기속의 질소를 직접 이용할 수 없음 ※ 식물과 거의 모든 생산자는 질산염 이온(NO3-) 형태로 질소 흡수 ⇒ 질산염 이온은 질산화작용(nitrification)과 질소고정(nitrogen fixation)에 의해 형성 질산염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4.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인자-4 인 수용성 인산염 이온(HPO42-)으로 식물 뿌리를 통해 흡수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5. 호수 수질 복구책-1 ◎ 하수처리장의 증설 및 고도처리 등으로 유역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의 차단 ◎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하류로 유로 변경 => 이미 부영양화가 진행된 수체에는 효과적이다. ◎ 수역 주변의 축산, 공장, 위락시설 등의 오염물질 배출업소의 철저한 감시 및 관리 => 미처리 오염물의 배출을 철저히 감소하여 수체로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영양물질 유입 억제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5. 호수 수질 복구책-2 ◎ 호소내 또는 유입지천에 철 또는 알루미늄 염을 첨가하여 영양염류의 불활성화 ◎ 외부의 수류를 끌어 들여 수 교환율을 높임. ◎ 성층파괴를 위한 심층폭기나 강제 순환 ◎ 수심이 깊은 호소에서 영양염류농도가 높은 심층수의 방류 => 수심이 깊은 호소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호소내에서의 처리 -1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5. 호수 수질 복구책-3 호소내에서의 처리 -2 ◎ 저질토를 합성수지 등으로 도포하여 저질토에서 나오는 물질을 차단 ◎ 영양염류가 농축되어 있는 저질토의 준설. ◎ 차광막을 설치하여 조류증식에 필요한 광을 차단함 ◎ 수체로 부터의 수초 및 부착조류의 제거 ◎ 생물학적 제어 ◎ 화학적 처리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6. 부영양화 예측을 위한 모델 자연적 요인 인위적 요인 대상 수체 인 부하모델 생태계 모델 예측 모델 원인 규명 미래 예측 수질 복구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호수 및 저수지 환경 교육 이 종 진 감사합니다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온도에 의한 성층화 Photography by lee jongjin

Photography by lee jongjin 천이과정 Photography by lee jo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