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상담및 치료 김 정 미 교수 Copyright Jung mi Kim.
1주2강 가족치료의 정의와 범주 Copyright Jung mi Kim.
가족치료의 정의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며, 그 체계 속의 상호교류 양상에 개입함으로써 개인의 증상이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도록 추구하는 치료적 접근법(김유숙, 2000) 개인 심리치료가 환자가 가진 문제를 환자의 대인관계의 장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주로 환자 개인의 정신내적 문제를 다루는 반면, 가족치료는 치료면담 중 나타나는 그들의 관계에 초점 Copyright Jung mi Kim.
가족치료의 정의 가족치료란 가족구성원이 보이는 문제행동을 그 개인만의 문제로 보지 않고, 개인을 둘러 싼 가족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가족치료 자는 문제행동 자체보다는 문제행동을 둘러싼 가족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진다. 그러므로 가족치료의 정의는 말 그대로 개인을 둘러싼 환경 요소 중에서도 특히 가족을 치료적 매개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가족치료의 대상 대상이 특별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가족은 남녀노소라고 하는 이질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족 안에서는 많은 갈등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아침에는 기분이 좋았다가 우연찮은 일로 저녁 기분이 망치듯, 평상시에 잘 기능하던 가족도 어느 순간엔가 문득 가족관계상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가족간의 갈등이란 끊임없이 반복되어 일어난다. 문제는 가족들이 그러한 갈등을 얼마나 잘 다루어 나가느냐, 그렇지 못하느냐 하는데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들 스스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는 그들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에는 가족치료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족치료를 필요로 하는 가족 - 가족 원의 죽음이나 질병, 실직 등 가족의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약화 - 이혼 혹은 재혼 등과 같은 가족의 분리․재결합으로 인한 가족원간의 갈등 - 가족 원의 죽음이나 질병, 실직 등 가족의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약화 - 알코올 및 마약 중독, 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가족 내 긴장 - 결혼 및 가족생활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 - 성격이나 가치관의 차이, 외도, 의사소통의 부재 등으로 인한 부부불화 - 등교거부, 품행장애, 주의력결핍 등 자녀의 정서적·행동적 문제, 학교부적응 - 고부갈등, 형제갈등, 친인척간 갈등 등 가족관계상의 어려움 - 우울증, 정신분열증 등 정신병리문제를 가진 가족으로 인한 가족 내 만성불안 - 가족생활주기 전이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발달적 위기 - 장애아, 치매노인 등 특별보호를 요하는 가족 원으로 인한 과중한 역할부담 - 기타 각 가족 원들이 호소하는 여러 가지 가족 문제들 출처: 김경란의 가족치료연구소 출처: 김경란의 가족치료연구소 Copyright Jung mi Kim.
가족치료 사례1 내담 자는 결혼 22년 된 주부. 친구와 동업으로 사업을 하는 남편이 친구와의 관계에서 마찰을 빚으면서 관계가 깨졌고, 그 과정으로 빚을 많이 지게 됨. 사는 집마저 은행에 넘어갈 위기에 처함. 이로 인해 지난 몇 년간 부부싸움이 잦았고, 그때마다 남편은 심한 언어적, 신체적 폭력 행사. 내담 자는 이혼 요구했으나 거절. 남편의 심한 폭력으로 집에서 도망 나와 언니 집에서 자녀들과 기거. 대학생인 큰딸은 자취하는 친구와 함께 생활하고 있으나 아빠와의 연락을 피하기 위해 휴대폰도 사용하지 않음. 지난해 말 내담 자는 다시 재판이혼을 청구했으나, 이혼조정 과정에서 아내가 소를 취하함. 남편은 지금 혼자 지내며, 뿔뿔이 흩어진 가족이 재결합해야만 재기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열심히 아내를 설득하고 있는 중 Copyright Jung mi Kim.
가족치료 사례2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 4수 끝에 대학교에 입학하고 1년을 다니다가 군에 입대를 했다. 제대 후 다시 복학했으나 예전처럼 잘 적응하지 못하고 성적이 좋지 않자 대학교에서 3개월 전에 제적된 후 집에만 틀어박혀 있고 아버지와 어머니 얼굴을 마주치지 않고 방에서 인터넷만 하고 있다. 부부 사이는 원만하고 동반외출과 여행, 외식도 자주 하는 편인데 외아들이 집에서 빈둥거리고 바깥에서 친구를 만나거나 취업이나 자립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아버지의 소리가 높아지고 아들도 대들어 관계가 더 멀어지고 있는 중이다.
가족치료의 범주 문제 심각성 출처: 김계현 상담심리학. 2000 * 가정 내 훈육문제 * 일상생활의 가벼운 문제 * 학교생활 적응문제 * 친구와의 관계문제 * 학습, 학업문제 * 진로문제 * 발달 이행기의 문제 * 일시적 적응장애 * 청소년기 격동 * 성문제 * 부모와의 갈등 * 심리적 갈등 * 불안증, 우울증 * 등교거부 * 품행장애, 비행 * 약물남용 * 불안, 우울, 강박장애 * 신경성 거식증 * 경계선 성격장애 * 일시적 정신증 * 조울장애 * 정신분열 가정 교육 생활 지도 상담 출처: 치료 약물 치료 출처: 김계현 상담심리학. 2000
직선적 인과관계와 순환적 인과관계 (Satir⇒가족은 모빌) 직선적 인과관계 (linear causality) 가족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순환 속에서 원인이자 결과로 작용. (Satir⇒가족은 모빌) 직선적 인과관계 (linear causality) - A (선행사건: 원인) ⇒ B (문제) - 결과보다는 원인을 거슬러 찾아가는 방향으로 문제 탐구. -예)사건: 형이 놀아주지 않고 때렸기 때문. 아이를 울지 않게 하려면? 순환적 인과관계 (circular causality) - A(남편이 술을 마신다) ⇔ B(아내가 잔소리를 한다) - 원인에 의해 결과가 일어나고, 그 결과가 다시 원인이 되어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 것.(행동 전에 원인이 있는 것) - 문제의 가족 원을 환자 대신 가족으로부터 지목 받은 환자라는 의미에서 IP(identified patient )라 함. Copyright Jung mi Kim.
환자로 지목된 사람(IP) 환자로 지목된 사람 (IP, identified patient)이란 치료를 필요로 가족성원을 의미 Satir는 환자로 지목된 사람은 가족으로부터 문제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 어떤 사람이 환자라는 꼬리표를 달게 되는 데에는 가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 임상장면에서 보면 가족이 환자라고 지목된 어떤 가족성원에게 그들 나름의 병명을 붙이고, 치료기관을 찾아 다니기도 따라서 이 용어를 사용할 때는 환자로 지목된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가족관계를 염두에 두어야
직선적 인과관계와 순환적 인과관계 순환론적 관점은.... - 가족 원 누구도 비난하지 않으면서 가족문제 중재가능. - 가족문제가 한 사람의 책임이라기보다 가족 원의 공유된 책임의 결과 이므로, 치료의 개입단위도 가족관계에 초점. 가족 원의 갈등은 대부분 원인에 대한 마침표를 다르게 찍는 것에서 비롯, 누가 옳은가에 초점을 두기보다 둘만의 상호 작용이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가족상담에서는.... - 가족 체계 론에 입각한 상담자의 관점 역시 개인이나 사건 대신 사건 의 과정이나 맥락에 관심. 또한 체계와 하위체계, 체계 밖의 더 큰 외부환경 등 다양한 수준에서의 적응과 변화 고려하여 상담.
직선적 인과관계와 순환적 인과관계 Copyright Jung mi Kim.
마침표 잔소리 잔소리 잔소리 늦은 귀가 늦은 귀가 늦은 귀가 A 아들의 마침표 B 아버지의 마침표 마침표는 인과관계를 바라보는 관찰자에 따라 다르며 B 아버지의 마침표 마침표는 인과관계를 바라보는 관찰자에 따라 다르며 마침표를 찍는 사람에 따라 원인을 식별해 내는 행위도 달라진다.
정리하기 가족치료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 원들간 역기능적 관계에 개입하여 개인의 증상이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는 치료적 접근법이다. 증상이나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지도⇒ 교육⇒상담⇒치료의 범주를 구분할 수 있다. 순환론적 관점에 의하면, 가족문제는 한 사람의 책임이라기 보다 가족 원의 공유된 책임이므로 가족 원 누구도 비난하지 않는다. 가족치료에서는 환자로 지목된 사람을 IP 라 하며, 치료 시 IP 보다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가족관계를 다룬다. 정리하기 Copyright Jung mi Kim.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주에는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