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추진실적 및 계획 2010. 11. 16.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8. 고분자 연료전지 (PEMFC) 스택 고성능화 및 저가화 - 고출력, 고내구성 MEA 구조설계 및 제어 기술 개발 - 고내구성, 저가 백금촉매 및 장수명 비과불화탄소계 전해질막.
Advertisement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주요질의응답 저변확대 사업을 4 회 수행하면 선택집중사업만 지원가능한지 ? 선택집중 사업을 1 회라도 수행한 기업은 올해 저변확대 사업에 신청 불가능한지 ? A) 저변확대사업을 4 회이상 수행하였다면, 선택집중사업만 신청 가능합니다. A) 14 년의 경우 선택집중사업을.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예산항목세부비목제한사항 강사비■ 강사비, 멘토비, 국내외 전문가 기타 강사비정부지원금의 60% 이상 기관 운영비 ■ 인건비 (20 백만원 이내 ) ■ 일반수용비, 여비, 업무추진비, 네트워킹 데이 개최비, 홍보비, 운영 수당비,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LG 스마트융합공학과 산학장학생 지원서 m 인적사항 m 석사 연구실 ( 예정 ) m 학력사항 m 병역사항 m 어학 · 자격사항 및 해외여행 경험 m 경력사항 성명 ( 한글 ) ( 한자 ) ( 영문 ) 자택전화 휴대전화 생년월일 주소 재학구분혼인여부보훈여부 분야.
주요 제도개선 사항 및 중점 추진전략. 목차 교과부 R&D 사업 개요 주요 제도개선 사항 R&D 사업별 중점 추진방향.
포스코청암재단이 한국의 과학을 책임질 젊은 인재를 찾습니다 ! 글로벌 기업 포스코가 설립한 포스코청암재단은 ‘2010 년 제 2 기 청암 과학 펠로 ’ 를 선발합니다. 포스코청암재단은 2009 년부터 ‘ 청암과학펠로십 ’ 을 통해 한국의 기초과학을 살리고 국내의 젊고 유능한.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2011 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1 Ⅰ. 조사 설계 제 1 장. 조사 개요 구분 업무별 조사설계 환경산업분야해외진출 ( 수출 ) 지원분야 환경 R&D 분야 환경인증평가 녹색경영 분야 환경정보 분야 환경벤처 기업육성 환경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자금.
창의적 교육과정: 실적 현황 2013년 및 2014년 신규 교과목 14개 개발, 개설
기초 연구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 방향 과 학 기 술 부.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국내 조사 산업의 현황 장 재 섭 ACNielsen Korea.
2차 Genesis 연구과제 운영 계획 목적 정의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 교수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LHC 데이터 처리 Grid computing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인재양성 사업단 화학공학 사업단장 설용건 BK 산학연사업 우수사례 연세대 화공사업단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15 방위산업이차보전 설명회.
4G LTE 시대를 선도해나갈 LG유플러스에서 여러분의 꿈을 펼쳐보세요.
전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협의회 세미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분포·분석 결과 - ‘99년도 조사 ·분석·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손 병호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Korea Industrial Technology Foundation
Seemingly empty space. But it’s full of galaxies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교과부 R&D시스템 선진화 방안 한국연구재단 전략기획홍보센터 전 승 준 센터장.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UNISDR ONEA-GETI 안내.
※ 2007년 경영방침의 중점추진사항에 따라 설정한 부서의 경영방침중점추진계획을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성.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Logistics Engineering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주요 패턴 (한)문화방송 14 HY울릉도M 13 [ Bottom-Up ] 휴먼새내기체 12 [ Top-Down ]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Freedom For What? 자유학기제의 준비와 운영 매뉴얼 활용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KOREA NAZARENE UNIVERSITY
해양학과 발전 방안 2012, 2.
만나교회 장학생 프레젠테이션 지침 및 평가 방안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WISE DQ.
I. SciVal: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 1. 연세대학교 의학분야 연구성과와 역량 분석
철강기술솔루션 및 아이디어 공모 (안내) 1. 주관 / 후원 :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회 (주관) / 포스코 (후원)
서울대학교 전력연구소 서울대학교 전력연구소 소개
국토교통 기술사업화 지원 (R&D) - 설명자료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Presentation transcript: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추진실적 및 계획 2010. 11. 16

과학기술정책 기조 2011년도 예산편성 방향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I 구 정 일 반 현 황 과학기술정책 기조 I 구 정 일 반 현 황 Ⅱ 2011년도 예산편성 방향 I 구 정 일 반 현 황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I 구 정 일 반 현 황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I 구 정 일 반 현 황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I 구 정 일 반 현 황 Ⅵ 동아대학교 지원현황

’12년까지 정부 R&D대비 기초·원천연구비중 50% 수준으로 확대 Ⅰ. 과학기술정책 기조 21세기 과학기술강국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의 지속적 확대 정부 R&D 총투자 확대 ’12년까지 ’08년 대비 1.5배 수준 확대(16.6조원)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제고 기획강화 / 재원배분 / 성과관리 기초·원천 연구비중 확대 ’12년까지 정부 R&D대비 기초·원천연구비중 50% 수준으로 확대 민간 R&D 투자 촉진 유인책 강화 조세감면 / 기술금융 1

Ⅱ. 2011년도 예산편성 방향 2011년 과학기술개발 예산편성 방향 개인·집단 기초연구 지원 확대 연구장비·시설 등 기반 확충 2011년 과학기술개발 예산편성 방향 국가적·글로벌 이슈 대응 지원 원천기술 개발 투자 미래융합 첨단기술 선점 지원 연구성과 창출·보호·활용 및 사업화 촉진 원자력 진흥 및 안전기반 확충 우주 핵심기술 개발 및 산업화 2

교과부 예산사업 전체 평균 증가율(8.3%)보다 높은 13.4%(2,034억원) 증가 Ⅱ. 2011년도 예산편성 방향 과학기술개발 주요 사업별 예산현황 (단위: 백만원, %) 구 분 2010 예산 2011 정부(안) 증감 % 미래유망원천기술개발 351,205 385,833 34,628 9.9 기초연구진흥 845,611 962,042 116,431 13.8 거대과학기술개발 266,968 306,163 39,195 14.7 원자력진흥 및 안전 54,509 67,654 13,145 24.1 합 계 1,518,293 1,721,692 203,399 13.4 교과부 예산사업 전체 평균 증가율(8.3%)보다 높은 13.4%(2,034억원) 증가 (교육 분야 : 8.1% 증, 과학기술 분야 : 10.6% 증) 3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단위: 억원) (단위: 억원) 8,131 6,500 (80.0%) 6,407 5,000 예산 현황 2010년 기초연구사업 예산현황 기초연구사업 예산 개인연구지원사업 예산 (단위: 억원) (단위: 억원) 8,131 30.0% 증 6,500 26.9% 증 (80.0%) 6,407 5,000 2010 예산 2009 2010 2009 2010 22.0% 증 3.6% 증 1,152 479 (14.1%) (5.9%) 944 462 (단위: 억원) (단위: 억원) 2009 2010 2009 2010 집단연구지원사업 예산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예산 4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최근 3년 개인기초연구 지원 현황 개인 연구지원사업 신청대비 선정현황 5 개인기초연구예산 개인 연구지원사업 신청대비 선정현황 개인기초연구예산 세부 사업 유형 신청 선정 비율 기본 연구 유형Ⅰ 7,411 2,073 28.0% 유형Ⅱ 1,483 849 59.0% 모험연구 363 88 24.2% 신진 연구비 1,522 510 33.5% 연구장비 352 105 29.8% 여성과학자 636 180 28.3% 지역과학자 1,123 135 12.0% 계 12,890 3,940 30.6% 6천5백억 5천억 3천6백4십억 2009 2010 개인 기초연구 지원과제수 및 수혜율 8,452 6,275 27.5 과제수 5,013 20.7 수혜율 16.7 2008 2009 2010 5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일반연구지원사업 학문분야별 지원현황 6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중견ㆍ리더연구 지원사업 신청대비 선정현황 사업명 연구유형 신청 선정 선정율 핵심연구 3,188 325 10%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도약연구 1,102 111 10% 창의적연구 38 13 34% 리더연구자지원사업 국가과학자 - 5 - 소 계 4,328 454 10% 7

Ⅲ. 2010년 기초연구사업 주요실적 집단연구지원사업 신청대비 선정현황 사업명 연구유형 신청 선정 선정율 선도연구센터 육성사업 이공학(S/ERC) 92 7 8% 기초의약학(MRC) 14 2 14% 학제간융합(NCRC) 소 계 120 11 9% 8

집중 지원함으로써 고급인력 양성 및 기초연구 활성화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대상 및 사업내용 기초연구사업 대상 및 사업내용 개인연구 창의성 높은 개인연구 지원을 통해 우수 기초연구능력 배양 및 자신의 연구를 심화 발전 시켜 나가도록 추진 집단연구 기반구축 기초연구기반이 되는 연구 소재, 전문연구정보센터, 대학연구소 등 연구인프라 지원을 통해 기초연구역량 강화 국내대학에 산재되어 있는 우수 연구인력을 특정분야 별로 조직·체계화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고급인력 양성 및 기초연구 활성화 9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집단연구 개인연구 기반구축 사업구조 기초연구실 선도연구센터 실험데이터 허브구축 학문후속세대 세계수준의 연구 리더육성 엄격한 평가시스템 9~10년, 5~15억원 창의연구 기초연구실 특정연구주제의 소규모 연구그룹형성 지원 교수 4~5명/ 5년, 5억원 국가과학자 리더연구자 지원 중견연구자 지원 선도연구센터 우수연구인력을 특정 목적·분야별로 체계화 교수10명 이상/ 7-9년, 5-20억원 창의적·도전적 연구 Bottom-up, Top-down 병행 3~5년, 1~5억원 일반연구자 지원 개인연구 기반구축 집단연구 핵심연구 도약연구 풀뿌리 연구, 신진연구 평가의 간소화 1~5년, 0.35~1억원 이공학분야(S/ERC) 기초의약학분야(MRC) 학제간융합분야(NCRC) 신진연구 기본연구 여성과학자 지역대학우수과학자 실험데이터 허브구축 학문후속세대 중점연구소 연구소재지원 전문연구정보 박사학위자 연구능력향상 대학 연구 인프라 지원강화 체계적 연구소재 관리 전문연구정보 공동 활용 대용량 실험데이터의 공유·분석 인프라 구축 1~3년, 0.35~0.5억원 9년, 6억원 5년, 1억원 5년, 1.7억원 5년, 10억원 10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개인연구 일반연구자지원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Title 실적 및 예산 ◦ 이공학분야 기초연구활동 지원을 통해 국내대학의 연구기능 제고 및 연구저변 확대   ◦ 지원기간 및 분야 : 1~5년, 이공분야 ◦ 지원대상 : 이공분야 대학(교) 교원(시간강사 등 비전임 포함),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원 ◦ 지원규모 : 과제당 50백만원 내외(신진 장비지원은 1억원 내외) ◦ 세부사업 내용 - 신진연구 : 신진연구자 연구기회 확대를 통해 연구의욕 고취 및 차세대 연구인력 양성 - 기본연구 : 이공학 분야 기초연구 활성화 및 연구저변 확대를 통해 국가 연구역량 제고 - 여성과학자 : 이공학 분야 여성과학자의 사기진작과 연구력 강화 도모 - 지역대학우수과학자 : 지역대학 우수연구자의 창의적인 연구활동 지원 사업내용 Title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구분 2010년 2011 비고 예산액 355,000 계속 : 153,805 / 신규 : 201,195 (선정률 30.6%) 398,000 43,000 (12.1% 증) 11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개인연구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2011 비고 ◦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이룬 중견 연구자의 지속적 지원으로 국가 과학기술발전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지원분야 및 기간 : 이공분야, 3년(핵심연구), 5년(도약연구) ◦ 지원대상 : 국내 이공학분야 대학(교) 교수(전임․비전임) 및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원 ◦ 지원규모 ◦ 세부사업 내용 - 핵심연구 : 일정 수준의 중견연구자를 중심으로 개인 및 소규모(2~3인) 공동연구 지원 - 도약연구 :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상향식과제와 하향식과제로 구분․지원    사업내용 구분 핵심연구 도약연구 과 제 당 최대 지원규모 개인연구 : 100백만원 공동연구 : 200백만원 도전연구 : 300백만원 전략연구 : 500백만원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54,000 (22.0% 증) 299,000 구분 예산액 2010년 245,000 계속 : 168,355 / 신규 : 76,645 (선정률 10.2%) 2011 비고 12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개인연구 리더연구자지원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2011 비고 ◦ 세계수준의 연구리더 육성을 위하여 차세대 연구자를 발굴하여 글로벌 리더로 집중 육성하고, 검증된 세계수준의 연구자가 해당분야 연구거점으로 성장토록 지원   ◦ 지원기간 : 9년간(3+3+3, 창의연구), 10년간(5+5, 국가과학자) ◦ 지원분야 및 대상 : 이공분야 - 10년 이상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연구자(창의연구) - 세계적인 연구업적을 성취하고 국가경제와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국가과학자) ◦ 지원규모 : 과제당 5~8억원/년(창의연구), 15억원/년(국가과학자)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3,000 (6.0% 증) 53,000 구분 예산액 2010년 50,000 계속 : 35,250 / 신규 : 14,750 (선정률 11.7%) 2011 비고 13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집단연구 선도연구센터(ACE) 육성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 우수 연구인력을 특정분야별로 집중 지원하여 세계적 수준의 선도과학자군 육성(SRC/ERC) ◦ 기초의약학 부문 거점연구조직 육성 및 생명공학 활용지식과 인력양성(MRC) ◦ 미래지향적 과학기술분야의 전략적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세계수준의 지식 및 경쟁력 창출(NCRC)  사업내용 구분 이공학분야(SRC/ERC) 기초의약학분야(MRC) 학제간융합분야(NCRC) 지원규모 센터당 연간 10~12억원 내외 단계별 차등 지원 (1단계 5억 내외, 2단계 7억 내외, 3단계 10억 내외) 20억원 내외 지원기간 최장 7년(4+3년) 최장 9년(2+3+4년) 최장 7년(1+3+3년) 지원대상 이공계 석·박사과정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 대학원 과정에 기초의과학․기초의학・기초약학 관련 과정을 설치․운영하고 있는 의과․치과․한의과 대학 및 약학대학(원자력의학원 포함) 이공계 석·박사과정 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 105,200 구분 예산액 2010년 계속 : 96,200 / 신규 : 9,000 (선정률 9.2%) 2011 비고 14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집단연구 기초연구실(BRL) 육성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 대학내 연구 기본단위인 교수의 개인 연구실을 학과/학부 단위의 기초연구실로 육성시켜 대학의 잠재적 우수 연구집단 육성   ◦ 지원분야 및 기간 : 이공분야, 과제당 최대 5년간(3+2년) ◦ 지원대상 : 동일대학내 학과/학부 중심의 중소규모(교수급 4~5명) 연구그룹 ◦ 지원규모 : 연구실 유형(이론/실험)에 따라 과제당 300 ~ 500백만원 내외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5,000 (50.0% 증) 15,000 구분 예산액 2010년 10,000 계속 : 4,800 / 신규 : 5,200 (선정률5.1%) 2011 비고 15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기반구축 연구소재지원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2011 비고 ◦ 기초연구 기반소재의 확보·관리 및 분양 등을 통한 신뢰성 있는 연구소재 제공   ◦ 지원기간 : 소재은행당 최장 5년간(2+3년) ◦ 지원분야 및 대상 : 이공분야, 대학 및 국공립·민간연구소 ◦ 지원규모 : 은행당 100백만원 내외 ◦ 지원내용 - 연구소재의 개발, 보존 관리 및 연구소재 제공과 관련분야 기술자문 - 중앙센터를 통한 소재은행 정보의 통합 및 네트워크 구축, 소재 표준화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720 (14.4% 증) 5,720 구분 예산액 2010년 5,000 계속 : 3,402 / 신규 : 1.598 (선정률21.1%) 2011 비고 16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기반구축 전문연구정보활용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2011 비고 ◦ 전문연구정보센터 지정·운영을 통해 기초연구에 필수적 전문연구정보를 수집·가공하여, 가치 있는 연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연구자들이 공동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   ◦ 지원기간 : 5년(2+3) ◦ 지원분야 : 과학기술 전분야 ◦ 지원대상 : 국내 이공분야 대학(교) 교수(전임, 비전임) 및 공공ㆍ민간연구소 연구원 ※ 중앙센터(1개) : 2009년 선정, 분야별 센터(15개) : 2008년 선정 ◦ 지원규모 : 중앙센터(2억원) 및 분야별 센터(센터당 평균 1억7,300만원) 연구비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 2,800 구분 예산액 2010년 계속 : 2,800 2011 비고 17

(선정률 26.6%(학문후속), 7.5%(중점연구소))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기반구축 기초연구역량강화사업 사업목적 ◦ 박사학위 취득 연구자에게 연구기관에서 연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 활동의 지속성 유지 및 연구의 질적 향상 유도(학문후속세대) ◦ 대학의 연구거점을 구축하여 연구소 중심의 젊은 연구자를 양성하고 대학연구소의 특성화·전문화를 유도하여 연구소의 연구역량을 강화(중점연구소)   ◦ 지원기간 : 1~3년간(학문후속세대), 9년간(3+3+3, 중점연구소) ◦ 지원분야 및 대상 : 이공분야 - 국내·외 박사학위 취득자(학문후속세대), 대학부설연구소(중점연구소) ◦ 지원규모 : 50백만원/년 이내(학문후속세대), 600백만원/년(중점연구소)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400 (1.0% 증) 39,460 구분 예산액 2010년 39,060 계속 : 26,317 / 신규 : 12,743 (선정률 24.7%) (선정률 26.6%(학문후속), 7.5%(중점연구소)) 2011 비고 18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기반구축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사업 구분 2010년 예산액 사업목적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 세계 최고의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의 공유·분석 인프라 구축을 통한 국내 기초연구 활성화   ◦ 지원기간 : 2010~계속 ◦ 지원규모 : 2014년까지 지원예상액 130억원 ◦ 지원대상 : 정부출연연구소 사업내용 실적 및 예산 (단위 : 백만원) 500 (50.0% 증) 1,500 구분 예산액 2010년 신규 : 1,000 2011 비고 19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2010년 수혜율 및 선정률 수혜율 선정률 2010년 교수 4명중 1인으로 기초연구비 수혜율 제고로 우리나라 기초연구 저변 확대 - 수혜율 : 16.4%(’08) → 20.7%(’09) → 27.5% (’10년 9,096 과제) 선정률 20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수혜율 및 선정률 연령대별 선정률 사업별/성별 선정률 전반적으로 젊을수록 선정률이 높아짐 21 신청과제 선정과제 선정율 20대 15 6 40.0% 30대 4,545 1,235 27.2% 40대 8,794 2,221 25.3% 50대 5,010 1,129 22.5% 60대 473 112 23.7% 70대 2 1 50.0% 80대 - 총합계 18,841 4,704 25.0% 사업별/성별 선정률 21

Ⅳ.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수혜율 및 선정률 수도권/지방 선정률 지역별 선정률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선정률이 높음 22 구분 신청과제 선정과제 선정율 수도권 9,203 2,401 26.1% 지 방 9,638 2,303 23.9% 총합계 18,841 4,704 25.0% 지역별 선정률 22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단위: 억원) (단위: 억원) 9,197 7,500 (81.6%) 8,131 정부 예산(안) 기초연구사업 예산 개인연구지원사업 예산 (단위: 억원) (단위: 억원) 9,197 15.4% 증 7,500 13.1% 증 (81.6%) 8,131 6,500 2011 정부(안) 2010 2011 2010 2011 4.3% 증 3.4% 증 1,200 495 (13.1%) (5.3%) 1,152 479 (단위: 억원) (단위: 억원) 2010 2011 2010 2011 집단연구지원사업 예산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예산 23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단위: 백만원) 예산(안)현황 세부사업 ’09결산 ’10년 예산 (A) ’11년 예산 정부(안) (B) 증감 (B-A) 증감률 (%) 일반연구자지원 254,776 355,000 398,000 43,000 12.1 중견연구자지원 210,000 245,000 299,000 54,000 22.0 리더연구자지원 35,224 50,000 53,000 3,000 6.0 선도연구센터지원 94,434 105,200 - 기초연구실지원 10,000 15,000 5,000 50.0 연구소재지원 4,200 5,720 720 14.4 전문연구정보활용 2,800 기초연구역량강화 33,600 39,060 39,460 400 1.0 기초연구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1,000 1,500 500 합계 635,034 813,060 919,680 106,620 13.1 24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2011년 추진계획(안) 주요 내용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 및 정부 지원 체감도 제고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 및 정부 지원 체감도 제고 2011년 추진계획(안) 미래 연구리더 육성을 위한 신진연구자 지원 강화 연구비 확대에 상응하는 사업의 효율성 제고 및 내실화 추진 기초연구사업 평가 및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제고 기초연구활동 전방위적 지원체계 강화 25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풀뿌리 기초연구 강화 및 정부지원 체감도 제고 미래 연구리더 육성을 위한 신진연구자 지원 강화 26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연구비 확대에 상응하는 사업의 효율성 제고 및 내실화 추진 기초연구활동 지원체계 강화 27

Ⅴ. 2011년 기초연구사업 계획(안) 위반에 따른 제제 기초연구사업의 평가 및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제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 27조 위반에 따른 제제 1. 연구개발 결과가 극히 불량(3년) 2. 정당한 사유 없이 연구개발과제 수행 포기(3년) 3. 연구개발비의 용도외 사용(5년이내) 위반에 따른 제제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연구개발 수행(3년이내) * 상기 항목의 둘 이상 위반한 경우 5년가지 합산 28

Ⅵ . 동아대학교 지원현황 최근 5년간 기초연구사업 신청대비 선정현황 29

Ⅵ . 동아대학교 지원현황 최근 5년간 기초연구사업별 선정현황 31

Ⅵ . 동아대학교 지원현황 2010년 기초연구사업별 선정현황 선정 신청 32 2 과제 7 3 5 16 8 86 26 (0%) (0%) (29%) 1 (6%) (13%) 23 (27%)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대학중점연구소 학문후속세대양성 기초연구실육성사업 도약(도전) 핵심(협동) 핵심(개인) 지역대학 여성과학자 기본연구 신진연구 선정 신청 3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