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년 정세와 사업계획. ▶ 노동개악 저지 완전 승리의 해▶ 본격적인 정치권력 재편의 해▶ 박근혜정권과 전면적 대결의 해 년은 노동자에게 어떤 해 ?
Advertisements

민주노총 7 기 임원선거 입장. 원탁회의 원탁회의 노동전선 원탁회의 제의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1. 현장의 투쟁을 방기한 개인과.
1 장 : SPSS 프로그램 및 사회조사분석사 SPSS 프로그램 ●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 패키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 -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데이터 관리, 통계분석용 프로그램 (1969 년 )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선교전례사목부. 선교전례사목부 사목목표 사목목표주요시책 1 사목 교서에 따른 업무 1-1. “ 신앙의 해 ” 주제에 따른 업무 및 교육 1-2.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선교 방법의 체계적 교육 확대 1-3. 선교를 위한 레지오, 구역반장의 인식 고취 1-4.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안정적 문화 반응적 문화 예측적 문화 탐험적 문화 창조적 문화 과정을 중시 하는 문화 회사의 운명 을 거는 문화 열심히 일하고 잘 노는 문화 강인하고 억센 문화 생산적 문화 관료적 문화전문적 문화 내 부 적 차 원내 부 적 차 원 안정적.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정보화로 인한 장단점 생활의 변화 번 이성재.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WCC 개최기념 자연보전 청년워크샵 주최: UNITAR 제주국제훈련센터, 아시아기후변화교육센터
2007 대선, 공명선거 홍보 방안 공보관 양 금 석.
SNS 대학생 홍보단 1기 모집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지방분권특별위원회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2009-1학기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I, III, V, VII 학기.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18대 총선을 말한다 시민포럼-대안과실천 제38회 월례포럼 일시 : 2008년 5월 26(목) 19시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구회 운산초등학교.
현장실습(Co-Operation) 소감 발표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DMAIC Template (제조).
민주 사회와 시민의 참여 의식 2학년 Ⅴ 현대 사회와 민주 시민 2. 민주 시민의 자질과 역할(1/2)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2019학년도 학생회 정부회장 선거 공고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선거관리위원회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SNS 타겟 캠페인 두리안소프트㈜.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CONTENT CONTENT BPR의 등 장 배 경 BPR의 정 의 BPR의 4 가지 근 간
여론조사기관 : 리얼메타 050 % 000 % 29 May 2017 (월) (수) 2 Jun (금)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컴퓨터공학실험 (I) 년 1학기 실험계획 -.
Problem-Based Learning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수력에너지.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TEXT 콘텐츠의 학습적 활용을 위한 Moodle의 사용자 중심 기능 개선 제안
Anyang Volunteer Center
고등학교 사회 VIII. 정치 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2. 정치 과정과 정치 참여 왜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가? 1.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유럽위기 시나리오.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실전 프로젝트: 홈페이지 구축 시트콤 프렌즈 팬 사이트 구축하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Presentation transcript:

총선 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국민권익 확보! 국민주도 한국정치 혁신! 시민참여 선거문화 개혁! 총선 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2004. 2 한국YMCA 시민정치운동본부 (http://vote415.ymca.or.kr)

I. 한국정치의 현실과 21세기 한국정치의 과제

정치개혁의 현실과 한국정치의 시대적 과제 부정부패와 고비용 정치 개혁을 위한 정치자금법 · 선거법 개정 →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치시스템 구축의 결정적 전기 (전근대적 정치제도 개혁의 출발) 21세기 한국정치의 시대적 과제 : ① 정당정치의 민주화 · 다원화 ② 국민의 정치적 권리 확립과 참여민주주의 신장 → 기성 정치권이나 대변형 시민운동만으로 달성 불가능 (시민혁명의 전통 부재, 시민적 정치 역량 부재가 근본원인) 이제 한국정치 혁신을 위한 근본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의 노력이 필요)

정치권의 과제 진성당원 중심의 민주적 정당화를 위한 환골탈태 필요 이념 · 정책노선에 따른 정체성 · 차별성을 갖는 정책정당화 → 기성 정단의 인적 · 구조적 혁신 → 개방성·민주성 확보로 당원 충원구조의 확립 → 국민의 당원참여에 의해 정치적 의사형성을 이루는 풍토로 쇄신 이념 · 정책노선에 따른 정체성 · 차별성을 갖는 정책정당화 → 보수주의 · 자유주의 · 진보주의로 분화 → 지역주의, 반공대결주의의 한계 극복 → 정당간 차이가 거의 없는 캐치올(catch-all) 정당화 극복

시민사회의 과제 생활세계 시민의 정치능력 배양 한국정치 혁신의 저수지이자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 → 생활세계와 유리된 대변형 엘리트운동의 한계 극복 → 시민정치능력 배양을 위한 시민정치교육 · 실천활동 강화 → 민주적 참여활동 · 공동체활동 등 생활세계 시민정치운동 활성화 한국정치 혁신의 저수지이자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 → 생활세계 구성원들이 정책노선에 따라 정치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하고 교육 · 훈련을 통해 배양 → 국민의 참정권 · 시민권 확립과 참여민주주의 신장을 위한 생활정치 · 시민정치 실천활동 강화

II. 국민의 관점에서 본 21세기 첫 총선의 의의와 YMCA의 과제

선거의 일반적인 의미 ①정치권의 세력재편의 장 ②국정운영의 방향 마련 ③국민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구현 → 선거는 정치세력 간의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행상 → 대선과 총선이 순차적으로 배치돼 있는 우리 선거제도의 특성 ②국정운영의 방향 마련 → 국정과 관련된 선거쟁점이 형성돼 정책방향을 가늠 → 승리하는 정당의 정책노선에 따라 국정에 영향 → 유권자집단 · 의제집단의 활발한 활동이 정책 담론 형성에 영향 ③국민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구현 → 선택권을 행사하는 선거는 국민 정치 참여의 무대 → 참여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시민정치훈련의 기회

국민의 관점에서 본 제17대 총선의 의의와 YMCA의 과제 하나. 정치권 구조개혁의 출발 1인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도입 → 정당중심, 책임정치 · 정책정치 중심 정치풍토 혁신의 출발 선거5악(惡) 근절과 정책경쟁의 출발 → 망국적 구태선거 재연은 정치권 구조개혁의 걸림돌 : 지역주의 · 흑색선전 · 금품살포 · 불법선거 근절 필요 → 정책 · 이념 · 노선에 따른 경쟁과 건전한 선거쟁점을 형성해야 (과거의 예 : 청계천 복원, 행정수도 이전, 한반도 핵위기 등)

국민의 관점에서 본 제17대 총선의 의의와 YMCA의 과제 둘. 유권자 정치능력 향상 비이성적 · 비구조화 된 정치적 선호와 투표성향 극복 필요 → 여론조사에 의하면 정책과 인물을 보고 투표하겠다고 함 실제로는 지역주의 · 샐깔공세 · 흑색선전 등이 규정적 요인 → 시민혁명의 전통, 시민교육의 부재에 따른 정치능력개발 기회 결여가 근본 원인. 선거 5악(惡)에 의한 캠페인이 부채질 이해관계에 입각한 정책성향에 의한 선택권 행사 필요 → 올바른 정당투표를 위해 정책성향에 의한 투표권 행사 필요 → 정책을 고려하지 않거나 덜 중시하는 과거 관행 탈피해야 → 이번 선거는 지역주의나 근거없는 색깔논리 극복의 출발 → 선거가 자신과 나라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중시해야

국민의 관점에서 본 제17대 총선의 의의와 YMCA의 과제 셋. 국민권익 확보를 위한 적극적 유권자 활동 국민을 도외시 해 온 정책 캠페인 관행 극복해야 → 정당 · 언론의 왜곡된 선거쟁점이 선거활동 지배 → 신뢰할 수 없는 공약 남발 경향 팽배 → 국리민복에 직결된 책임 있는 정책 대안 부족 → 각계각층 국민의 이해와 요구 적절한 반영 부재 국민권익 확보를 위한 노력 필요 → 국민권익에 직결된 유권자 의제 제기 필요 → 왜곡된 선거쟁점 통제와 국민적 쟁점 부각 → 국민권익 관련 정당 과거 활동 검증ㆍ평가 활동 강화돼야

국민의 관점에서 본 제17대 총선의 의의와 YMCA의 과제 넷. 시민참여활동 투표 말고는 유권자가 할 일이 없는 선거의 현실 → 역대 선거에서 유권자는 득표 대상으로 치부됨 → 공명선거운동 · 낙천낙선 및 지지당선운동도 유권자 참여는 부족 → 정당 · 언론 및 시민단체 활동과 유권자 일반의 괴리현상 심각 정치적냉소 · 불신극복과 정치참여, 시민정치역량 강화의 출발돼야 → 정치적 냉소 · 불신 극복 위해 유권자가 소박하게 할 일 제시 → 10만 회원을 중심으로 선거참여활동 활성화 필요 → 가족, 이웃, 지역사회와 함께 참여하는 활동 강화해야 → 선거 뒤에는 시민정치 실천활동, 회원문화의 체질개선과 연결

III. 총선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총선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1. 국민권익 확보 활동 전개 - 10대 영역 국민권익 의제에 입각한 정당 검증 및 우열 평가 2. 국민정치능력 향상 - 정책성향에 따른 투표를 위한 유권자 정치교육 3. 정책경쟁 유도 선거문화 개혁 - 선거 5악(惡) 철폐와 정책경쟁 촉구 ‘1만 회원 시민감시단’ 활동 4. 한국YMCA 10만 회원 시민정치 실천운동 -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전개 5. 기타 활동 6. 지역YMCA의 활동

1. 국민권익 확보 활동 전개 - 10대 영역 국민권익 의제에 입각한 정당검증 및 우열평가 10대 영역 국민권익 의제 설정 (평화 · 통일, 참정권, 분권자치, 복지, 사회개혁 · 사회정의, 교육 · 청소년, 각계각층 권익, 농민, 환경, 정보화 등) → 수용자 · 소비자 · 사회구성으로서 국민권익에 직결된 의제 → YMCA가 지난 100년 간 시민과 함께 실천해 왔던 의제 → 정당 간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변별력 있는 의제

1. 국민권익 확보 활동 전개 - 10대 영역 국민권익 의제에 입각한 정당검증 및 우열평가 대상정당 추진방식 : 최근 두차례 전국단위 선거에서 2% 이상 득표 및 원내 의석 정당 →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자민련, 민주노동당 추진방식 : 의제설정 → 정당 소명 요구 → 정당 과거 활동 검증 → 의제수용 및 공약반영 요구 → 정당 정책책임자 초청 만민 공동회 개최 공개 검증 → 최종 검증결과 및 분야별 우열 발표

2. 국민정치능력 향상 - 정책성향에 따른 투표를 위한 유권자 정치교육 유권자 정치교육안의 구성 요소 → 선거 및 제17대 총선의 의의 → 올바른 선택권 행사 및 선거참여 방향 → 정당 공약 · 정책의 신뢰성 검증 결과 (일관성, 실현가능성, 공익성) → 정당 정책 · 노선 분류(총론 및 영역별) → 유권자 정치성향 자가진단 매뉴얼 → 과거 투표관행에 대해 자가진단 → 정당 및 후보 가상 선택 및 설명 → 기타

2. 국민정치능력 향상 - 정책성향에 따른 투표를 위한 유권자 정치교육 유권자 정치교육안 관련 참고사항 → 중요 정책, 국가적 현안 중심 정당간 변별(객관적 측면) → 유권자 기호에 따른 영역 반영(주관적 측면) → 분야별 선호정당 판단(정당 · 유권자의 정체성 부족 보완) → 종합적 판단(이념 · 정책 · 현안에 대한 태도 종합) → 파일럿 테스트 및 신뢰도 · 타당도 검증 유권자 정치교육안 활용방식 → 30분내에 스스로 완료할 수 있는 교안 및 매뉴얼 제작 → 시연 및 홈페이지를 통한 동영상 제공 →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제공

3. 정책경쟁 유도 선거문화 개혁 시민감시단 구성 방향 시민감시단 활동기간 : 3월 16일 ~ 4월 15일(30일간) - 선거 5악(惡)철폐와 정책경쟁 촉구 ‘1만회원 시민감시단 활동 시민감시단 구성 방향 → 원칙적으로 YMCA회원 대상 → 정당 및 정당관련 정치활동에 일체 참여하지 않는 회원 → 가급적이면 e-mail 주소가 있는 회원 → 지역YMCA별로 최소 150명, 전국적으로 1만명 조직 → 지역YMCA별로 시민감시단 조직 → 전국적으로도 운영 → 시민감시단 교육 매뉴얼 보급 및 지역별 교육 실시 → 감시단원 신원은 홈페이지에 게시 시민감시단 활동기간 : 3월 16일 ~ 4월 15일(30일간)

3. 정책경쟁 유도 선거문화 개혁 시민감시단 활동 관련 사항 - 선거 5악(惡)철폐와 정책경쟁 촉구 ‘1만회원 시민감시단 활동 → 각 지역에 고발전화 개설(전국적으로 홍보) → 서울에 상황실 개설 및 상황판 설치 → 시민감시단원임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식 제작(명찰, 띠 등) → 시민감시단 활동 매뉴얼 · 워크북 제작 · 보급 → 지역 정당 · 후보 · 언론, 중앙정당 · 언론을 대상으로 활동 → 감시 정보 종합 및 활용방식 ① 지역YMCA가 감시 정보 취합 → 가공 및 총선 사이트에 제보 ② 지역 시민감시단원이 직접 총선 사이트에 제보 ③ 중앙당 및 언론을 상대로는 연맹 운동본부 차원에서 대응 ④ 일일 언론보도 및 브리핑제도 운영 ⑤ 선관위, 검찰, 언론사 등과 연계 시스템 구축

4. 한국YMCA 10만 회원 시민정치 실천운동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의 방향 -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전개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의 방향 → 누구나 선거기간 동안 실천할 수 있는 7대 과제 제시 (유권자 정치교육, 정당ㆍ후보 정보 찾기, 유세장ㆍTV토론 보고 소감문 쓰기, 부정선거 찾아내기, 투표 참여하기 등) → 10쪽 안팎의 워크북 형태로 전국YMCA에 보급 → 모든 회원이 주별로 실천하고, 체크하는 방식 → 선거때 활동할 회원들은 시민감시단에 참여하되, 일반 회원 대상으로 보급 및 실천 유도

4. 한국YMCA 10만 회원 시민정치 실천운동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의 방향 -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전개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의 방향 → 활동 내용은 지역YMCA 담당 간사가 총선 사이트 ‘유권자 30일 행동’란에 게시 → 선거 뒤에는 가능한 수준까지 워크북 체크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기간 : 3월 16일~4월 15일(30일간)

5. 기타 활동 (1) 총선사이트 개설 및 운영, 이메일 뉴스레터 발간 운동선언, 운동계획, 각 활동 소개, 자료실, 뉴스레터 보기 성명서, 보도자료, 일일브리핑, 언론보도 유권자 30일 행동 정보란 시민감시단 제보란 유권자 정치교육 매뉴얼 및 동영상 선관위 제공 후보자 정보 이메일 뉴스레터 발간(2월은 1회, 3, 4월은 월 2회 가량)

5. 기타 활동 (2) 선거 5악(惡) 철폐 및 선거참여 시민캠페인 전개 (3)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정보제공 활동 연맹 운동본부 차원에서 주로 실시 주기적으로, 필요할 경우 지역YMCA와 공동캠페인 실시 → 컨셉, 매뉴얼 등 일괄 준비해 제공 (3)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정보제공 활동 연맹 차원에서는 선관위 제공 정보 공유 지역별로는 필요할 경우 자체 정보 추가해 제공 (4) 이슈 및 언론대응 : 지속

5. 기타 활동 (5) 대 유권자 정보제공 (6) 지역YMCA 활동 매뉴얼 제작ㆍ보급 일상적으로 제공되는 정보 - 일일 언론브리핑 - 이메일 뉴스레터 - 유권자 정치교육 매뉴얼 등 선거 때 제공되는 정보 - 국민의제에 입각한 정당 검증 결과 - 유권자 행동수칙 및 유권자에게 드리는 글 (6) 지역YMCA 활동 매뉴얼 제작ㆍ보급

5. 기타 활동 (7) 총선 활동 관련 기구(연맹 시민정치운동본부) 상설기구 - 상임위원회 및 각 분과위원회 - 실행위원회 - 사무처 총선 특별기구 - 정치개혁 및 총선대응 특별위원회 - 선거문화 개혁 1만 회원 시민감시단 - 국민의제 설정 및 정당 검증 · 평가단 - 유권자 정치교육 기획단 - 총선 활동 실무추진단

6. 지역YMCA의 활동 (1) 지역별 조직 구성 YMCA 총선 유권자운동본부 구성 시민감시단 구성(최소 150명, 목표 인원은 추후 통보) 필요한 기획 및 추진 기구 분석(시민사업위원회 등) 전담 실무자 및 자원봉사자 배치 고발전화 개설(전국 공통 추진)

6. 지역YMCA의 활동 (2) 전국 공통활동 전개 시민감시단 및 고발전화 운영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전개 연맹 총선 사이트 제보 및 게시 (감시정보, 유권자 30일 행동 정보, 기타) 선거 5악(惡) 철폐 및 선거참여 캠페인 전개 유권자 정치교육 실시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정보제공 각종 정보제공 (이메일 뉴스레터, 유권자 정치교육 매뉴얼, 일일 언론브리핑, 국민의제에 입각한 정당 검증 결과, 유권자 행동수칙 및 유권자에게 드리는 글, 기타)

6. 지역YMCA의 활동 (3) 지역YMCA 자체 활동 전개(예) 지역구 후보자 초청 정책토론회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추가 정보 제공활동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검증 · 평가활동 정책 및 선거참여 캠페인 지역 자체 의제 제안 및 수용 요구활동 청소년 유권자운동 영호남 유권자운동 낙천낙선 혹은 지지당선 운동 기타

IV. 총선시기 YMCA 시민정치 실천활동 주요일정

1. 전국 일정 (1) 2월 실무체계 정비 및 실행 홈페이지 구축(1차 완료 시점 : 2월 21일) 국민의제 설정 및 검증 작업 진행 유권자 정치교육안 마련 시민감시단 조직 → 시민감시단 활동의 취지 및 조직방향안 마련(2월 14일) → 시민감시단 조직작업 착수 및 완료(2월 16일 ~ 2월 28일) → 고발 전화 및 표식 준비 및 제작(2월 내)

1. 전국 일정 (1) 2월 (2) 3월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조직 실무체계 확대 가동 → 총괄계획 수립(2월 11일) → 매뉴얼 · 워크북 제작(2월 18일) (2) 3월 실무체계 확대 가동 홈페이지 확대 가동 및 이메일 뉴스레터 제작 국민의제 설정 및 검증 및 만민공동회 개최 → 정당 검증작업 완료(3월 20일) → 만민공동회 개최(3월 31일)

1. 전국 일정 (2) 3월 유권자 정치교육 활동 → 유권자 정치교육 최종안 완성(3월 6일) → 시연 및 동영상 편집(3월 3, 8일 실시, 3월 18일까지 사이트 게시) → 매뉴얼 보급(3월 16일부터) 시민감시단 활동 → 상황실 및 상황판 설치 → 정치권 활동 및 언론보도 가이드라인 제시(3월 6일) → 시민감시단 활동 매뉴얼 · 워크북 제작 완료(3월 10일) → 시민감시단 교육 실시(지역별) → 시민감시단 활동 전개(3월 16일 ~ 4월 15일) → 일일 제보 및 언론브리핑제도 운영(3월 16일 ~ 4월 15일) → 전국 차원에서 지역별 고발전화 운영(3월 16일 ~ 4월 15일)

1. 전국 일정 (2) 3월 (3) 4월 (15일까지) 유권자 7대 과제 30일 행동 전개 → 매뉴얼 · 워크북 전국 보급(3월 2일부터) → 유권자 30일 행동 돌입(3월 16일 ~ 4월 15일) 시민감시단운동 및 유권자 30일 행동 발족식 개최(3월 15일) 선거 5악(惡) 철폐 등 시민 캠페인 전개 (3) 4월 (15일까지) 실무체계 비상 가동 홈페이지 활성화 및 이메일 뉴스레터 제작 · 보급 국민의제 설정 및 검증활동 → 최종 검증 결과 발표(4월 12일)

1. 전국 일정 (3) 4월 (15일까지) (4) 선거 뒤 유권자 정치교육 지속 실시 시민감시단 활동 → 상황실 및 상황판 집중 운영 → 시민감시단 활동 본격 전개 → 일일 제보 및 언론브리핑제도 본격 운영 → 전국 차원에서 지역별 고발전화 본격 운영 → 선거 참여 캠페인 전개 → 유권자 행동수칙 및 유권자에게 드리는 글 발표 및 보급 (4) 선거 뒤 평가 토론회 개최 및 이후 활동방향 모색

2. 지역YMCA 일정 (전국 공통과제 중심, 지역 자체 일정은 예시) (1) 2월 총선 유권자운동 담당자 확정(2월 2주내) 지역 자체 계획 수립(2월 3주내) 지역 유권자운동본부 구조화 및 관련 기구 구성(2월 3주내) 시민감시단 조직(2월 16일 ~ 2월 28일) 고발전화 개설(전국 공통) 자체 활동 준비 및 착수 기타

2. 지역YMCA 일정 (전국 공통과제 중심, 지역 자체 일정은 예시) (2) 3월 시민감시단 교육 실시 및 활동 전개, 고발전화 가설 및 가동 감시 및 고발 제보 결과 연맹 총선 사이트 게시 30일 행동 조직 · 전개 및 연맹 총선 사이트 게시 유권자 정치교육안 보급 및 실시 시민감시단 발족 및 유권자 30일 행동 발족실 참여 만민공동회 참여 지역구 후보자 정보제공 활동 전개 각종 정보 및 매뉴얼 제공 및 보급 선거 5악(惡) 철폐 등 시민 캠페인 전개 지역 자체 활동 진행 기타

2. 지역YMCA 일정 (전국 공통과제 중심, 지역 자체 일정은 예시) (3) 4월 (15일까지) 시민감시단 활동 집중 및 고발전화 활성화 감시 및 고발 제보 결과 연맹 총선 사이트 집중 게시 30일 행동 전개 및 연맹 총선 사이트 게시 유권자 정치교육 실시 지역구 후보자 정보제공 활동 전개 각종 정보 및 매뉴얼 제공 및 보급 선거 5악(惡) 철폐, 선거참여 등 시민 캠페인 전개 지역 자체 활동 진행 기타

2. 지역YMCA 일정 (전국 공통과제 중심, 지역 자체 일정은 예시) (4) 선거 뒤 유권자 30일 행동 매뉴얼 회수 및 활용 평가 토론회 개최 및 이후 활동방향 모색

총선 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국민권익 확보! 국민주도 한국정치 혁신! 시민참여 선거문화 개혁! 총선 시기 한국YMCA 시민정치 실천 활동계획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