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at TM/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함평만 지역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박 민 호. ⋅이 점 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소명의식 기본심리욕구 소명실행 1) 삶의 만족 2) 심리적 안 녕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일 가치감 일 목적지향 천직의식 기여와 헌신동기 이타행동 가설 1.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9 월 11 일 00UTC 경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550km 부근해상 (9.4N, 134.0E) 에서 제 31 호 열대저압부 (TD) 가 발달하여 발생하였음. 11 일 18UTC.
● 현황설명 O 제 24 호 태풍 보파 [Bopha] 발생 감시상황 - 위성영상에서 보르네오 섬 북쪽과 괌남쪽 부근해상을 중심으로 대류셀들이 발달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대류셀은 없음 hPa 유선장에서 대류셀이 다소 밀집되어 있는 필리핀.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Terra MODIS를 이용한 Landsat 해수면 온도 보정
산림지리정보시스템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상록수림의 영급과 식생지수 비교
3일차 - 가설검정.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Simulating Boolean Circuits on a DNA Computer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발명의 명칭 IR LED Auto Control 발명의 목적
기상청 WEB 자료를 이용한 일기 예보 안산부곡중학교 교사 이 영 기.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Ⅲ. 이 차 방 정 식 1. 이차방정식과 그 풀이 2. 근 의 공 식.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Quiz #7 다음 수들을 합병 정렬과 퀵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데이터 이동 회수를 각각 구하라. 여러분은 정렬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면서 이동 회수를 추적해야 한다. 단, 퀵 정렬시에 피봇으로 배열의 왼쪽 첫 번째 원소를 선택한다. 5.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 경영학부 최은지 경영학부 이창현
흉부영상의 촬영조건과 화질평가 신구대학 방사선과3학년 조한상.김영국.문성호.
지구온난화 보고서.
두 모집단에 대한 검정.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QR Code 김정민 김준보.
도시 환경 측정 시스템 엄지수 박새별.
기술보증기금.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2. 연립부등식의 영역 (3/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 발표 대기구성성분의 관측 (10조) 지 훈 홍전의 이수연
수력에너지.
3-5. 태양계와 행성(2).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PCA 개선 서울대학교 박노열.
비열.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비무장지대(DMZ).
시계열적 Landsat 영상에 의한 호수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수직 온도구배 현상 분석
12. Height Measurement (DEM Generation)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상관계수.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수치해석 ch3 환경공학과 김지숙.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Presentation transcript:

Landsat TM/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함평만 지역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박 민 호. ⋅이 점 숙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 2008년 12월 pp. 107~115

서 론 미래 지구환경의 변화 문제는 대부분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문제에 기인하며, 해수면 상승 및 식생의 변화는 물론 인간환경에 까지 영향을 미칠 것 식생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온도에 영향 주기도 함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Landsat TM/ETM+ 등과 같은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NDVI, 지표면온도를 추출하였으며, 토지피복분류도를 수행 위성영상 처리 등을 위하여 Erdas Imagine 8.3.1을 사용하였으며, 해석․주제도작성을 위해서는 Arc GIS 8.3을 사용 연구지역은 연안이 잘 발달하였으면서도 수계, 오염 등 외부 간섭요인이거의 없는 함평만지역 일대로 선정 가로 15㎞, 세로 20㎞(공간해상도30m 기준 501*667픽셀)로 한정

연구수행흐름도

연구 대상지역 함평만의 길이는 19.5km. 최대너비 7.5km 이 지역은 육지와 연결된 큰 규모의 수계가 존재하지 않아 육지로부터의 담수 공급은 거의 없으며, 북서쪽으로 향하는 입구를 통해서 서해와 해수 교환 평균 수심은 5m이며, 최대 수심은 입구 중앙에서 약 20m 남동쪽을 따라 만 내부의 수심이 점차적으로감소하여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이 조간대 기존의 연구에서는 갯벌과 같은 연안습지지역의 지표면온도와 NDV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사례가 없으나 본 연구지역에는 염생식물이 자라고 있는 지역으로 연안환경의 변화 탐지 변화에 중요한 곳

연구대상지역

연구 자료 및 전처리 본 연구에서는 광학위성영상인 LANDSAT -5 TM과 Lnadsat-7 ETM+ 자료를 이용

x = au+bv+c y = du+ev+f (1) 연구 자료 및 전처리 공간분석을 위하여 지형도와 동일 투영값을 갖도록 GCP(Ground Control Point)를 영상마다 10점 이상씩 선정하여 1차 다항식 변환기하보정을 실시 GCP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좌표 변환식 x = au+bv+c y = du+ev+f (1) x, y : 지도상 좌표 u, v : 영상좌표 a, b, c, d, e : 계수

연구 자료 및 전처리 연구대상지역의 기하보정

NDVI(정규화식생지수) 산출 본 연구에서는 NDVI로 알려진 정규화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연안지역의 엽록소a의 공간적분포를 파악 위 식과 같이 Landsat TM/ETM+ 영상의 3번 밴드와 4번 밴드를 이용하여 함평만에 대하여 1997년, 2001년,2007년, 2008년 식생지수를 구함 (분석된 값은 -1에서 1사이의 실수를 가짐)

NDVI(정규화식생지수) 산출 영상의 NDVI분류 결과 산림이 분포하는 지역은 0.4~0.6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연안 갯벌지역은 최소 -0.33에서 최대 -0.06의 상대적으로 낮은 값이지만 염생식물이 분포 1997년과 2001년 영상의 경우 식생지수가 낮은 이유는, 조석 간만의 차에 의해 해수면이 높아져 있는 시간에 영상이 취득되어, 갯벌에 바닷물이 들어 차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지표면온도 산출 Landsat TM/ETM+의 6번 밴드인 열적외선 파장영역을 사용하여 지표면온도를 추출 토지이용과 방사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열섬현상에 대해 그 원인과 결과를 분석, 경년변화를 탐지하여 열환경 개선 및 환경계획수립 등에 기여 본 연구에서는 NASA모델에 기반하여 영상의 표면 온도를 계산 TM/ETM+의 각 DN에 대해 방사적 검정값(Qcal)으로부터 분광방사휘도 Lλ

지표면온도 산출 Lλ를 이용하여 절대온도(°K)를 구하는 식 함평만 지표면 온도분포도

토지피복분류에 의한 갯벌영역 추출 토지피복 분류 방법에는 크게 감독분류법과 무감독분류법이 있으나 대상지역에 대한 사전정보가 부족하므로 Erdas Imagine에서 무감독분류법중의 하나인 ISODATA군집화 알고리즘으로 분류 토지피복변화 감지는 자연자원 관리와 토지피복도를 갱신할 때 필요

토지피복분류에 의한 갯벌영역 추출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2001년 4월 16일 Landsat-7 ETM+ 영상으로 육지와 갯벌을 고려하지 않고 영상 전체에 대하여 표면온도와 NDVI와의 상관분석을 실시 같은 방법으로 1997년 6월 16일 Landsat-5 TM 영상과 2007년 4월 25일 Landsat-5 TM 영상에 대해서도 상관관계를 분석 위의 두 시기 모두 3.24~3.34의 공분산과0.69의 상관계수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전체에는 크게 2가지 물질로 구분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영상을 물리적 특성별로 분류 이에 토지피복분류를 실시하고 수역을 제외한 육지와 갯벌로 그룹화 시킨 다음 마스킹하여 영상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실시 육지지역은 뚜렷하게 피복분류가 되었으나 해수면이 만조인 시간에 촬영되었기에 갯벌지역의 피복분류가 되지 않아 제외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육지지역이 상관관계 - 2007년 4월 25일 영상의 경우 공분산 -0.2233, 상관계수 -0.5109가 나왔으며, 2008년 4월 11의 영상에서는 공분산 -0.0746, 상관계수 -0.3572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갯벌지역의 상관관계 - 2007년 4월 25일 영상의 경우 공분산 0.0327, 상관계수 0.4600이 나왔으며, 2008년 4월 11의 영상에서는 공분산 0.0039, 상관계수 0.1492 조간대가 발달한 갯벌지역에서는 염생식물 성장하기 위해서는 영양 공급 외에도 발아와 성장을 위하여 적정온도가 필요함 육지지역에서는 식생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심지역의 온도가 높게 나오고 식생이 많은 산림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게 나오는 관계가 성립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식생지수의 증가에 따른 평균온도를 산출한 결과로 전체 식생을 0부터 255까지로 구분하였을 때 0에서 100까지는 온도가 동반상승하고 100 이후부터는 온도가 낮아짐 온도의 최저점은 2001년 4월 16일 영상에서 13.8℃, 2007년 4월 25일 영상에서 12.8℃, 2008년 4월 11일 영상에서 15.2℃이며, 최고점은 2001년 4월 16일 영상에서 25.8℃, 2007년 4월 25일 영상에서 21.1℃, 2008년 4월 11일 영상에서 21.0℃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지역에서의 지표면온도와 NDVI를 산출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지역에서의 지표면온도와 NDVI를 산출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 육지부에서는 지표면온도와 NDVI 상호간에 음의 관계과 성립하는 반면 갯벌지역에서는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 이는 육지와 연안 갯벌지역의 식물 성장과 온도 공급에 대한 관계 설정이 다르거나 영향을 미치는 크기와 반응이 달리 작용함을 유추 온도와 식생이 상호관계에 있어 어느 것이 우세의 위치에 있고, 어느것이 열세에 있는지는 밝혀내지 못함 아직은 기초연구단계에 불과하지만 다년간의 자료 축적과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앞으로 꾸준한연구를 전개한다면 상호간의 영향력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