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형무소역사관 학습자료 PT I한국근현대 민족의 성지I 서대문형무소; 그 항쟁의 역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Advertisements

국내 민족 운동의 전개 0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4 고등학교 한국사 Ⅴ Ⅴ Ⅴ.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국내 민족 운동의 전개 04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민족주의 계열의 민 족 운동을 나열할 수 있다. 사회주의가 민족 운동에 미친 영향을.
문화수업 청와대 사랑채 림유 한나 마이. 전화번호 : 이용시간 : 9 시부터 6 시까지 정기휴관 매주 월요일 표값 : 무료.
전통 한옥의 현대화 전통문화와 문화컨텐츠 - 전통문화의 컨텐츠화 고고문화인류학과 황지인.
경제 개발 계획 발표자 : 김지혜 교과서 119 쪽. 차례 경제 개발 계획 추진 목적 경제 개발 5 개년 계획 추진 경제 개발 추진 결과 산업 구조 개편 퀴즈.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번 김현지.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BC 5 에 하남 위례성에서 천도해 온 이후 신라 문무왕 12 년 (AD 672) 토성 ( 주장성, 일장성라 칭함 ) 으로 축성하였고, 조선 광해군 13 년 (1621 년 ) 에 후금의 침임을.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5.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와 건국 준비 활동 광복을 향한 노력과 건국 준비 활동 년대 임시 정부를 비롯하여 나 라 안팎의 여러 단체들이 전개한 항 일 투쟁의 내용과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임시 정부 등 독립운동 세력이 추구 한 광복 이후 국가 건설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언론사.
일제식민통치의 실상.
나는 무엇(누구) 일까요? 사회 5학년 2학기 2단원 18. 민족혼을 지키기 위해.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부모님께서 보내주시는 사랑으로 아이들과 저희 교사들은
이스라엘 만든이 : 권정안.
[ 이순신포럼 CEO 아카데미 제7기 주요 내용 ]
고등학교 한국사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Ⅳ 5 일제의 수탈과 국권 수호 운동.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청렴.
원종민 정효상.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을사 조약 이후의 항거 사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1 January 2018 Sun Mon Tue Wed Thu Fri Sat 31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Ⅲ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2.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린 3. 1
이야기를 듣고 앞뒤 내용 상상하여 말하기 말하기 듣기 4학년 1학기 2. 고운 꿈 아름답게 > 1) 이야기의 샘(1/9)
독도의 지명과 고지도.
애국계몽운동 인 재 양 성 경 제 자 립 1920년대 민족실력양성운동
민족 운동의 전개 2. 민족 분열 통치와 국내외 항일 민족 운동.
을사조약 이후 항일 의병 운동에 대해 알기 사 회 6학년 1학기
‘평통사’의 평택기지 ‘불법 난입’ 및 ‘격렬시위’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과연 나라를 구한 여걸인가? 사욕에 눈 먼 아녀자인가?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수학 8나 대한 37쪽 II.도형의 성질 시작하기 전에 (1/24) 시작하기 전에.
사전 청구 요청( ) 참가비 납부 후 영수 요청( )
우리나라 수학자 기초반-17번-이호준.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안동의 정신문화 코끼리 모둠 기획: 조재영 자료 수집: 권지은 이경민 강승휘 편집: 황민주 발표: 박준영
세계지도(World Map). 세계지도(World Map) 동아시아 (Eastern Asia)
조명박물관 홈페이지 리뉴얼.
구형왕릉.
Ⅴ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주제4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제6과 종말론.
발표조 : 사회체육학과 (김지훈,한대철,노영석,강용민,박상현,전상현)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3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
대한민국의 땅, 독도.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년도별, 독도 영해의 일본함정 출현 횟수 최근 일본함정은 해안경찰(노란색)에 해군함정(연두색)이 가세하는 양상을 보임 95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학습 목표 주권 수호 운동의 전개 1. 독립협회와 대한 제국 주제1 : 을미의병이 일어난 까닭은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5.18민주화운동 6356정화영.
11판 회계감사론 『新英社』 이 효 익.
양심적 병역거부는 수용되어야 하는가? 양정모 기계설계 자동화 공학부.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About Tax Museum.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대한 독립 만세 한국 광복군 만세 수업계획 수업활동 사회 6학년 1학기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3. 대한 민국의 발전 5/14 차시 3.1운동 이후 우리 나라의 독립 운동.
강화 마니산 氣 축제 세부추진 계획(안) “生 氣 솟는 땅 강화” 강 화 군 (문화관광과)
지방자치제도.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한국의 독립운동 21세기 독립운동가.
Presentation transcript:

서대문형무소역사관 학습자료 PT I한국근현대 민족의 성지I 서대문형무소; 그 항쟁의 역사

차 례 어제와 오늘의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생생역사현장” 전시관 둘러보기

I한국근현대 민족의 성지I 서대문형무소; 어제와 오늘의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은 ? 위치 면적 보유 시설 지정 사항 기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구 현저동 101번지) 8,838평 보유 시설 보안과청사 중앙사 옥사 공작사 사형장 격벽장 여옥사 지정 사항 사적 324호 제1종 전문박물관 국가현충시설 기타 02)360-8590~1 휴관일 매주 월요일 설날, 추석

수많은 독립지사들이 고통 속에서도 독립의지를 불태웠던 장소 왜 주목해야 하나 ? 근대건축사 의미 세계희귀 건축물 19세기 감옥의 전형 벤담의 판옵티콘 방식 민주화 항쟁을 전개했던 양심투쟁의 장소 서대문 형무소 항일 독립운동 산실 현대 민주화운동 산실 수많은 독립지사들이 고통 속에서도 독립의지를 불태웠던 장소

우리나라 형무소는 어떻게 바뀌었나? 가두는 시설이 아닌 잠시 가두는 시설로 전국 500명 수용가능 근대 삼국 시대 고려 시대 1894년 갑오개혁 때 형벌제도 개혁- 태형제도 폐지 사법권의 분리 전옥서감옥서로 명칭변경 삼국 시대 감옥제도의 도입 시기 사형, 유형, 장형, 재산형으로 형벌의 다양화 고려 시대 전옥서 등장-죄인을 가두는 시설 태, 장, 도, 유, 사 5종류의 형벌 제도 조선 시대 형조, 사헌부,의금부, 한성부, 포도청이 사법 관장-행정과 비분리 가두는 시설이 아닌 잠시 가두는 시설로 전국 500명 수용가능

우리나라 형무소는 어떻게 바뀌었나? 일제 강점기 1908년 설치된 감옥 1907년 기유각서에 의해 사법권이 일본으로 이양 1908년 8개 신식 감옥 설치 근대식 수감시설 감옥 확립 1924년 감옥 노동 – 전시물품 생산

역사의 현장 속 역사 1908 경성 감옥 신축 1912 서대문 감옥 명칭변경 1923 서대문 형무소 명칭변경 1945 서울 형무소 명칭변경 1961 서울 교도소 명칭변경 1967 서울 구치소 명칭변경 1987 서울 구치소 의왕시로 이전 1998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개관

옛 모습과 현재 모습(계속) 1908년 경성감옥 모습 옛모습

옛 모습과 현재 모습 현재모습 현재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모습

이렇게 관람하세요 (관람동선) 전시관 ->2. 중앙사 -> 3. 12옥사 -> 4. 11옥사 -> 5. 공작사 -> 6. 한센병사 -> 7. 추모비 -> 8. 통곡의 미루나무 ->9. 사형장 ->10. 시구문 -> 11. 옥사터와 붉은벽돌 -> 12. 격벽장 -> 13. 여옥사 -> 14. 망루와 담장 -> 15. 취사장 -> 18. 출구

I한국근현대 민족의 성지I 서대문형무소; “생생역사현장” 전시관 둘러보기

1층 - 형무소역사실 전시관 – 보안과 청사 2 3 1 형무소역사실 자원봉사실 영상실 형무소역사실 2층 방향 지하방향 계단 1908년 ~ 1987년까지 운영현황과 각종 사건 및 인물 소개 (상영시간 7분) 1.서대문형무소의 설립배경 계단 영상실 2.독립운동에 따른 서대문형무소의 확장 2 3 1 3.연도별수감현황 안내실

2층 - 민족저항실 전시관 – 보안과 청사 1 3 2 민족저항실1 2층계단 민족저항실2 민족저항실3 민족저항실1 민족저항실3 일제 침략에 항거한 의병전쟁, 의열투쟁 등 1910년대 까지의 독립운동 전시 2층계단 민족저항실2 1 일제강점기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독립운동가 5,000여 명의 수형기록표 전시 민족저항실3 민족저항실1 민족저항실3 3 민족저항실2 6.10만세운동, 신간회, 수양동우회, 조선어학회 등 1920~1940년대 독립운동에 대한 내용, 사형장 시신수습실 모형 전시 2

일제의 한국침략 과정 1904.2 일제의 한국영토 사용 한일의정서 1904.8 일본인 고문 내정간섭 제1차한일협약 1905.11 외교 권박탈 통감정치 을사늑약 (제2차한일협약) 1907.7 통감부의 차관통치 정미7조약 (한일신협약) 1907.7 대한제국군대해산 군대해산 1909.7 사법권 및 감옥 사무 박탈 기유각서 1910.8 국권상실 강제병합

을사늑약 : 일제가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 을사 오적 외부대신 박제순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학부대신 이완용 논상대신 권중현 을사늑약 : 일제가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 ※ 을사늑약으로 한국은 외교권이 박탈되어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됨에 따라 사실상 식민지가 되었다. ‘을사오적’은 을사늑약에 찬성하여 서명한 5명의 매국관료이다.

독립운동 전개의 큰 줄기 1894 1919 1910 1930 1945 의열투쟁운동 (1908~1932년대) 의병전쟁 (1894~1910년대) 6.10만세운동 3.1독립만세운동 1894 1919 1910 1930 1945 애국계몽운동 (1905~1910년대) 학생, 사회, 노동, 노농 운동(계몽운동흡수) (1920~1945) 해외독립운동 (1905~1945)

義兵 : 무기를 들고! - 의병전쟁 의병의 의미 의병의 역사 삼국시대 의병 - 대몽항쟁 임진왜란 항일투쟁 항청 투쟁 한말 의병 나라가 외적의 침입으로 위급할 때 민중이 국가의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자발적으로 외적에 대항하여 싸우는 민병 義兵 : 삼국시대 의병 - 대몽항쟁 임진왜란 항일투쟁 정묘,병자호란 항청 투쟁 한말 의병 항일전쟁 의병의 역사

무기를 들고! - 의병전쟁 1894 1905 1907 1910 전기의병 (1894-1896 중기의병 (1904-1907) 원인 : 갑오변란, 국모 시해, 단발령 대표의병장 : 이소응 (춘천), 유인석(제천), 서상철(안동), 문창식 (원주) 특징 : 유생 중심의 투쟁 중기의병 (1904-1907) 원인 : 을사늑약 대표의병장 :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 등 특징 : 평민의병장의 출현, 조직의 거대화 후기의병 (1907-1909) 원인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해산 대표의병장 : 허위, 이강년, 이인영 등 특징 : 의병연합 구축 (13도창의군)으로 서울 동대문 부근까지 진격

의병모습 왕산 허위

啓蒙 : 아는 것이 힘! - 계몽운동 계몽운동의 의미 계몽운동 지식 수준이 낮거나 전통적인 인습에 젖어 있는 사람을 가르쳐서 깨우침. 啓蒙 : 계몽운동 애국계몽운동이라고도하며, 국권회복과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애국의 기치하에 결집하여 실력을 양성하고 국민을 계몽하자는 운동

아는 것이 힘! - 계몽운동 계몽운동 정치사회단체 학회활동 국채보상운동 교육구국운동 (사립학교 설치) 언론계몽운동 (황성신문, (보안회, 헌정연구회,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학회활동 (서우, 한북, 호남, 기호, 호서, 관동, 교남 학회) 국채보상운동 교육구국운동 (사립학교 설치) 언론계몽운동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민족종교운동 (대종교,청도교, 대동교) 신민회활동 국학운동 (국어보급)

서상돈 – 국채보상운동 주도 박은식 – 국학운동 전개

105인사건- 신민회 민족운동가들을 탄압하기 위해 일제가 날조한 사건

義烈 : 민족원수의 처단 - 의열투쟁 의열투쟁의 의미 의열투쟁 의사와 열사의 투쟁 의사 : 의로운 행동으로 목숨을 바친 사람(윤봉길의사) 열사 : 절의를 국게 지켜 죽은 사람(유관순 열사) 義烈 : 의열투쟁 권총이나 폭탄으로 일제의 주요기관(총독부나 친일기관)의 파괴공작이나 주요인물(총독, 장군, 천황 등)을 처단하려는 투쟁

민족원수의 처단 - 의열투쟁 1908 1919 1909 1923 1932 3.24 장인환 전명훈 의거 10월 안중근 의거 스티븐스 사살 10월 안중근 의거 이토히로부미 처단 강우규 의거 사이토마코토 처단 시도 김상옥, 박 열 의거 종로경찰서 폭탄투하 일왕처단 이봉창 윤봉길 의거 히로히토 일왕 처단 시도 1909.12.22 이재명 의거 사이토마코토 처단 시도 1924. 4월 김지섭 의거 일왕 처단 시도

안중근의사 이재명의사

강우규의사 윤봉길의사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 대표로 파견 협의했으나실패 대한독립만세! - 삼일독립만세운동 삼일운동 과정 민족 자결 주의 1918년 미국의 윌슨 대통령 패전국 처리 방침 3·1독립 운동 1919년3월1일 서울에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으로 전국확산 파리 강화 회의 참석 1919년 1월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 대표로 파견 협의했으나실패 2.8 독립 선언 1919년 도쿄의 YMCA 회관에서 독립선언

대한독립만세! - 삼일독립만세운동 삼일운동 전개 1,524회 7,509명 15,961명 46,948명 2,023,098명 시위 횟수 1,524회 참여 인원 2,023,098명 사망자 수 7,509명 부상자 수 15,961명 피검자 수 46,948명

손병희 - 민족대표 한용운-민족대표

유관순 열사 1919년 4월 1일 아우내[竝川] 장터에서 3,0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며 시위를 지휘하다가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체포,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중투쟁을 전개하다 순국

사회주의 유입-> 이념, 지도노선 다양화 조직을 만들어 - 사회단체운동 삼일운동 이후 독립운동 방향 전환 국세 정세의변화 1차 세계대전종식 국내 정세의 변화 삼일운동 전개 임시정부 수립 독립운동의 전국민화 통치 수단 변화 무단통치 ->문화통치 집회, 언론의 제한적 허용 신사상 유입 사회주의 유입-> 이념, 지도노선 다양화

청년들의 수양과 훈련, 대중계몽과 지도의 필요성으로 창립 조직을 만들어 - 단체운동 학생, 노농, 노동, 여성 운동 학생 청년 운동 청년들의 수양과 훈련, 대중계몽과 지도의 필요성으로 창립 -6.10만세운동 전개 농민 운동 일제의 산미증식 계획으로 농촌 황폐화- 원산 총파업, 암태도 소작쟁의, 노동 운동 회사령 철폐로 일본자본의 조선진출 – 노동조합을 통한 임금인상, 근로여건 개선 주장 여성 운동 신사상의 여성이 사회투쟁 전개 - 근우회

일제의 폭력과 고문으로 인한 애국지사들의 옥중 고통과 자주독립 의 염원을 느낄 수 있는 곳 전시관 – 보안과 청사 3지하고문실 임시 구금실 물 고문실 일제의 폭력과 고문으로 인한 애국지사들의 옥중 고통과 자주독립 의 염원을 느낄 수 있는 곳 벽 관 취조실 애국지사 육성증언 손톱 찌르기 고문 상자고문

의지를 꺾고자 옴짝달싹 못하게 가두었던 고문도구 전시관 – 지하고문실 1고문실 독립을 외치다 죽을지언정 너희에게 굴북치 않으리라 벽관 일제가 애국지사들의 독립 의지를 꺾고자 옴짝달싹 못하게 가두었던 고문도구

1중앙사 체험의 장 – 중앙사 간수들이 옥사를 감시하였던 공간 간수들이 죄수들을 편리하게 감시하기 위하여 간수를 중심으로 옥사를 부채꼴 형태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판옵티콘(panoption:원형감옥)이라 한다.

2옥사 체험의 장 – 옥사 모든 것이 허물어져도 변치 않는 민족독립정신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민족 독립운동이 활발해지자 일제 통감부는 그들에게 항거하는 우리의 애국지사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감옥을 지었다. 옥사는 부채꼴 형태로 지어져 있으며, 중앙에서 전체를 한 눈에 감시하도록 하였다.

체험의 장 – 공작사 2. 노역의 현장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애국지사들이 일제에 의해 1 2 3 4 5 강제로 노동착취 되었던 현장으로 징역살이에 대해 볼 수 있다. 1 2 3 4 5 노역의 종류 노역영상 이달의 독립운동가 포토존 하루일과

1공작사 체험의 장 – 공작사 애국지사들이 강제 노역을 당하였던 현장 애국지사들의 강제노역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노역영상, 노역의 종류와 하루일과, 이달의 독립운동가와 사진찍기 코너 등을 보고 체험할 수 있다.

감성의 장 – 추모비 1추모비 다시 새겨두리라, 그 뜻 따라 살겠다는 다짐 조국 독립을 위해 일제침략에 항거하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순국하신 애국선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추모비다. 서대문형무소에서 일제의 잔혹한 고문으로 옥중 순국하신 애국선열들과 사형집행으로 선열들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

감성의 장 – 사형장과 시구문 2사형장 목숨은 이슬처럼 사라져 갔으나 그 뜻은 살아있어 일제가 1923년에 지은 목조건물로 서대문형무소를 비롯하여 전국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투옥된 애국지사들이 서대문형무소로 이감 된 후 사형이 집행된 장소이다.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조국 자주독립의 한을 품은 채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애국선열들의 넋이 서려 있는 곳이다. 이곳은 사적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다.

감성의 장 – 여옥사 3 여옥사 어찌 잊으랴, 차가운 독방에서 들려오는 만세소리 일제는 민족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여성을 투옥하기 위해 1916년 여사를 신축하였다. 그 뒤 1945년 까지 옥사를 증개축하면서 수많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수감하였다. 해방 이후인 1979년까지 사용되다 철거되었고 복원공사를 통해 2012년 외형복원, 2013년 여성독립운동가 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감성의 장 – 망루와 담장 4망루와 담장 한민족의 독립의지를 막기에는 너무 낮은 담장 투옥자들의 탈옥을 막고 동태를 감시하기 위해 설치했던 망루와 담장의 일부를 원형대로 보존하였다. 1907년에 담장을 설치할 때 나무기둥에 함석을 붙였으나, 현재 붉은 벽돌담장은 1923년 설치되었다. 담장의 높이는 4.5m, 길이는 1,161m였으나 지금은 앞면 79m, 뒷면 208m만 남아있다. 망루는 총 6개소 가운데 2개소만 남아 있고, 높이는 10m이다.

감사합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51 02-360-8590~1